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초,중,고생을 위한 판화(版畵)실기

 

홍익대힉교, 경기예고 강사 . 오현철


I. 판화(版畵) 실기


목차

1. 볼록판화에서 리놀륨판화 (단색, 다색, 채색기법)

2. 볼록판화에서 꼴라그라프판화 (벽지를 이용한 기법)

3. 볼록+공판화에서 꼴라그라프와 스텐실 혼합판화

4. 오목판화에서 드라이포인트(단색, 다색, 그러데이션 기법)

5. 평판화에서 모노타입 (수성모노타입, 유성모노타입)

 

다솜: 샘!  제가 판화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어 질문하러   왔는데요.  예고에 다니면서 해보고 싶은 판화가 너무     많은데요, 우리학교에서 할 수 있는 판화기법은 어떤 것   이 있나요? 

오샘: 다솜이구나!  선생님은 다솜이가 떡볶이만 좋아하    는 줄 알았는데 판화에 관심이 있다니 반가운걸!   그럼   재미있는 판화에 대해 한번 배워 볼까?

 판화의 종류에는 종이에 잉크가 찍히는 원리에 따라 볼    록판화, 오목판화, 평판화, 공판화가 있는데 다 각각의 특징들이 있기 때문에 다시 재료에 따라 더 세부적으로 나눌 수 있지.

 

1. 볼록판화

볼록 판화는 판화의 가장 단순한 원리로 초등학교 때 고구마나 지우개에 무늬를 새겨 찍던 것과 같은 원리이다.  즉 판의 볼록한 부분에 잉크를 묻혀 종이에 찍는 방법으로 양각과 음각의 원리를 이용한다.

나타내고자 하는 그림을 볼록하게 새겨 이에 물감을 묻혀 찍는 것을 양각이라 하고 나타내고자 하는 그림을 오목하게 하여 볼록한 곳에 묻힘으로써 그림이 밑 종이 바탕색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음각이라고 한다. 판을 새기는 데는 조각도가 필요하며 그것의 종류로는 창칼, 평칼, 세모칼, 둥근칼 등과 송곳, 톱 등도 훌륭한 조각도로 쓰인다. 

볼록판화의 기법으로는 목판화(Wood Cut), 고무판화(Linoleum), 지판화(Collagraph), 탁본화(Paper Casting)가 있는데 우리학교에서는 볼록판화 기법은 다 실습해 볼 수 있다.  볼록판화는 특별히 프레스나 부식 같은 기자재나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기본적인 조각도와 판만 있으면 수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럼, 고무판화(리놀륨판화)를 하기 전에 준비물을 한번 확인해 보자.

고무판화 준비물 : 고무판(리놀륨판), 조각도, 바랜(숟가락), 트레팔지, 먹지, 솔, 한지(장지), 잉크, 롤러, 평나이프, 인쇄바니시, 석유, 면장갑, 휴지, 스프레이

리놀륨판화 재료

리놀륨판

조각도, 송곳

롤러

오프셋잉크

바랜

먹지, 트레팔지, 나이프, 인쇄바니시, 석유, 화장지, 물 스프레이, 신문지, 도화지등 프린팅에 필요한 재료…….

그럼 고무판화 제작과정을 살펴볼까?


가. 고무판화 제작순서

◎ 판 제작
(1)판화를 하고자하는 크기의 고무판을 준비한다.
앞은 녹색, 뒤는 검정색인 리놀륨 판이 경질이기 때문에 파기가 더 쉽다.
(2)밑 그림을 트레팔지에 전사해서 다시 고무판 위에 먹지를 대고 전사 한다.
(3)조각도(세모칼, 둥근칼, 평칼, 창칼, 송곳, 톱)로 이미지를 판다.
다색 고무 판화일 경우 색 수만큼 판을 준비하고 색 분해하여 분해한 색을 각각 판에 따로 따로 전사해서 판다.
(4)솔로 고무판에 있는 찌꺼기들을 깨끗이 닦아낸다. 

◎ 프린팅
(5)고무판에 롤러로 잉크를 바른다. 이때 잉크의 농도가 될 때는 인쇄바니시를 섞어 사용 하고 잉크가 묽을 때는 탄산마그네슘을 사용하여 잉크의 농도를 조절한다.
(6)잉크를 판에 바를 때는 롤러에 옅게 묻혀 3~4번 정도 서서히 색을 올려 주는 것이 좋다. 
(7)한지(장지)에 물 스프레이를 뿌려 신문지 사이에 끼워 놓는다. 종이가 촉촉한 상태로 찍는다. 
(8)바랜으로 시험 찍기를 해보고 수정하여 에디션을 낸다.

팁!) 목판화도 고무판화와 제작과정은 같다. 

리놀륨원판과 판화완성작

리놀륨 원판

한지에 찍는 완성작픔 -오현철 작


자! 이제 판화를 찍었으니 학생들이 수업한 작품을 감상해 볼까요?

리놀륨판화 작품 감상

리놀륨판화에 채색-경기예고 영재반 학생작

리놀륨판화에 채색-경기예고 영재반 학생작

리놀륨 3도 다색판화-경기예고 영재반 학생작

리놀륨 단색판화-경기예고 영재반 학생작

리놀륨판화에 채색-경기예고 영재반 학생작

단색 리놀륨판화-경기예고 영재반 학생작

 


다솜: 샘! 중학교 때 배웠던 고무판화보다 선생님께 배우니까 훨씬 재미있고 다양한 것 같아요.  그리고 다색 고무판화가 아니더라도 찍은 판화에 채색을 해서 단색판화의 한계를 극복 할 수 있다는 것도 알았어요.   그럼 볼록판화 중 다른 판화기법은 어떤 것이 있나요?

오샘: 재미있게 배웠다니 선생님도 기쁜 걸?  판화   는 간접매체로써 그리거나 혹은 문질러서 찍을 수    만 있다면 모두 판화가 되지.  그런 의미에서 동전   위에 종이를 데고 문지르는 프로타주 기법도 볼록판화라 볼 수 있지.

다솜: 아~ 그 동전 문지르는 프로타주요,  저도 초등학교 때 해 봤어요 ㅎㅎ

오샘: 그럼, 꼴라그라프에 대해 배워볼까?


꼴라그라프 재를 살펴보면?

꼴라그라프판화 재료

마분지,가위,칼,풀

벽지, 잡지책

롤러

오프셋잉크

바랜

나이프, 인쇄바니시, 석유, 화장지, 물 스프레이, 신문지, 도화지등 프린팅에 필요한 재료…. 

그럼, 벽지를 이용한 꼴라그라프 제작과정을 살펴볼까?


나. 꼴라그라프 제작순서

◎ 판 제작
(1)판화를 하고자하는 크기의 두꺼운 마분지(지판)를 준비한다.   
(2)밑 그림을 보고 벽지에 그리고 잘라내 지판에 딱풀로 붙인다. 이때 벽지를 구석구석 꼼꼼히 붙여야 잉크 칠 할 때 지판에서 떨어지지 않게 된다.
(3)지판에 벽지가 잘 붙였는지 판을 휘어보고 잘 붙었다면 찍는다.

◎ 프린팅
(4)지판에 롤러로 잉크를 바른다. 이때 잉크의 농도가 될 때는 인쇄바니시를 섞어 사용 하고, 잉크가 묽을 때는 탄산마그네슘을 사용하여 잉크의 농도를 조절한다.
(5)잉크를 판에 바를 때는 롤러에 옅게 묻혀 3~4번 정도 서서히 색을 올려 주는 것이 좋다. 
(6)바랜이나 프레스로 판화지에 시험 찍기를 해보고 수정하여 에디션을 낸다.

그럼,  꼴라그라프 학생작품을 감상해 볼까요?

꼴라그라프 작품 감상

지판화-경기예고 학생작

지판화-경기예고 학생작

지판화-경기예고 학생작

지판화-경기예고 학생작

지판화-경기예고 학생작

지판화-경기예고 학생작


라인 인그레이빙 재료를 살펴보면?

라인 인그레이빙 지판화 재료

마분지, 볼펜, 연필

나이프

롤러

오프셋잉크

바랜

인쇄바니시, 석유, 화장지, 물 스프레이, 신문지, 도화지등 프린팅에 필요한 재료…. 


다. 라인 인그레이빙 지판화 제작순서

◎ 판 제작
(1)판화를 하고자하는 크기의 두꺼운 마분지(지판)를 준비한다.  
(2)밑 그림을 보고 모나미 볼펜 등을 이용해 꾹꾹 눌러 판에 그림을 그린다.       (0.7m볼펜이 판에 흠집을 내기 편리하나 4B연필이나 0.5mm 볼펜도 잘 활용하면 선의 변화로 거리감을 만들 수 있다.

◎ 프린팅
(4)지판에 롤러로 잉크를 바른다. 이때 잉크의 농도가 될 때는 인쇄바니시(플렛오일)를 섞어 사용 하고, 잉크가 묽을 때는 탄산마그네슘을 사용하여 잉크의 농도를 조절한다.
(5)판에 잉크를 칠 할 때는 롤러에 잉크를 옅게 발라 3~4번 정도 색을 서서히 올려 주는 것이 좋다. 
(6)바랜이나 프레스로 판화지에 시험 찍기를 해보고 수정하여 에디션을 낸다.

그럼,  라인 인그레이빙 학생작품을 감상해 볼까요?

라인 인그레이빙 작품 감상

라인 인그레이빙 지판화-초등교사 연수생작

라인 인그레이빙 지판화-초등교사 연수생작

라인 인그레이빙 지판화-초등교사 연수생작

라인 인그레이빙 지판화-초등교사 연수생작

 


오샘: 어때! 판화란 것이 생각보다 재미있지?

다솜: 와~ 정말 재밌어요.  볼록 판화에도 이렇게 재미있고   다양한 기법이 있는 줄 몰랐어요. 또 다른 볼록판화기법이   있나요?

오샘: 물론, 당근이지!  판화는 찍을 수 만 있으면 다 판화   라 할 수 있으니까 이 세상에 찍을 수 있는 것은 전부 판화가 되지.  그럼, 이번엔 볼록판화인 지판화와 공판화인 스텐실을 응용한 판화기법를 배워보도록 하자!

다솜: 와~ 신나요~

 

꼴라그라프와 스텐실혼합기법 재료를 살펴보면?

지판화+스텐실 기법 재료

마분지,잡지,가위,칼

나이프

롤러

오프셋잉크

바랜

인쇄바니시, 석유, 화장지, 물 스프레이, 신문지, 도화지등 프린팅에 필요한 재료…. 

라. 꼴라그라프와 스텐실혼합 기법의 제작순서

◎ 판 제작
(1)종이에 이미지를 스케치 하고 이미지 외곽을 오려낸다.
(2)밑에 놓을 종이는 자유로이 접고 구겨서 다시 펴서 놓는다.
(3)구겨진 종이에 롤러로 잉크를 칠한다. 이때 위판에 놓을 이미지 오린 종이 보다는 작아야 한다.
(4)잉크 칠한 종이위에 이미지 오린 종이를 올려놓고 그 위에 판화지를 올려놓고 찍는다. 찍을 때는 바랜이나 동판프레스를 이용한다.

 그럼,  지판화와 스텐실 혼합기법으로 한 학생작품을 감상해 볼까요?

 

지판화와 스텐실 혼합기법 작품 감상

지판화와 스텐실 혼합기법-경기예고 학생작

판화와 스텐실 혼합기법-경기예고 학생작

판화와 스텐실 혼합기법-경기예고 학생작

판화와 스텐실 혼합기법-경기예고 학생작

판화와 스텐실 혼합기법-경기예고 학생작

판화와 스텐실 혼합기법-경기예고 학생작

 

오샘: 다솜이가 생각했던 것보다 볼록판화의 종류가 많지?

다솜: 예~ 정말 이렇게 다양한 볼록판화가 있는 줄 몰랐어요.   전 항상 고무판화 만 해봤는데요. 그럼 볼록판화 외에 다른 판화도 배울 수 있나요?

오샘: 물론, 배울 수 있지! 우리학교에는 동판프레스가 있어서 오목판화인 드라이포인트를 배울 수 있지.  그러나 부식해서 찍는 에칭기법은 아직 부식실이 없어서 하지 못하고 있어.  예산이 확보되면 우리 학교도 부식실을 갖추 수 있을 거야. 
자~ 그럼, 드라이포인트에 대해 배워 볼까?

                              

2. 오 목 판

1. 오목판화의 종류

오목 판화는 판면에서 볼록한 면을 깨끗이 닦아내고 들어간 곳에 잉크를 채워 오목한 곳의 잉크를 종이에 찍어내는 방법이다. 때문에 들어간 곳의 잉크가 종이에 옮겨져 돋아 오르게 찍혀 지는데 동판은 대부분 이에 속한다. 면을 나타내기보다는 선의 표현이기 때문에 예리하고 섬세하며 프레스기와 잉크가 필요하다.


드라이포인트 재료를 살펴보면?

드라이 포인트 재료

아크릴판, 줄

니들

평나이프

잉크, 스퀴지

프레스, 판

사포, 면망사, 인쇄바니시, 석유, 화장지, 물 스프레이, 신문지, 도화지 등 프린팅에 필요한 재료….


가. 드라이 포인트 제작순서

◎ 판 제작

(1)판화를 하고자하는 크기의 아크릴판을 준비한다.
(2)사포 1000방 또는 1200방을 준비하고 1/4크기로 잘라 물에서 가로세로 방향으로 판을 갈아낸다.
(3)굵은 줄로 판 모서리를 갈고 가는 줄로 다시 잘 갈아 마무리 한다.(동판프레스의 펠트가 찍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판 모서리를 갈아야 한다.)
(4)밑 그림을 트레팔지에 전사해서 다시 아크릴판 위에 먹지를 대고 전사 한다.
(5)니들(송곳)로 이미지를 판다.  

◎ 프린팅
(6)스퀴지(화투나, 카드 등 딱딱한 플라스틱을 잘라 사용해도 됨)를 이용해 판의 판 부분에 잉크를 골고루 스며들도록 바른다. 이때 잉크의 농도가 될 때는 인쇄바니시(플렛오일)를 섞어 사용 하고, 잉크가 묽을 때는 탄산마그네슘을 사용하여 잉크의 농도를 조절한다.
(7)망사 천으로 판의 잉크를 잘 닦아낸다.
(8)신문지 등을 이용해 판에 남아있는 잉크를 잘 닦아낸다.  동판 프레스에 한지(장지)에 물스프레이를 뿌려 신문지 사이에 끼워 놓아 종이가 촉촉한 상태에서 찍는다. 
(9)바랜으로 시험 찍기를 해보고 수정하여 에디션을 낸다.

오목판화는 프레스로 찍기 때문에 프레스기의 안전교육을 먼저 실시하고 다루도록 한다.  


드라이포인트 원판과 작품

드라이포인트 원판

갈색 완성작픔-오현철 작

검정색 완성작픔-오현철 작

 

그럼,  꼴라그라프 학생작품을 감상해 볼까요?

드라이포인트 작품 감상

드라이포인트-경기예고 학생작

드라이포인트-경기예고 학생작

드라이포인트-경기예고 학생작

드라이포인트-경기예고 학생작

드라이포인트-경기예고 학생작

드라이포인트-경기예고 학생작

 

 

다솜: 오목판화 형식인 드라이포인트도 정말 새로운 것 같아요,  니들로 파니깐 좀 힘들 것 같기는 하지만요.

오샘: 물론 판화는 힘들지 않은 기법은 없어~.  파고 세기고 부  식하고 찍는 과정의 복잡한 단계를 걸치니까 말이야.  그러나 판화가 재미있는 것은 종이가 판에서 떨어져 나오는 순간의 희열은 어느 기쁨보다 크지~     그럼, 평판화의 모노타입기법을 배워보자~ 

 


3. 평 판 화

1. 평판화의 종류

판을 새기는 것 없이 평평한 판면에 잉크를 묻히고 종이를 덮어 찍는 것으로 물과 기름이 섞이지 않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석판이나 아연판이 이에 속한다. 그릴 때의 붓의 터치가 표현되며 판을 깎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부드럽고 드로잉 요소가 가장 잘 나타난다.

모노타입은 판을 깍지 않은 평판화에 속하나 잉크나 수성물감으로 그려 강한 압력으로 찍어야 하기 때문에 동판프레스를 사용한다.  


수성 모노타입 재료를 살펴보면?

수성 모노타입 재료

아크릴판, 줄

사포 1000방

수채화도구

프레스, 판

물 스프레이, 화장지, 신문지, 도화지 등 프린팅에 필요한 재료….



가. 수성 모노타입 제작순서

◎ 판 제작

(1)판화를 하고자하는 크기의 아크릴판을 준비한다.
(2)사포 1000방 또는 1200방을 준비하고 1/4크기로 잘라 물에서 가로세로 방향으로 판을 갈아낸다.
(3)굵은 줄로 판 모서리를 갈고 가는 줄로 다시 잘 갈아 마무리 한다.(동판프레스의 펠트가 찍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판 모서리를 갈아야 한다.)
(4)밑 그림을 보고 수채화 물감으로 그린다.   

◎ 프린팅
(5) 판 모서리를 잘 닦아내고 판화지에 물을 뿌려 신문지 사이에 끼워 놓아 종이가 촉촉한 상태에서 동판프레스로 찍는다.    오목판화는 프레스로 찍기 때문에 프레스기의 안전교육을 먼저 실시하고 다루도록 한다.

그럼,  수성 모노타입으로 한 학생작품을 감상해 볼까요?

수성 모노타입 작품 감상

수성모노타입-홍익대 멀티미디어과 학생작

수성모노타입-홍익대 멀티미디어과 학생작

수성모노타입-홍익대 판화과 학생작

수성모노타입-홍익대 회화과 학생작

수성모노타입-홍익대 판화과 학생작

수성모노타입-홍익대 회화과 학생작

      

유성 모노타입 재료를 살펴보면?

유성 모노타입 재료

아크릴판, 줄

사포 1000방

롤러

오프셋잉크

프레스, 판

평 나이프, 인쇄바니시, 석유, 화장지, 물 스프레이, 신문지, 도화지 등 프린팅에 필요한 재료…. 


나. 유성모노타입 제작순서

◎ 판 제작

(1)판화를 하고자하는 크기의 아크릴판을 준비한다.
(2)사포 1000방 또는 1200방을 준비하고 1/4크기로 잘라 물에서 가로세로 방향으로 판을 갈아낸다.
(3)굵은 줄로 판 모서리를 갈고 가는 줄로 다시 잘 갈아 마무리 한다.(동판프레스의 펠트가 찍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판 모서리를 갈아야 한다.)
(4)판보다 지름이 큰 롤러로 판에 잉크를 칠한다.
(5)스케치를 보고 면천이나 면봉 등을 이용해 칠하거나 지워가며 이미지를 그린다. 

◎ 프린팅
(6) 판 모서리를 잘 닦아내고 판화지에 물을 뿌려 신문지 사이에 끼워 놓아 종이가 촉촉한 상태에서 동판프레스로 찍는다.

그럼,  유성 모노타입으로 한 학생작품을 감상해 볼까요?

유성 모노타입 작품 감상

유성모노타입-경기예고 학생작

유성모노타입-경기예고 학생작

유성모노타입-경기예고 학생작

유성모노타입-경기예고 학생작

유성모노타입-경기예고 학생작

유성모노타입-경기예고 학생작

 


오샘: 재미있게 배웠지?  

다솜: 예~ 잘 몰랐던 판화를 접하니 가슴이 벅차요. 저도 빨리 해 봐야겠어요. 그런데 판화를 전공하면 진로가 어떻게 되나요?

오샘: 판화과 졸업생 현황을 보면 판화가 또는 화가로    그림을 계속하는 그리는 사람이 있고 방송국 컴퓨터그래   픽디자인너, 무대디자이너, 애니메이션작가, CF감독, 영   화 아트디렉터, 패션디자인너, 미술선생님, 팬시디자인너,   편집디자인너, 일러스트작가 등 다양한 직업을 갖고 있는데 특히 일러스트작가는 현재 판화과가 가장 인기가 많은 편이야.

다솜: 샘~ 너무 재미있게 배웠어요.  사랑해요~

 

 

 

< 판화의 종류 >


1. 볼록판화의 종류

    1. 목 판(Wood Cut)
        1)널목판 기법(Wood Cut)                    
        2)눈목판 기법(Wood Engraving) 
    2. 고무판화(Linoleum)        
    3. 지 판(Collagraph)
    4. 탁본화(Paper Casting)


2. 오목판화의 종류

    1. 동판화(Etching) : 1)라인에칭(Line Etching)
                               2)리프트그라운드에칭(Lift Graund Etching)
                               3)소프트그라운드에칭(Soft Graund Etching)
                               4)포토에칭(Photo Etching) 

    2. 드라이 포인트(Dry Point)                     
    3. 인그레이빙(line Engraving)
    4. 애쿼틴트(Aquatint)
    5. 메조틴트(Mezzotint)


3. 평판화의 종류

    1. 석판화(Lithography) 
    2. 모노타이프(Mono Type)


4. 공판화의 종류

    1. 실크스크린(Silk Screen)
     2. 스텐실(Stenc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