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許蘭雪軒
생몰년도: 1563년(명종 18)-1589년(선조 22)
본명; 초희(楚姬)
자; 경번(景樊)
호; 난설헌(蘭雪軒)
활동분야: 문학
띠를 매고 수건을 두르니 마치 선녀가 된 것 같았지요.
바람 차며 오색 그넷줄 하늘로 날아오르자.
노리개 소리 댕그랑 울리고 푸른 버드나무엔 아지랑이 피어났어요.
허난설헌이 꿈 많은 소녀 시절에 지은 시이다. 세속적인 근심이 하나도 묻어나지 않는 밝고 가벼운 분위기가 느껴진다.1563년(명종 18) 강릉 초당리에서 허엽의 딸로 태어난 그의 유년 시절도 그랬다.
허난설헌은 청렴 결백한 대학자인데다 대사헌까지 오른 아버지,여성에게 글을 가르치지 않던 시대에 여동생에게 학문의 길을 열어준 둘째 오빠 허봉의 배려와 사랑 학문과 예술을 숭상하며 개방적이고 자유로웠던 가풍 속에서 마음껏 글을 읽고 시를 지었다.
아버지가 서경덕 밑에서 수학하여 집안에 도교 관련 서적들이 많았다. 어려서부터 이런 책들을 통해 신선 세계에 대한 상상력을 길렀던 허난설헌은 일곱 살 때 신선 세계의 광한전에서 백옥루를 짓고 있는 모습을 상상하고 〈광한전백옥루상량문〉을 지어 신동이 라는 소리를 듣기도 했다.
여동생의 재능을 아꼈던 허봉은 허난설헌이 막냇동생 허균과 함께 이달에게 학문과 시를 배우도록 주선해주었다. 이달은 서얼이었지만 학문적 재주가 출중해 시의 천재라고 불렸는데,특히 낭만적인 당나라시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이러한 그의 경향은 허난설헌에게까지 이어졌다.
자유롭고 행복했던 허난설헌의 소녀 시절은 결혼으로 그 막이 내린다. 정확한 연도는 전하지 않으나 대략 열여섯 살 무렵 허난설헌은 안동 김씨 집안의 김성립과 혼인했다. 명문가의 집안으로 시집을 갔지만,한 살 위였던 남편은 허난설헌을 담기에 그릇이 작았다. 허난설헌의 문장과 학식에 열등감을 가졌던 남편과의 사이는 결혼 초기부터 원만치 않았다. 남편은 글공부를 이유로 집을 떠나있는 날이 많았지만,거듭 과거에 낙방했고, 나중에는 기방에 드나들기 까지 했다.
진보적이었던 친정과 달리 엄격한 사대부 집안이었던 시집의 분위기도 허난설헌의 숨통을 죄었다. 먹과 붓을 가까이하며 자랐던 그에게 집안 살림은 익숙지 않았고 집안 살림에 서툴고 남편과 사이가 안 좋은 며느리가 시어머니에게 고울 리 없었다. 여기에 지식을 잃는 슬픔까지 겹쳤다. 아이 둘을 모두 어려서 앓고 그는 통곡하며 시를 썼다.
올해는 사랑하는 이들을 잃었구나.
슬프고 슬픈 광릉 땅에,
두 무덤이 마주보고서 있는데
쓸쓸한 바람 백양나무에 불어오고,
도깨비불 반짝이는 숲 속에서
지전 날리며 너의 혼을 부르노라.
술잔 따라 네 무덤 앞에 바치노라.
가엾은 너희 형제 넋은
밤 마다 서로 만나 놀고 있으려나.
비록 배에 아이를 가지고 있다지만,
어찌 잘 자라 나기를 바라겠는가.
하염없이 슬픈 노래 부르며,
슬픈 피눈물만 속으로 삼키노라.
허난설헌이 마음을 붙일 곳은 시와 독서밖에 없었다. 그는 현실에 대한 절망감을 탈피하기 위해 신선 세계를 동경하는 시를 많이 지었다. 또 야사에 따르면 늘 화관을 쓰고 향로나 향합을 놓는 상인 향안과 마주 앉아 시를 지었다고 한다. 어렸을 때부터 많이 보았던 도교 관련 책들의 영향을 받아,속세를 벗어나 선계에서 노니는 유선시(游仙詩)를 많이 지었는데,조선은 물론 중국에서도 유선시를 지은 여성 작가는 허난설헌밖에 없다.
“화관 쓰고 꽃망토에 아흡폭 무지개 치마 차려 입으니/한가락피리 소리 푸른 구름사이에 울린다/ 용 그림자,말 울음소리, 창해의 달빛/ 상양군(上陽君) 만나러 십주(十洲)에 간단다"
시 속에서 그녀는 마음껏 자유롭고 호쾌하다.
한편,가난하고 천대받는 이웃에 대해 관심을 갖고 당시 사회에 강한 비판의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라는 구절이나
라는 구절은 상당히 진보적인 생각을 보여준다.
친정의 몰락으로 허난설헌은 더욱 마음 둘 곳 없는 신세가 된다. 아버지 어머니의 연이은 죽음,둘째 오빠 허봉의 귀양,그리고 귀양 뒤 방랑하던 허봉의 죽음은 그에게 견디기 어려운 현실이었다. 중국에 사신으로 갔을 때 선물로 받은 중국 최고의 시인 두보의 시집을 보물처럼 간직하다 주며 두보의 뒤를 잇는 위대한 작품을 쓰라고 격려해주던 허봉은 허난설헌에게 스승이며 친구였고 글벗이었다.
그런 허봉이 죽은 다음 해 허난설헌도 스물일곱의 짧은 생애를 마감한다. 야사는 그가 자신의 죽음을 예견했다고 전한다. 어느 날 갑자기 목욕 후 옷을 갈아입고서 집안사람들에게 금년이 바로 세 번째 아흡수(27세)인데,오늘 연꽃이 서리를 맞아 붉어졌으니 내가 죽을 날이다. 내가 지은 시들은 모두 불태워버리고 나처럼 시를짓다 불행해지는 여인이 다시는 나타나지 않도록 하라”고 말하고는 홀연히 세상을 떠났다. 근래 허난설헌의 자살 설을 제기하는 학자도 있지만, 심증에 불과할 뿐이다.
허난설헌은 뛰어난 재능과 시대를 앞선 눈을 가졌지만“부인은 정치와 사람들을 관리하는 일에 종사하지 않으며,사회와 내왕하지 않는 것이 도리이다. 여인의 직책은 단지 가사에 종사하는 것이다(《백호통의》)"라는 생각이 지배하던 사회의 벽에 부딪혀 젊은 나이에 아까운 생을 마쳤다.
'2018정라4-4 > 학습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원도의 인물-허목 (0) | 2018.04.03 |
---|---|
강원도의 인물- 책'허난설헌' (0) | 2018.04.03 |
강원도의 인물-목조대왕 (0) | 2018.04.03 |
강원도의 인물 (0) | 2018.03.31 |
삼척의 문화유산- 삼척기줄다리기 (0) | 2018.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