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19282611_그림책사본-지각대장존.zip

1321712309_공원에서일어난이야기.zip

2011. 6.22 미술과 친구되기 활동-그림책 읽기

* 장소 : 동해중앙초등학교 과학실

*일시 : 2011. 6.22(수) 15.30-17:00

*대상 : 미술교과연구회원 18명

*강사 : 교사 황흥진

* 내용 : 그림책 읽기

1. 그림책이란 무엇인가?

2. 그림책 읽기- 공원에서 일어난 이야기, 지각대장존

* 그림책이란 무엇인가?

- 그림과 글이 상호 다른 메시지로 만나 새로운 메시지로 전달하는 책

- 실전 읽기로 생각하기

지각대장 존 / 공원에서 일어난 이야기









*공원에서 일어난 이야기- 네 사람의 시각



1. 책 소개

같은 시간과 같은 공간에서 일어나는 서로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 많은 어린이와 부모님께 사랑 받는 작가 앤서니 브라운의 통찰력을 느낄 수 있는 작품입니다. 세련된 엄마와 외로운 남자아이 찰스, 가난한 아빠와 발랄한 여자아이 스머지, 네 사람의 눈을 통해 공원에서 벌어지는 네 가지의 삶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 시대, 단절된 모습을 은유 하듯, 이야기는 퍼즐처럼 네 개의 이야기로 분할 구성되었고, 모든 이야기를 짜 맞추어야 전제적인 내용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커다란 집에서 외롭게 지내는 찰스와 엄마는 빅토리아라는 이름의 개를 데리고 공원으로 산책을 나갑니다. 같은 시간 얼룩진 작업복의 스머지 아빠와 스머지도 같은 공원으로 향하지요. 우연이었을까요. 얼굴 한 번 본 적 없는 이들은 같은 벤치에 앉게 됩니다. 그리고 시작되는 이들의 이야기는 만남의 장소라 여기었던 옛 모습의 공원과 불신과 적의라는 현대 사회를 대변하는 듯 합니다.

끈이 풀리자마자 뛰어 다니는 강아지들과, 어색한 사이는 잠시, 만나자마자 금새 친해지는 아이들과는 다르게 어른들은 신문을 읽고 경계를 하는 행동을 보입니다. 이는 붉게 물든 나무가 가득한 공원의 모습이 으스스하게 느껴지는 것과 일치하는 느낌이라 할 수 있지요. 책장을 넘길수록 눈에 들어오는 것이 많은 그림책으로 한 방향으로 흐르는 이야기에 익숙한 아이들에게 네 가지 시선으로 구성된 책은 낯선 만큼 새로운 눈을 틔어 주기에 손색이 없습니다.

2. 저자 및 역자 소개

앤서니 브라운(Anthony Browne)

영국 쉐필드에서 태어났고 리즈 칼리지에서 그래픽 디자인을 전공했다. 작가이자 일러스트레이터인 그는 20권이 넘는 어린이책을 냈고「공원에서 일어난 이야기」로 <케이트 그링어웨이 상>과 <마쉴러 상>을 수상했다. 대표작으로는「돼지책」「고릴라」「미술관에 간 윌리」「우리 아빠가 최고야」등이 있다.

3. 옮긴이 소개 김향금

서울대 국문학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고전문학을 전공했다.「어디 어디 숨었니?」「아무도 모를 거야, 내가 누군지」등을 썼고,「말썽꾸러기를 위한 바른생활 그림책」「야옹이가 제일 좋아하는 색깔은?」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4. 책 읽기 강의 요약

우리는 공원에 온 네 사람의 눈을 통해 네 가지 다른 삶의 모습을 봅니다. 한 엄마는 아들 찰스와 개를 공원에 데리고 가서 저녁 식사에 대해 생각하고, 한 아빠는 딸 스머지와 개가 노는 모습을 보면서 신문의 구인 광고를 봅니다. 찰스와 스머지가 만나 함께 노는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서 다른 네 가지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작가 앤터니 브라우니는 잠깐 동안 공원에 다녀오는 아주 흔한 경험을 소재로 한 "공원에서 일어난 이야기"를 통해서 그 자신이 창조적인 이야기 작가이자 그림 작가임을 마음껏 뽐내고 있다. 앤터니 브라운은 그의 그림 속에 나오는 이상한 모양의 나무, 나뭇잎으로 변하는 발자국, 색다른 모습의 산타 클로스 등을 통해 우리에게 뭔가 들리지 않는 이야기를 해주고 있는 듯하다. 아이들은 다양하게 변하는 배경 그림의 수수께끼를 풀어 나가면서 작가의 독창성에 못지않은 사고력을 키울 수 있을 것이다.

찰스의 엄마에게 보이는 공원은 너무도 위험스럽다.

그녀에게는 동질감이란 사치스러운 존재이며, 할 수 있는 생각은 너무나 자기중심적이다.

그녀는 모르고 찰스는 알고 있다. 그래서 어둡다.

스머지의 아빠에게 공원은 너무도 태평스럽다.

그에게는 동질감이란 무관심의 존재이며, 할 수 있는 생각은 너무나 현실적이다.

그는 모르고 스머지는 알고 있다. 그래서 잿빛이다.

스머지와 찰스의 눈으로 보이는 공원의 모습은 아름답고 평화롭고 즐겁다.

그래서 어린아이들의 눈에 보이는 공원은 자기가 하고 싶은 것을 하면서 즐기는 놀이공간이다.

이미 알고 있는 듯 그래서 공원은 밝고 화창하고 활기차다.

<공원에서 일어난 이야기>는 다양한 시각으로 똑같은 상황을 이야기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너무도 다른 시각으로 다가오고 그것은 남녀노소로 구분하기 어렵다.

'공원에서 일어난 이야기' 읽기




















감사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