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종예방교육 동영상

 

1. 인형극 빨강모자 꼭꼭이 (18)

 

2. 낯선 사람은 누구지(630)

 

3. 로봇끼오1(24)

 

4. 로봇끼오2(23)

 

실종예방교육 자료보러가기  

 http://study.jr.naver.com/mia/movie.nhn

 

 

 

                                       * 유괴·실종 예방지침

 

내 아이 지키는 유괴·실종 예방지침

갈수록 늘어나는 아동 성범죄

갈수록 늘어나는 아동 대상 범죄로부터 어떻게 하면 내 아이를 지킬 수 있을까. 어린이 재단이 어린이 실종·유괴 예방지침을 공개했다.

 

 

 

실종 예방지침

1단계 멈추기

아이가 길을 잃거나 부모와 헤어지면 제자리에 서서 부모를 기다리게 한다. 부모 역시 자녀가 사라지면 왔던 길을 되짚어 간다. 아이가 당황하지 않고 그 자리에 있으면 쉽게 찾을 수 있다.

2단계 생각하기

혼자 부모를 기다리며 서 있기란 쉬운 일이 아니지만 이름과 연락처 등을 생각하고 기다리게 한다. 평소 자기 이름과 부모 이름, 부모 연락처, 주소 등을 잘 외우고 있는 아이라 할지라도 부모를 잃고 당황하면 쉽게 기억하지 못할 수도 있다. 평소에 자녀와 함께 연습해 잘 익혀 두게 한다.

3단계 도와주세요

부모가 찾으러 갈 수 없을 때나 자녀가 길을 잃었을 경우 주위에 있는 사람(아이와 함께 있는)에게 도움을 요청하도록 교육한다. 또한 가까운 곳에 공중전화를 찾아 긴급통화 112를 눌러 경찰에게 도움을 요청하게 한다. 공중전화는 위치추적이 가능하다. 도움을 청할 때는 길거리에서 만난 사람보다는 건물 안에 있는 가게 주인 등에게 도움을 구하도록 교육한다.

 

 

부모 수칙

1 . 자녀와 함께 다니고, 자녀를 집에 혼자 있게 하지 않기

2 . 이름, 나이, 주소, 연락처, 부모님 이름 등을 기억하도록 가르치기

3 . 자녀의 정면사진을 최소 6개월 단위로 미리 찍어 두고 소지하기

4. 자녀의 신상정보는 잘 보이지 않는 곳에 기입하거나 넣기

5 . 위급상황 시 대처방법을 알려주고 몇 번씩 같이 연습 해보기

6 . 실종예방 3단계 구호(멈추기, 생각하기, 도와주세요)를 암기시키기

7 . 부모와 헤어졌을 때는 돌아다니지 않고 제자리에 멈춰 서 있게 가르치기

8 . 길이 어긋나 못 만났을 경우 부모에게 전화(수신자부담)을 하거나 경찰에 도움을 요청하도록 가르치기

9 . 외출 시 자녀의 옷차림을 기억하기

 

 

일반인 수칙

1 . 절대 아이를 다른 곳으로 데려가거나 자신의 집으로 데려가지 않기

2 . 겁먹은 아이를 잘 달래어 진정시켜 주기

3 . 그 자리에 서서 아이의 부모를 함께 기다리기

4 . 아이의 이름과 연락처 등을 물어보기

5 . 안내방송이나 주위에 도움 요청하기

6 . 경찰청 182에 신고하고 인근 지구대에 데려다 주기

7 . 실종아동 발견 당시 상황을 정확히 설명하기

 

 

 

유괴 예방지침

부모는 자녀에게 낯선 사람을 경계하라고 가르친다. 그러나 유괴범은 낯선 사람을 포함하여 아이들과 인연이 있거나 심지어는 부모와도 잘 알고 있는 사람일 수도 있다. 따라서 부모는 낯선 사람을 경계하도록 가르치는 것뿐만 아니라 아는 사람이라도 무작정 따라가지 않고 부모에게 먼저 말하도록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며 상황에 따른 행동요령을 알려줘야 한다.

부모 수칙

1 . 비상시에 대비하여 자녀의 친구나 그 가족들, 주변 사람들을 미리 알아 둔다.

2 . 자녀의 이름, 주소, 전화번호 등은 눈에 띄는 곳에 적어놓지 않고 옷 안, 신발 안, 가방 안 등 보이지 않는 곳에 써 놓는다.

3. 부모의 허락 없이 다른 사람(낯선 사람뿐만 아니라 아는 사람도 마찬가지)의 차를 타지 않도록 교육한다.

4 . 혼자 있게 하지 않는다.(차 안, 유모차, 공중화장실 갈 때 등)

5. 낯선 차가 접근하면 차량 근처로 가지 않게 한다.

6 . 누군가 억지로 데려가려고 할 때 ‘안 돼요! 싫어요!’ 라고 외치게 한다.

7 . 자녀들이 어디에 있는지 항상 관심을 갖고 지켜본다.

8 . 자녀들이 자신을 스스로 보호할 수 있도록 수칙들을 반복해서 연습시킨다.

자녀 수칙

1 . 누군가 강제로 데려가려고 하면 ‘안 돼요! 싫어요!’ 라고 소리치며 발버둥친다. 그리고 아는 사람이 있는지, 안전한 곳이 있는지 확인하고 밝고 사람이 많은 곳으로 뛰어가 도움을 청한다.

2 . 밝고 환한 곳에서 친구들과 함께 논다.

3 . 낯선 사람이 이름, 사는 곳, 전화번호를 물어보면 절대 알려주면 안 된다.

4 . 아는 사람이 같이 가자고 해도 따라가지 말고 부모님께 먼저 말씀 드리고 허락을 받는다.

5 . 집에 혼자 있을 때에는 문과 창문을 꼭 잠근다.

6 . 집에 혼자 있을 때 누군가 찾아오면 ‘쉿!’ 하고 아무도 없는 척한다.

7 . 만약 말을 하게 되면 부모님이 바쁘니 나중에 오라고 전한다.

8 . 하루에 어떤 일들이 있었는지 엄마, 아빠와 얘기한다.

이인철기자 l 디자인 김효정

 

<2013-2 유괴실종예방 교사.학부모 연수>

 

 

유괴실종 예방교육

동해중앙초등학교

교사 황흥진

 

1. 머리에 쏙쏙 들어오는 유괴예방 교육법

 

. 역할극으로 체험학습을 해요.

유괴시의 위험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머리로만 알고 있는 것은 아무소용이 없습니다. 위험한 상황에서 벗어나려면 재빠르게 행동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유괴·유인의 상황을 역할극으로 공부하면 대처행동을 훨씬 더 쉽고 빠르게 익힐 수 있습니다. 차선으로 역할극 또는 실제 드라마 보여주면 설명보다 훨씬 효과적입니다.

 

. 유괴범은 괴물이 아니에요.

유괴범은 험상궂게 생길 수도 있고 인자하게 생길 수도 있습니다. 오히려 웃는 얼굴로 상냥하게 접근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 친절도 좋지만 자신의 안전이 우선이에요.

길을 묻거나 도움을 청하는 사람에게 친절을 베푸는 것도 좋지만 아이 자신의 안전을 지키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함을 강조합니다.

 

. 아는 사람도 위험해요.

유괴범 중 많은 경우가 아는 사람이라고 합니다. 아이에게 이 점을 강조하고 아는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절대 따라가지 않도록 주지시킵니다. (아이들은 한번 만난 사람도 아는 사람으로 인식하므로 아는 사람에 대한 정확하고 구체적인 교육이 필요합니다. 아는 사람에 대한 교육은 학부모와 협조하여 교육합니다.)

 

. 밝은 분위기에서 지도하세요.

유괴예방교육을 할 때 아이들이 두려워하지 않도록 밝고 재미있는 분위기를 조성합니다.

 

 

 

2. 유괴범은 어떻게 접근하고 유괴할까?

 

유괴 범죄의 단계

1단계 기회 엿보기

유괴범이 범행대상자를 물색하는 것을 기회 엿보기라고 합니다. 다른 아이들이나 어른들로부터 떨어져 있어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아이가 범행대상자가 됩니다. 혼자 다니지 말고 친구들과 함께 무리지어 다니도록 지도합니다.

 

2단계 탐문하기

범행상자가 정해지면 탐문을 하면서 아이의 저항정도를 측정합니다. 아이 곁에 다가가 이름, , 부모님 성함 등을 물어보는데 이때 아이가 저항하거나 의심을 하면 대부분 유괴를 중단합니다. 낯선 사람이 이름 주소 연락처 등 개인 신상에 관한 정보를 물어보면 말하지 않고 빨리 자리를 피하도록 지도합니다.

 

3단계 유괴하기

본격적으로 아이를 유괴하는 단계입니다. 아이를 범행 장소로 데려가서 범행을 저지릅니다. 유괴 예방3단계 행동지침-“안돼요. 싫어요. 도와주세요!”를 숙지하도록 합니다.

 

 

아동 유인·유괴 유형과 예방지도법

. 호기심 유발형

게임기, 선물제공 등을 미끼로 아이의 호기심을 유발하여 유인합니다. 모르는 사람이 물건, 게임기, 과자, 장난감을 건네주면 절대로 받지 않고 부모님께 여쭤보고 받겠습니다.” 라며 정중히 거절하도록 지도해 주세요.

 

. 물리적 강제 동원형

반항하는 아이를 힘을 이용해 억지로 유괴하는 경우입니다. 누군가 강제로 데려가려고 하면안돼요. 싫어요. 도와주세요!”라고 소리치며 발버둥 치도록 합니다. 그리고 밝고 사람이 많은 곳으로 뛰어가 큰 소리로 도움을 요청하도록 지도해주세요.

 

. 지인 사칭형

부모님, 친구, 이웃사촌, 친척 등으로 가장하여 친근감 있게 다가가 유인하거나 유괴하는 경우 입니다. 부모님, 친구, 이웃집 아줌마 등 얼굴을 아는 사람이 같이 가자고해도 따라가지 말고 먼저 부모님께 연락하여 허락받도록 지도해주세요.

 

. 동정심 유발형

글을 읽어달라고 하거나 길을 가르쳐 달라고 하는 등 도움을 요청한 뒤 아이가 응하면 유괴하는 경우입니다. 모르는 사람이 길을 묻거나 하면서 다른 도움을 요청하면 잘알아도 모른다고 정중히 거절하고 다른 어른에게 도움을 구하라고 말하도록 지도해주세요.

 

 

상황별·장소별 유괴예방 교육법

. 낯선 사람이 말을 걸때

아이들은 어른이 물어보면 의심하지 않고 쉽게 대답을 하기 때문에 유괴범은 금새 아이의 인적사항을 알아냅니다. 따라서 아이가 부모님이나 선생님으로부터 떨어져 혼자 있을 때 아이에게 이러한 질문을 던지는 사람은 그 누구든지 위협적인 사람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해 주세요.

 

낯선 사람이 말을 걸어오면 모른척하고 지나갑니다.

도움을 요청하면 다른 어른에게 물어보라고 하며 정중히 거절합니다.

이름과 주소 연락처 등 개인 신상에 관한 정보를 말하지 않습니다.

부모님 이름과 회사명 휴대 전화번호 등 보호자에 관한 정보를 말하지 않습니다.

길거리에서 묻는 경우 행선, 목적 등을 말하지 않습니다.

 

. · 하교 시 거리에서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 보호자 없이 아이가 혼자 등·하교를 허락하기 전에 다음과 같은 것을 확인해야 합니다. 우선 아이가 보호자, 교사, 부모 없이 혼자 하교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 묻습니다. 그리고 아이가 위험한 상황에 빠졌을 때 도움을 요청할만한 곳(상점 기관 등이 있는지 알아봅니다. 또 아이가 어려운 상황에 빠졌을 때 대처행동을 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해 확인합니다.

 

자동차의 진행방향과 반대로 걷고 도로와 떨어져서 인도 안쪽으로 걷는 습관을 기릅니다.

집과 멀리 떨어진 곳에서 혼자 걷거나 놀지 않고 인적이 드문 길로 다니지 않습니다.

누군가 따라온다면 반대방향으로 돌아서 낯선 사람을 피해 뛰어간 다음 슈퍼나 문방구등의 아동 안전지킴이집으로 들어가 도움을 청합니다. 아동 안전지킴이집이 없으면 일반슈퍼나 문구점, 가정집도 상관없습니다.

낯선 사람이나 낯선 차와는 최소한 2.7미터 양팔 너비의 두 배 이상의 거리를 유지합니다. 이 정도거리를 유지해야 하는 이유는 사람이 위험을 인지하고 반응하기까지 약간의 시간차 약0.5초 정도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