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2012.12.12 미술과 친구되기-도자문화의 이해와 체험
*일시 : 2012.12.12 15:00-17:00
*장소 : 동해중앙초등학교 3-4 교실
*강사 : 강원도예 김병욱 선생님
* 도자기의 종류
도자기는 도기와 자기의 합성어이구요.
- 토기 : 선사시대부터 사용된 유약을 바르지 않은 그릇.
- 도기 : 실내타일,변기 등.
- 자기 : 1.200도 이상 구워진 최고급 도자기.
- 석기 : 음식물을 끓이는 그릇, 뚝배기 등.
고려의 청자, 조선의 백자와 분청사기가 유명하고, 세계적으로 중국은 도자기의 종주국으로, 송의 청자와 명나라의 백자가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 도자기의 제작과정
1. 제토(흙고르기): 흙의 종류는 청자토, 백자토, 석기토, 옹기토, 조합토등이며, 일정한 습도와 끈기를 유지 해야하고, 흙속의 공기를 빼주고, 반죽을 잘해 주어야 합니다.
2. 성형(만들기)
1.물레성형: 고려청자 조선백자와 함께 현대에도 많이 이용되는 기법으로 고도의 숙련과 노력이 필요.
2.말아빚기(coiling): 흙의 띠를 길게 말아서 쌓아 올리는 기법으로 다양한 형태의 제작이 가능.
3.판성형기법: 밀대로 흙을 밀어 만든 흙판으로 여러 모양의 형태가능.
4.주물럭기법(pinching): 송편을 만들듯이 손으로 빚어서 만드는 기법.
5.틀(moulding)성형기법: 석고틀을 이용하여 흙물로 만드는 기법.
3. 장식
그림,조각을 여러기법으로 그리거나 색깔을 나타내는 중요한기법으로 성형한후 바로 하는 장식과 초벌구이 한후 장식하는 기법으로 나누어집니다.
4. 건조
건조는 통풍이 잘되는 그늘에서 서서히 해야하며, 휘거나 균열이 가지 않도록 합니다.
5. 초벌구이(600-900도)
완전 건조된 도자기를 가마에 넣고, 서서히 소성(굽기) 합니다.
6. 핸드페인팅(handpainting)
초벌된 머그나 접시등의 그릇에 도자기용 안료나 파스텔,연필 등으로 그림을 그리는 기법입니다.
7. 시유(유약칠하기)
도자기에 유리질의 피막을 만들어 아름답게 해주는 과정으로 담금법, 분무법 등이 있습니다.
8. 재벌구이(1.200-1.300도)
산화, 중성, 환원염 소성이 있고, 동양은 환원염소성, 서양은 산화염소성이 발달 되어왔습니다. 연료는 나무, 가스, 전기 등으로 다양하고, 불을 때는 방법과 유약, 온도에 따라 매우 다양한 소성이 이루어집니다.
*도자기(陶瓷器)의 명명법(命名法)
도자제품의 이름을 붙이는 명명법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는데 이름을 붙이는 원칙은 종류, 장식, 문양, 형태의 순서로 명명하며, 자연의 물체를 본떠서 만든 상형자기(象形瓷器)는 ‘청자귀형주자(靑瓷龜形酒子)’과 같이 그 본뜬 모양으로 부른다. 그리고 장식(裝飾)과 문양(文樣)은 중복이 가능하며, 주된 안료(顔料)를 앞세운다. ① 종류에 의한 분류 : 청자, 백자, 분청사기, 청화백자, 백자 등 ③ 장식에 의한 분류 : 모깎기, 투각, 상감, 음각, 양각, 인화, 청채, 철채 등 ④ 문양에 따른 분류 : 매화문, 죽문, 연화문, 화조문, 당초문 등 ⑤ 형태에 따른 분류 : 매병, 편병, 연적, 주자, 호(壺 : 항아리) 등 <예> ○ 이름을 붙이는 순서 - 청자음각연단문외형주자 ○ 장식의 중복 - 백자음각총청채필세(白磁陰刻總靑彩筆洗) ○ 문양의 중복 - 청자상감운학문매병(靑瓷象嵌雲鶴文(紋)梅甁 |
'미술교과교육연구회 > 2014 동해초등미술교육연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2미술과 친구되기-사진의 기초와 촬영법 (0) | 2013.01.24 |
---|---|
2012 미술과 친구되기-미술의 이해와 감상 '존재의 거울' (0) | 2012.12.22 |
2012.7.11 미술과 친구되기-천연염색실습 '감염색' (0) | 2012.08.19 |
2012.6.27 미술과 친구되기-천연염색실습 '쪽 염색' (0) | 2012.08.19 |
2012.6.13 미술과 친구되기-홍화염색 실습 / 6.20 - 석류염색 (0) | 2012.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