[그림읽기]김시 ‘야우한와’
‘야우한와’ (野牛閒臥:들소가 한가로이 누워 있다) - 김시, 비단에 담채, 14.0×19.0㎝
김시(金시, 1524~1593)는 조선중기의 대표적인 문인화가 중 한명으로 소 그림에 대한 애착이 남달랐던 인물이다. 자신의 혼인날에 부친 김안로(金安老)가 압송되어 사사되는 참화를 겪었던 그는 일체의 부귀와 권세가 얼마나 허망한 것인가를 누구보다 뼈저리게 느꼈고, 이후 서화에만 전념하며 일생을 마쳤다. 이런 그에게 소가 상징하는 은일자적한 삶은 늘상 꿈꿔오던 이상이자 다짐이었을 것이다. 앞다리를 가슴팍에 말아 넣고 소 한 마리가 엎드려 쉬고 있다. 어딘가를 물끄러미 바라보는 듯한데 맥없이 풀린 눈을 보면 바라본다기보다는 그저 눈을 뜨고 있을 뿐이라고 하는 것이 맞겠다. 다소 따분하게 느껴질 정도로 한가롭고 태평스러운 모습이다. 어지간한 자극에는 반응하지 않는 요즘 우리네 정서로는 참 나른하고 무미(無味)해 보이는 그림이다.

그러나 당대의 거유 퇴계 이황(1501~70)은 그의 소 그림을 보고 “천년 전 도연명의 뜻이 사람들로 하여금 오래도록 감탄하게 하는구나”라고 하여 귀거래(歸去來)의 뜻을 읽어냈다. 퇴계의 마음을 빌려 다시 보자. 인적이 없는 야산 한 자락에 천진한 눈망울로 고삐도 없이 누워 있는 소 한 마리, 과연 무심(無心)과 무애(無碍)를 형상화한다면 이보다 적절한 그림을 찾아보기 힘들 듯하다.

생각이 이쯤 미치면 밋밋하게만 보였던 화면 구성과 필치도 다시 보인다. 소는 물론이거니와 원경의 야산이나 소가 자리한 둔덕까지 변변한 윤곽선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단순하고 소박하다. 화면 어디에도 눈을 현혹시키는 표현이나 작의적인 묘사는 찾아볼 수 없다. 그저 담담한 붓질이 서너 번 지나갔을 뿐이다. 극도의 생략과 함축이 당시 화풍의 전반적인 특성이기는 하지만, 무심과 무애를 그려내고자 했던 화의(畵意)를 잘 살려낸 화법임에 틀림없다.

어렴풋이나마 그림의 뜻에 공감했다 하더라도 눈에 거슬리는 점이 있다. 물에 분 듯 둥실하고 매끈한 소의 모양새다. 조선의 소가 아닌 중국 강남지방의 물소를 그린 것이다. 소는 마땅히 중국의 물소처럼 그려야 한다는 관념이 눈앞에 있는 우리 소의 모습을 가린 탓이다. 이렇게 그려야만 심사가 편한 것이다. 우리가 아닌 중국이 기준일 수밖에 없었던 시대 이념의 한계이다. 그림 속에서 우리 소를 만나는 것은 고유 이념을 바탕으로 진경산수화와 풍속화가 난만하게 피어나던 진경시대에 가서라야 가능하다.

예술은 이념의 뿌리에서 나온 꽃이며 예술작품은 작가의 또 다른 자화상이란 말을 절감하게 하는 그림이다. 이렇듯 하나의 예술작품은 많은 것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를 통해 그 작가와 만나고, 그가 살던 시대와 만난다. 그래서 예술작품을 정확히 읽을 수 있다면, 그 예술작품이 만들어진 시대를 왜곡 없이 읽어낼 수 있다. 이것이 옛 그림을 읽는 또 하나의 즐거움이자 놓칠 수 없는 의미다.

〈백인산|간송미술관 연구위원〉
* EBS 청소년 교양-청소년 미술감상 *


* Olga's Gallery


* CGFA 미술관


* Web Gallery of Art


* Barewalls.com


* Barewalls Artist


* BestPriceArt.com


* 세계명화


* The Art Renewal Center


* michael-parkes-gallery


* Tigertail Art Museum


* 간디네트Gallery


* 아메리칸 아트


* Victorian Arts


* Artnet미술관


* XY-Gallery


* Museart Artist


* EuroWeb Gallery


* Modern Masters


* Modern Art


* Gana Art


* CoolPage미술관


* NetArthall Artist


* Itzart My Gallery


* Artizn세계의명작


* 포트랜드 갤러리


* Art.com


* 화가마을


* Poster


* Yahoo! Artists(Oversea)


* Yahoo! Artists(Oversea)


* 사이버미술대학


* 강미정의미술사


* 한국의 미술


* 미술사전


* 동서양미술사


* 서양미술사

* 한국의미술


* 미술세계사


* 미술兒


* 한국회화사


* 한국미술사


* 한국의 민화


* 동양미술사


* @ Art History



* 야후거장미술


* 라이코스 미술


* Forum 미술


* 러시아 미술


* Hisusie미술사진


* American Impressionism


* the Colors


* 반고흐관련 홈피목록


* 반고흐갤러리


* 고흐를 위하여


* 고흐와 고갱


* 클로드모네A


* 클로드모네B


* Ruru & Sempe


* 알퐁스뮤샤1


* 알퐁스뮤샤2


* H.R. Giger


* 까미유 끌로델


* 김건우의 다빈치


* 서정혜의 클림트


* 베르메르


* 마리로랭상


* 르네 마거리트


* 마티스


* 브라이언 에반스


* Maggietalor


* 야후거장미술


* Myloveart

* 노희정Gallery


* Forum 미술


* Yahoo! Artist(Korean)


* 한미르 미술


* 컴퓨터미술


* 한미르 한국화


* 와우갤러리(한국화,사진..)


* 한국미술작가500인


* CREZIO 한국누드


* 운보김기창


* 오원 장승업


* 야후!한국화


* 소당갤러리


* Pine Gallery(그림액자)


* Gallery 목록


* 외국미술관 링크


* 루브르미술관


* 프랑스국립미술관


* 독일역사박물관


* 오스트리아미술관


* 스웨덴미술관


* 브라질미술관


* 뉴욕모마미술관


* 뉴욕디아센터미술관


* 뉴욕박물관


* 로스엔젤레스박물관


* 스미스소니언미술관


* 이태리박물관


* 일본국립미술관


* 국내미술관 링크


* 국립현대미술관


* 예술의전당


* 서울시립미술관


* 호암미술관


* 삼성미술관


* 생활속의 희랍신화
병아리를 훔쳐 가다 김득신(金得臣 1754~1822) 파적도(破寂圖), 野猫盜雛


김득신(金得臣 1754~1822)의 파적도(破寂圖), 야묘도추(野猫盜雛)
김득신(金得臣 1754~1822)의 파적도(破寂圖),
야묘도추(野猫盜雛), 18세기 후반-19세기 초, 종이에
수묵담채, 22.5 cm ×27.2 cm, 간송미술관 소장

살구꽃이 활짝 핀 어느 봄날이었습니다.

“올해는 살구가 많이 열리겠네. ”

방 안에서 베를 짜던 안주인이 말했습니다. 햇볕 좋은 툇마루에서 돗자리를 짜는 주인 어른은 별 말이 없습니다.

“뚝딱, 뚝딱…….”

자리 짜는 소리만 규칙적으로 들릴 뿐입니다. 잘 말려서 가지런히 손질한 골풀을 틀 위에 올려 놓고, 실을 매단 고드랫돌을 이리 저리 넘겨 돗자리를 엮어 나갑니다.

마당에는 갓 태어난 노랑 병아리가 짹짹거리고, 작은 애벌레나 지렁이 따위를 구해 온 암탉이 구구 소리를 내곤 합니다.

이 때, 한낮의 고요를 깨뜨린 사건이 벌어졌습니다.
그 불청객은 바로 날렵한 몸매의 들고양이였습니다. 들고양이는 아무도 몰래 담을 넘어 살구꽃 그늘로 숨어 들었습니다. 기둥 뒤쪽에서 때를 기다리고 있던 들고양이는 암탉이 먹이를 찾기 위해 잠깐 자리를 비운 사이 통통한 병아리 한 마리를 덥석 물고 내빼기 시작했습니다.

“째잭!”

다급하게 구원을 외치는 병아리 소리에 놀란 암탉은 그제야 사태를 짐작하였습니다.
눈을 휘둥그래 뜨고 깃털을 잔뜩 세우며 고양이쪽으로 달려들었습니다.
다른 병아리들은 이리저리 숨을 곳을 찾느라 조급하게 흩어지고 있습니다.
숨을 헐떡이며 넘어질 듯 뒤뚱거리는 모양이 안타깝기만 합니다.

“저, 저 놈이! ”

마침 긴 담뱃대에 막 불을 붙이고 있던 주인 어른은 냅다 소리를 지르고 일어났습니다. 다급한 마음에 마루 아래로 몸을 던집니다. 그 바람에 발틀은 뒤집어져 요란한 소리를 냈습니다.
주인 어른은 손에 쥔 담뱃대를 길게 뻗어 봅니다. 마음만 앞섰지 몸은 따라가지 않습니다. 마루 아래로 넘어지기 직전입니다. 머리에 썼던 탕건은 땅바닥에 데굴데굴 굴러 떨어졌습니다.

“애고, 저걸 어째! ”

방 안에 있던 안주인은 맨발로 달려 나옵니다. 주인 어른이 다칠까 걱정입니다.
그러나 노련한 고양이는 여유 만만합니다. 쫑긋 세운 귀와 엉큼한 눈, 구부러진 긴 꼬리가 여간 얄밉지 않습니다.

‘야묘도추(野猫盜雛)’는 ‘들고양이가 병아리를 훔쳐 가다.’라는 뜻입니다.
이 그림을 그린 김득신은 조선 후기의 화가로,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 생활을 재미있게 나타내었습니다.
이 그림은 마치 카메라로 순간 포착하듯이 그려졌습니다. 허둥지둥 하는 사람과 동물들의 표정을 아주 실감나게 표현함으로써 보는 사람의 웃음을 자아 냅니다.
이 그림에서는 특히 암탉의 놀란 모습이 잘 나타나 있습니다.
사람이든 동물이든 제 새끼에 대한 사랑은 마찬가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