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강원 2016.4.14>

 

추운 계절의 그림 '세한도'

 

1884세한도(歲寒圖)’ 추사김정희 국보180

  세한도(歲寒圖)는 우리나라 서예의 대가 추사김정희 선생님의 회화작품입니다. 언뜻 보면 아무라도 쉽게 그릴 수 있을 듯 엉성한 그림으로 보이지만, 국보 180호로 지정된 이 그림의 의도와 표현을 보면 놀라지 않을 수 없습니다. 우선 제목을 보죠. ‘세한도(歲寒圖)’ 한자 그대로를 풀이하면 추운 계절의 그림이란 뜻입니다. 여기서 추운계절 세한(歲寒)에 담긴 의미는 설명이 좀 더 필요한데요, 추사선생님께서 생존하셨던 상황으로 돌아 가봅니다. 그 당시에도 지금처럼 당파싸움이 한창일 때였습니다. 추사선생님의 아버지께서 강한 세력에 밀리자, 정권을 잡은 세력에 의해 쫓겨났고, 추사는 아버지의 일에 가담하였다하여 제주도로 가장 엄한 유배를 떠납니다. 유배기간이 무려 8년이 넘었는데 이 시절을 추사는 가장 잔혹하고 힘든 시기로, ‘세한(歲寒)’이란 바로 이 때를 뜻합니다. 이 고통스러운 유배생활 중 그의 제자 이상적에게 보낸 그림이 바로 세한도(歲寒圖)’입니다. 그럼 추사는 제자 이상적에게 왜 이런 그림을 보냈을까요?

 

초라하지만 행복한 그림

  그림의 내용을 한번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그림에 보면 황량한 황무지에 쓰러져 가는 집 한 채와 소나무와 잣나무가 서 있습니다. 여기서 풀 한포기 없는 황무지에 쓰러져가는 집은 초라한 자신을 나타냈고, 언제나 변함없이 사철 푸른 소나무와 잣나무는 제자 이상적을 나타 냈답니다. 제자 이상적은 유배지로 떠난 스승 추사를 변함없이 존경하였고, 외교관이었던 이상적은 중국에 갈 때 마다, 스승께 드릴 책들을 구해서 몰래 유배지로 보냈답니다. 이 사실이 발각되면 처형될 수도 있었지만, 스승을 향한 그의 마음은 오직 일편단심이었습니다. 추사는 이 제자의 고마움을 그림으로 표현하여 답장을 했는데 바로 세한도(歲寒圖)입니다. 그는 세한도에 세한연후지, 송백지후조(歲寒然後知, 松柏之後凋)’라는 글귀도 함께 보냈습니다. ‘추운겨울이 되어서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시들지 않는 지조를 안다는 뜻으로 어렵고 힘들 때 진정한 친구를 알 수 있는 법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세한도란 초라한 추사의 신세를 서글프게 표현한 그림 같지만, 이 고통 속에서도 든든하고 진정한 친구가 있음을 나타낸 행복한 그림이 아닌가 합니다.

 

 

* ‘대륙을 놀라게 한 표현력

   

추사체

 

  사실 제주도에는 소나무는 있지만 잣나무는 자라지 않는다고 합니다. 추사가 제자 이상적의 인품을 표현하기 위해, 사실에 매이지 않고, 상징적인 표현 방법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제자 이상적은 스승이 그려준 세한도를 중국의 시인들에게 보여주었는데, 추사의 표현력과 예술성에 감동한  중국 시인들이 시를 지어 추사에게 보냈다고 합니다.

  진정한 예술은 혹독한 고통 속에 탄생된다고 하였던가요. 김정희선생님은 유배중에서도 벼루 10개를 밑창내고, 1000자루를 몽당붓으로 만든 열정으로 추사체라고 하는 독특한 서체를 창조한 위대한 예술가였습니다.

<정라초 교사 황흥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