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초등학교 경제 NIE 이렇게 공부해요!
NIE란 신문(Newspaper)을 활용한(In) 교육(Education) 즉 ‘신문활용교육’을 말합니다. 신문을 이용해 공부를 함으로써 사고력·문제해결력·정보활용능력 등을 키울 수 있습니다. 특히, <아하경제>를 이용한 경제 NIE는 주변에서 보고, 듣고, 느낄 수 있는 최신의 경제 관련 자료로 교과서에서 배우는 여러 경제 개념과 현상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아하경제>에서 매주 만나는 ‘초등 경제 NIE’로 어렵게만 느껴지고, 멀게만 느껴졌던 ‘경제’와 더욱 친해지는 기회가 되기 바랍니다.
집필은 이렇게 합니다!
가. 생활 주변의 경제 현상과 시사성 있는 경제 문제로 학생들이 경제용어나 경제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집필합니다.
나. 다양한 경제적 사고를 할 수 있는 문제로 경제에 올바른 태도와 가치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합니다.
다. 도표·그래프·통계 자료 등 다양한 경제 자료를 이용해 분석하고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라. 신문자료를 읽고 내용을 파악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문제를 구성합니다.
마. 경제 논술 문제로 비판적 사고와 논리적 글쓰기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구성합니다.
바. 경제 NIE로 경제에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합리적 의사결정능력을 기를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이렇게 공부하세요!
가. 생활 주변의 경제 현상과 문제에 호기심을 가지고 학습을 한 뒤 여러분의 일상생활 모습과 비교해 보고 확인해 보세요.
나. 나만의 경제 NIE 공책을 만들어 매주 학습하고 난 뒤 스크랩하기·경제일기 쓰기·논술하기·비판적인 글쓰기를 해 보세요.
다. NIE에 나온 신문기사 주제와 관련이 있는 다른 신문기사를 찾아보고 두 기사를 서로 비교·분석해서 자신의 생각을 글로 써 보세요.
라. NIE에서 배운 경제 개념과 용어를 정리하고 실제 생활에 적용되는 상황을 찾아보세요.
마. 친구나 부모님과 함께 NIE에 제시된 경제 문제를 토의해 보고 다른 사람의 생각과 내 생각을 비교해 보세요.
집필은 이렇게 합니다!
가. 생활 주변의 경제 현상과 시사성 있는 경제 문제로 학생들이 경제용어나 경제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집필합니다.
나. 다양한 경제적 사고를 할 수 있는 문제로 경제에 올바른 태도와 가치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합니다.
다. 도표·그래프·통계 자료 등 다양한 경제 자료를 이용해 분석하고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라. 신문자료를 읽고 내용을 파악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문제를 구성합니다.
마. 경제 논술 문제로 비판적 사고와 논리적 글쓰기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구성합니다.
바. 경제 NIE로 경제에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합리적 의사결정능력을 기를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이렇게 공부하세요!
가. 생활 주변의 경제 현상과 문제에 호기심을 가지고 학습을 한 뒤 여러분의 일상생활 모습과 비교해 보고 확인해 보세요.
나. 나만의 경제 NIE 공책을 만들어 매주 학습하고 난 뒤 스크랩하기·경제일기 쓰기·논술하기·비판적인 글쓰기를 해 보세요.
다. NIE에 나온 신문기사 주제와 관련이 있는 다른 신문기사를 찾아보고 두 기사를 서로 비교·분석해서 자신의 생각을 글로 써 보세요.
라. NIE에서 배운 경제 개념과 용어를 정리하고 실제 생활에 적용되는 상황을 찾아보세요.
마. 친구나 부모님과 함께 NIE에 제시된 경제 문제를 토의해 보고 다른 사람의 생각과 내 생각을 비교해 보세요.


문종국 서울 성내초 교장 (회장)
△서울교대·성균관대 법대 졸, 연세대 교육대학원 졸 △서울 한산초 교사, 잠실초 교감 △교육과학기술교육부 교과용도서(사회) 집필위원(현재), 교육과학기술교육부 교과용도서(사회, 슬기로운생활) 심의위원(현재), 한국초등교육과정연구회 부회장(현재), 서울초등사회과교육연구회 부회장(현재), 서울초등사회과수업개선 지원단 단장(현재), 한국초등경제연구회 회장(현재), 서울NIE 연구회 회장(현재)

△서울교대 졸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문항 개발위원(2003), 인정도서 ‘환경과 생활(3~6학년)’ 집필위원(2005), 사이버 자율평가 출제위원(2006~2008), 사회과 평가전문성신장연수 강사(2008), 사회과 지역화교과서(우리고장의 생활) 집필위원(2009), 서울NIE연구회 연구위원(현재), 서울초등사회교과교육연구회 운영위원(현재)

△서울교대 졸 △인정도서 ‘환경과 생활(3~6학년)’ 집필위원(2005),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문항 개발위원(2006), 사회과 학습부진학생 판별도구 개발위원(2009), 사회과 평가전문성신장연수 강사(2009), 사회과 지역화교과서(우리고장의 생활) 집필위원(2009), 서울NIE연구회 연구위원(현재), 서울초등사회교과교육연구회 운영위원(현재)

△서울교대 졸, 서울교대 교육대학원 재학 중 △교육감 인정도서 심의 위원(시교육청·2008), 서술형·논술형 평가 문항 개발 위원(시교육청·2008~2009), 동영상활용 평가문항 개발 위원(교육연구정보원·2009), 초등 교과별 기본학습 평가자료 출제·검토 위원(시교육청·2006~2007), 서울NIE연구회 연구위원(현재), 서울초등사회교과 교육연구회 운영위원(현재)
< 한국초등경제교육연구회 / info@ahaeconomy.com > 2011-03-06 13:59
'논술 > 초등논술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문을 친구처럼 가까이 하라-소년한국2012.6.17 (1) | 2012.07.14 |
---|---|
.‘방과후학교’에 예산 쏟았는데… 사교육비 안줄고 논술은 16.7↑-국민2012.02.17 (0) | 2012.02.19 |
한국학생들! 단락이론에 맞춰 글쓰기 공부하세요 -오마이08.01.11 (0) | 2011.01.22 |
이 논술을 쓸 수험생이 몇 명이나 될까? - 오마이2010.9.3 (0) | 2010.09.03 |
논술 대비 그림소설 세계의 명단편 (0) | 2010.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