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성인학습의 지도원리

1) 뢰너트(Kroejnert)가 제시한 성인학습 지도원리 <뢰너트가 제시한 다음의 성인학습지도 원리는 성인 뿐 아니라 아동 및 청소년의 학습지도에 있어서도 적용될 수 있다>

① 근접성의 원리- 선행하는 학습과 후행하는 학습이 시간적, 공간적, 표상적으로 근접 또는 유사성을 띌 때 학습이 잘 일어난다.

 

② 적합성의 원리- 모든 학습자료는 학습자의 요구에 잘 부합하는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성인학습지도자는 학습자의 요구를 잘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③ 동기부여의 원리- 쏜다이크의 학습의 법칙 중 ‘준비성의 법칙’은 학습할 준비가 되어 있을 때 학습이 잘 일어난다는 것이다. 학습자들을 학습에 대해 준비시키는 것은 그들에게 학습에 대한 동기를 부여함으로써 가능하다. 따라서 성인학습지도자 는 학습자들이 잘 아는 쉬운 내용부터 시작해서 잘 모르고 어려운 내용으로 수업을 전개하는 것이 좋으며, 학습자들의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을 가질 필요가 있다.

 

④ 우선성의 원리- 처음에 배운 내용이 가장 잘 학습된다. 따라서 성인학습지도자는 수업의 도입부를 흥미롭게 구성해야 할 뿐 아니라 수업의 목표와 전체적인 뼈대를 초반에 제시할 필요가 있다.

 

⑤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의 원리- 교수와 학습자 간에 그리고 학습자 상호간에 활발한 상호작용이 있을 때 학습이 잘 일어난다. 따라서 성인학습지도자는 자신과 학습자간의 활발한 상호 작용을 이끌어낼 필요가 있다.

 

⑥ 피드백의 원리- 적절한 피드백은 학습의 효과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다. 쏜다이크의 학습의 법칙 중‘효과의 법칙’은 적절한 보상이 주어질 때 학습이 보다 빨리 일어난다는 것이다. 따라서 성인학습지도자는 수업시간 중에 적절한 피드백(보상, 형성평가, 요점정리 등)을 틈틈이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적절한 보상은 학습자 뿐 아니라 교수자에게도 중요하다. 즉 학습자에 대한 교수자의 보상이 학습자에게 힘을 주듯이 교수자에 대한 학습자의 보상은 교수자의 수업활동에 힘을 불어 넣어준다.

 

⑦ 참여학습의 원리- 학습자가 학습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때 학습 의 효과는 커진다. 따라서 성인학습지도자는 학습자들의 언어적 참여 뿐 아니라 실제적 활동에의 참여를 통해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⑧ 다중감각을 활용한 학습원리- 한 가지 감각을 통한 학습보다는 여러 가지 감각을 통한 학습이 보다 효과적이다. 따라서 성인학습지도자는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지도할 필요가 있다.

 

⑨ 반복학습의 원리- 쏜다이크의 학습의 법칙 중 ‘연습의 법칙’은 반복이 학습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시간이 오래 결려서 그렇지 반복만큼 학습의 효과를 높이는 확실한 방법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성인학습지도자는 에습, 실제 수업 에서의 학습, 복습, 숙제(과제)와 같이 동일한 학습 과제를 반복적으로 학습하는 일련의 과정을 학습자들이 잘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다.



뢰너트(Kroejnert)가 제시한 다음의 성인학습지도 원리는 성인 뿐 아니라 아동 및 청소년의 학습지도에 있어서도 적용될 수 있는 것임.

1) 근접성의 원리

- 선행하는 학습과 후행하는 학습이 시간적, 공간적, 표상적으로 근접 또는 유사 성을 띌 때 학습이 잘 일어난다.

cf. 구쓰리(Guthrie)의 인접(근접)의 법칙(시간적 근접): 제 4장 보충학습자료 참조.
- 어떤 일정한 시기에 유기체가 직면하게 되는 자극들이 너무 많아서 유기체는 그 자극들 모두와 결합을 형성할 수 없고, 따라서 그가 직면하는 자극과 그에 대한 반응의 결합은 시간적으로 매우 인접한 경우에 일어난다. 따라서 수업 시간 중에 자주 요점정리를 해주고, 종료시점에 요점을 강조할 필요가 있음.

cf. 학습의 전이 (표상적, 내용적 근접)
- 학습의 목적은 기존의 학습이나 경험이 새로운 상황에서 적용될 수 있는 행동으로 변화를 가져오는 데 있기 때문에 학습효과의 전이는 교육에서 매우 중요하다.
- 전이(transfer)란 어떤 상황에서 학습한 내용을 새로운 장면에 적용하거나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이는 기억의 구조면에서 보면 주로 장기기억과 관련되어 있다.
- 선행학습이 새로운 상황에서의 학습에 도움이 되는 것을 정적 전이(positive transfer)라고 하며, 선행학습이 후속되는 학습에 방해가 되는 것을 부적 전이(negative transfer)라고 한다. 그런데 수업은 원칙적으로 정적 전이가 일어난다는 것을 전제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 전이가 잘 일어나기 위한 조건으로는 선행학습과 후행학습에서의 학습자료의 유사성, 선행학습과 후행학습 간의 시간적 근접성, 충분한 선행학습 등을 들 수 있다.
- 전이에 관한 이론(방송대 교육심리학 교재 186-190쪽 참조)
① 형식도야설(formal discipline theory) : 어떤 기본 교과의 집중적 훈련은 다른 교과의 학습에 도움이 된다는 설. 19세기말까지는 라틴어, 수학 등 어려운 과목을 집중적으로 훈련시키면 다른 교과의 학습을 원활하게 하는 것으로 믿었다.
② 동일요소설(identical element theory) : 20세기 초에 쏜다이크(Thorndike)는 어떤 교과가 다른 교과보다 우수하다는 증거가 없다고 주장하면서 형식도야설을 비판하고 나섰다. 그는 선행학습과 후행학습 간에 영향을 주고받는 기능에 동일한 요소가 포함되어 있을 때에만 학습의 효과가 확대된다고 주장한다. 예컨대 수학과목에서의 추리력의 학습은 논리학에서의 추리 학습에 전이가 일어나고, 라틴어의 학습은 라틴어에 어원을 둔 영어 학습에 전이가 일어난다는 것이다.
③ 일반화설(generalization theory) : 젓드(Judd)가 주장한 것으로서, 선행학습과 후행학습 사이에 놓여있는 일반적 원리를 학습자가 경험을 통하여 일반화함으로써 후행학습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이다. 일반화설은 동일요소설을 확장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④ 형태이조설(transposition theory) : 형태심리학자들이 주장한 것으로서, 어떤 상황에서 완전한 형태의 수단-목적 관계를 전체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일반적 원리를 이해하는 것보다 전이가 더 잘 일어나게 한다는 주장이다. 형태이조설은 일반화설을 확장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2) 적합성의 원리

- 모든 학습자료는 학습자의 요구에 잘 부합하는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성인 학습지도자는 학습자의 요구를 잘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3) 동기부여의 원리
- 쏜다이크(Thorndike)의 학습의 법칙 중 준비성의 법칙은 학습할 준비가 되어 있을 때 학습이 잘 일어난다는 것이다. 학습자들을 학습에 대해 준비시키는 것은 그들에게 학습에 대한 동기를 부여함으로써 가능하다. 따라서 성인학습지도자는 학습자들이 잘 아는 쉬운 내용부터 시작해서 잘 모르고 어려운 내용으로 수업을 전개하는 것이 좋으며, 학습자들의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을 가지고 있을 필요가 있다.

4) 우선성의 원리
- 처음에 배운 내용이 가장 잘 학습된다. 따라서 성인학습지도자는 수업의 도입부를 흥미롭게 구성해야 할 뿐 아니라 수업의 목표와 전체적인 뼈대를 초반에 제시할 필요가 있다.

5)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의 원리
- 교수와 학습자 간에, 그리고 학습자 상호간에 활발한 상호작용이 있을 때 학습이 잘 일어난다. 따라서 성인학습지도자는 자신과 학습자 간에, 그리고 학습자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이끌어낼 필요가 있다.

cf.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의하면 이 세상에 커뮤니케이션 아닌 것은 없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은 음성적(音聲的)인 것(digital communication)과 비음성적(非音聲的)인 것(analogic communication)으로 구분되는데, 음성적인 커뮤니케이션도 중요하지만 비음성적인 커뮤니케이션도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대화 요소다. 따라서 교수자는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언어적으로 정확하게 잘 전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학습자를 바라보고 이해하며 대하는 데 있어서도 긍정적인 태도를 취할 필요가 있다.

6) 피드백의 원리
- 적절한 피드백은 학습의 효과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다. 쏜다이크(Thorndike) 의 학습의 법칙 중 효과의 법칙은 적절한 보상이 주어질 때 학습이 보다 빨리 일어난다는 것이다. 따라서 성인학습지도자는 수업시간 중에 적절한 피드백(보상, 형성평가, 요점 정리 등)을 틈틈이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적절한 보상은 학습자 뿐 아니라 교수자에게도 중요하다. 즉 학습자에 대한 교수자의 보상이 학습자에게 힘을 주듯이, 교수자에 대한 학습자의 보상은 교수자의 수업활동에 힘을 불어 넣어준다.

7) 참여학습의 원리
- 학습자가 학습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때 학습의 효과는 커진다. 따라서 성인학습지도자는 학습자들의 언어적 참여 뿐 아니라 실제적 활동에의 참여 를 통해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8) 다중감각을 활용한 학습원리
- 한 가지 감각을 통한 학습보다는 여러 가지 감각을 통한 학습이 보다 효과 적이다. 따라서 성인학습지도자는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지도할 필요가 있다.

9) 반복학습의 원리
- 쏜다이크(Thorndike)의 학습의 법칙 중 연습의 법칙은 반복이 학습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시간이 오래 걸려서 그렇지 반복만큼 학습의 효과를 높이는 확실한 방법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성인학습지도자는 예습, 실제 수업에서의 학습, 복습, 숙제(과제)와 같이 동 일한 학습과제를 반복적으로 학습하는 일련의 과정을 학습자들이 잘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다.

출처 : 댄스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