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잘 쓴 자기소개서·추천서, 사정관 전형 ‘윤활유’ | |
[2011 수시모집] | |
![]() | |
입학사정관 전형은 전인적 평가를 위한 입시제도다. 대학은 학생의 전인성을 판단하기 위해 학교생활기록부, 추천서, 자기소개서, 활동내용 등 다양한 전형자료를 활용한다. 다양한 자료를 통해 대학 인재상에 부합하는 학생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대체로 입학사정관제에서 대학들은 전공적합성, 자기주도성, 경험다양성, 발전가능성 등을 평가기준으로 삼고 있다. 지원학과와 관련해 어떤 노력과 활동을 해왔는지를 보여주는 ‘전공적합성’, 학과 지원 동기와 준비과정이 얼마나 주도적인지를 보여주는 ‘자기주도성’, 비교과 체험활동이 얼마나 다양하고 충실한지를 보여주는 ‘경험다양성’, 가정·지역 등 주어진 환경 아래 최선의 노력으로 학업성적이 꾸준하거나 향상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발전가능성’ 등을 살피게 된다. 이 가운데서도 가장 중심이 되는 건 학교생활기록부일 것이다. 학교생활기록부야말로 3년간 학생을 지켜본 교사의 평가이므로 가장 타당하고 믿을 만한 자료로 삼는다. 입학사정관들은 학생을 전인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학교생활기록부 외에 지원자가 직접 작성한 자기소개서와 제3자의 평가가 담긴 교사추천서를 활용하게 된다. ■ 자기소개서 성장과정 등은 에피소드 중심…학습동기·목표는 구체적으로 자기소개서는 말 그대로 ‘입학사정관한테 자신을 소개하는 자료’다. 입학사정관한테 지원학과에 입학해야 하는 이유와 지금까지의 준비과정과 노력 등을 소개하는 것이다. 수험생은 자기소개서에 자신의 목소리를 담아야 한다. 입학사정관들은 화려한 미사여구보다는 다소 거칠더라도 진실한 목소리를 듣기 원한다. ‘어른들의 이야기, 일상적인 이야기’가 아니라 ‘나만의 이야기’를 준비해 두는 것이 좋다. 친구에게 자신을 소개할 때를 생각해보라. 거짓 없이 솔직하게 말할 때 친구가 되지 않는가! 평소 체험과정에서 느낀 점을 메모해 뒀다가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생생하게 기재하는 것이 요령이다. 입학사정관들은 지원자의 서류만을 읽는 것이 아니라 전형기간 중 수백 장의 지원서를 읽는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입학사정관한테 눈에 띄려면 간결하고 개성 있는 문체로 작성하는 것이 좋다. 사실 잘 쓴 자기소개서는 화려한 문체로 소설을 쓴다는 의미가 아니라 지원학과에 입학하기 위해 자신이 해 온 준비와 노력을 실적과 활동 중심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근거 없는 자기 미화는 설득력이 떨어진다. 단순히 실적만 나열하기보다 그때의 상황, 행동, 결과, 느낀 점을 중심으로 작성하는 것이 요령이다. 입학사정관에게 자기소개서는 학교생활기록부의 보충자료가 된다. 자기소개서는 학교생활기록부의 기록과 연계해 볼 때 유기적이고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자기소개서에서 밝히고 있는 학생의 모습과 교사추천서와 학교생활기록부에서 말하는 학생의 모습이 비슷하게 느껴질 때 더 나은 평가를 받는다. |
'논술 > 자기소개서.면접'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入자기소개서 직접 안쓰면 불이익” -2010-09-16 fnnews (0) | 2010.09.16 |
---|---|
자기소개서- 면접 ‘주연’이 되려면 ‘나만의 답변’ 필수-한겨례2010.4.21 (0) | 2010.09.16 |
자기소개서-입사지원서의 오해와 진실-아이비타임즈2010년 09월 15일 (0) | 2010.09.16 |
자기소개서도 기업 색깔이 있다-중앙2010/08/27 (0) | 2010.09.16 |
자기소개서 잘 쓰려면 (서울2008.8.5) (1) | 2008.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