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술 요 점 정 리 6-6 이름 ( )

7.환경과 건축

★주변환경과 잘 어울리는 여러 가지 건축물

① 창덕궁 부용정 ② 오페라 하우스 ③ 낙수장


★주변 환경과 어울리는 건축물 만들기

① 계획하기 -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고려하여 건축물의 일정한 크기와 지면위에 알리고자 하는 내용을

한눈에 크기, 색 고려

② 기본 조형물 만들기

③ 환경과 어울리게 배치하기 (자연미, 조형미 고려)

★설계도 - 실제 표현 작업을 할 때 필요한 준비와 계획, 생각 등을 자세히 기록하고 도면 등으로 나타내는 것

8.색과 생활

★배색 - 목적과 기능에 알맞게 미적인 효과를 얻기 위하여 두 가지 이상의 색을이웃하게 하는 것으로

한가지 색을 사용하는 것보다 다양한 느낌을 준다.


★색의 주목성과 명시성

① 색의 주목성 - 자극성이 강하여 눈에 잘 띄는 정도를 말함 ex) 빨강, 노랑

② 색의 명시성 - 색을 서로 대비시켰을 때 멀리서도 잘 보이는 정도

ex)검정, 노랑 - 명시성이 가장 높은 배색

- 눈에 잘 띄어야 하는 신호등, 건널목 표시, 장애물, 학교 버스 등은 색의 주목성과 명시성을 생각하여 만든다.


★색의 느낌과 기능

① 위험 - 빨강, 주황 ② 냉수 - 파랑 ③ 온수 - 빨강

④ 비상구 - 초록색 ⑤ 소화기 - 빨강 ⑥ 의료나 안전 - 녹색

⑦ 전기 배선 - 검정 ⑧ 주의 표시 - 검정과 노랑의 교차


★ 색상 - 색의 고유 성질, 색의 구분

① 색상차가 큰 것 끼리의 배색 - 강렬, 강한 자극, 화려, 보색끼리의 배색

② 색상대비 - 같은 색이라도 주황과 녹색 바탕 위에 놓인 노란색이 다르게 보이는 것

★명도 -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

① 명도대비 - 검정색과 흰색 바탕 위에 회색을 놓으면 검정색의 바탕 위의 회색이 밝게 보임

★채도 - 색의 맑고 탁한 정도

9.알리는 것 꾸미기

★포스터

①일정한 크기의 지면위에 알리고자 하는 내용을 한눈에 알아보도록 디자인 한 것

② 전달한 내용을 간단한 글과 효과적인 그림으로 표현

★포스터의 종류

① 계몽포스터 - 불조심, 건강과 위생 등 공공의 이익을 위해 만들어지는 포스터

② 행사포스터 - 전시회, 각종 공연 등 문화행사를 홍보하기 위해....

③ 광고(상업)포스터 - 새로운 상품 등을 소개하고 알려 구매 의욕을 자극하여 기업의 이익을 높이고자 하는 포스터

④ 관광포스터 - 국내외의 관광지를 소개하여 관광객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작


10.아름다운 생활 용품

★조상들이 사용한 생활용품 - 청동 주전자, 수반, 맷돌, 도자기 그릇, 등잔, 실첩, 부채, 장신구, 복조리 등

★ 생활용품 만드는 과정

만들 물건 정하기-크기, 쓰임새에 어울리는 모양 구상하기 - 밑그림 그리기 - 표현 재료와 방법 정하기 - 만들기 - 꾸며 완성하기

★생활용품 만들 때 고려할 점

① 쓸모와 아름다움을 모두 생각하여 튼튼하고 아름답게 만든다.

②사용 목적이나 용도에 맞게 만든다.

★생활용품의 예 -화장지 보관함, 다용도 상자, 연필꽂이 등


11.전시회

★전시회의 역할

① 좋은 작품을 감상할 기회를 제공한다.

② 미술 문화를 이해할 수 있으며, 창의성을 배울 수 있다.

③ 다른 사람과 감상에 관한 의견을 나누며, 미술 문화를 즐길 수 있다.

★작품을 관람할 때 지켜야 할 태도

① 작품에 손대지 않는다.

② 전시실 안에서 음식을 먹지 않는다.

③ 큰 소리를 내거나 뛰지 않는다.

④ 다른 사람의 관람을 방해하지 않는다.

⑤ 관람 안내 표지에 따라 관람하고, 안내 표지가 없는 경우는 보통 왼쪽부터 먼저 관람한다.

⑥ 전시대에서 조금 떨어져서 관람해야 작품 전체를 감상하기

'초등자료(2015개정이전) > 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4과학-우유로 목걸이 만들기  (0) 2009.04.22
초등미술 사이트  (0) 2009.04.21
4-1미술정리문항50  (0) 2009.04.21
6학년미술정리  (0) 2007.11.05
6-1미술총정리문항100  (0) 2007.06.25
6-2사회서술정리문제.hwp

'초등자료(2015개정이전) >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6-1암기평가200.  (0) 2008.07.03
퍼즐로 공부하는 역사  (0) 2008.06.15
6-2사회정리  (2) 2007.11.05
사회6-1단원정리  (0) 2007.07.07
6-1-2사회단원자율학습지  (0) 2007.07.05

읽기 요점 정리 -♡


첫째 마당


1. 시를 창의적으로 읽기
★의미
- 읽는 사람의 경험이나 상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시를 이해하는 것을 말한다.
좋은 점
- 시의 의미를 새롭고 풍부하게 이해할 수 있다.
★방법
- 다른 사람의 관점이나 하나의 관점에 얽매이지 않고 읽기
- 시의 의미를 구체적인 상황과 관련지어 읽기
- 글쓴이의 의도나 경험을 추측하여 읽기

2. 이야기를 창의적으로 읽기
★의미
- 읽는 사람의 경험이나 상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이야기를 이해하는 것을 말한다.
★좋은 점
- 이야기 속에 직접 설명되어 있지 않은 인물의 성격, 사건의 의미, 사건과 배경의 관계, 글쓴이의 의도 등을 풍부하게 이해할 수 있다.
★방법
- 인물의 마음을 헤아리며 읽기
- 사건을 자기 경험과 관련지으며 읽기
- 배경이 사건의 전개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며 읽기

둘째 마당


1. 글의 짜임에 따라 글을 요약하는 방법
-정보를 전달하는 글에는 대상의 공통점이나 차이점, 일의 원인과 결과, 시간이나 공간의 변화에 따른 대상의 특성 등에 대한 정보들이 담겨 있다.
-정보를 전달하는 글은 '비교 · 대조', '원인과 결과', '시간이나 공간의 변화' 등의 글의 짜임에 주의하여 요약한다.
-글을 요약할 때에 글의 짜임에 주의하면 글의 내용을 좀더 잘 요약할 수 있다.

2. 읽는 목적에 따라 글을 요약하는 방법
★같은 글을 읽더라도 읽는 목적에 따라 글을 요약하는 방법은 다르다.
★전기문을 읽는 목적과 요약하는 방법
1) 인물의 삶의 발자취를 알아보기 위해 전기문을 읽을 때
-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인물이 한 일을 요약한다.
2) 교훈이나 감동을 얻기 위해 전기문을 읽을 때
- 인물이 한 말이나 행동 중에서 감동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요약한다.
3) 인물이 살았던 시대적 배경을 알아보기 위해 전기문을 읽을 때
- 시대적 배경을 보여 주는 정보를 중심으로 요약�

셋째마당


1. 인물이 추구하는 삶을 이해하며 이야기 읽기
-인물이 추구하는 삶이 바람직하고 가치 있는지 생각하며 읽는다.
-내가 이야기 속의 인물이라면 나는 어떤 삶을 추구하였을지 생각하며 읽는다.

2. 이야기에 반영된 문화를 이해하며 읽기
-작품에 어떤 문화가 반영되어 있는지 살펴보며 읽는다.
-작품에 반영된 문화와 내가 살고있는 시대의 문화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며 읽는다.
그 시대의 문화는 인물의 행동이나 사건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며 읽는다.

넷째 마당


1. 문제와 해결의 짜임에 대하여 알아보기
-문제와 해결의 짜임으로 된 글은, 어떤 문제를 제기하고 그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쓴 글을 말한다.
-이러한 글은 '문제'와 '해결 방안'을 정리하며 읽는다.

2.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방법
-글쓴이가 제시한 해결 방안이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지 판단하며 읽는다.
-글쓴이가 제시한 해결 방안이 어느 정도의 실현 가능성이 있는지 판단하며 읽는다.
-글쓴이가 제시한 해결 방안이 누구나 동의할 수 있는 바람직한 방안인지 판단하며 읽는다.


말·듣·쓰 요점 정리 -♡


첫째 마당


1. 시를 읽고 생각이나 느낌을 주고받으면 좋은 점
-생각을 정리하는 힘과 조리 있게 말하는 능력이 생긴다.
-작품에 대한 생각이나 느낌이 사람마다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작품을 좀더 풍부하게 이해할 수 있다.

2. 시나 이야기를 듣거나 읽고, 생각이나 느낌 이해하기
-시나 이야기의 표현과 내용에 대한 생각, 주제, 관련된 경험, 인상적인 표현 등에 대하여 이야기한다.
-공감하는 부분과 그 까닭에 대하여 이야기한다.
-내 생각이나 느낌이 친구들의 생각이나 느낌과 비교하여 어떤 점이 비슷하고 어떤 점이 다른지 생각해 본다.
-친구들과 생각이나 느낌을 주고받으면서 새롭게 알게 된 점을 말하여 본다.

3. 이야기를 읽고, 친구들과 의견 나누기
-이야기의 내용과 관련된 이야깃거리를 정한다.
-정한 이야깃거리에 대하여 내 생각이나 느낌을 간단하게 정리한다.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친구들과 의견을 나누어 본다.


둘째 마당


1. 면담이 필요한 경우


-어떤 일을 한 사람의 경험을 직접 듣고 싶을 때
-정확하고 자세한 정보를 얻고 싶을 때
-인간적인 교감과 친밀감을 얻고 싶을 때
-알고 싶은 직업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하고 싶을 때
-상대방의 의견이나 생각을 들을 때


2. 면담할 때에 주의할 점


★면담을 준비할 때 : 면담의 주제를 정하고 관련된 질문을 미리 계획하여 작성한다. 면담 대상에게 사전에 면담 요청을 해야 한다.
★면담할 때 : 공식적인 자리이므로 표준 발음에 주의하여 말한다. 면담 주제에 어긋나는 질문은 하지 않는다. 준비한 질문 항목 순서에 따라 면담을 한다.
★면담한 내용을 정리할 때 : 면담 주제와 관련 없는 내용은 삭제한다. 면담 내용을 분명하고 알기 쉽게 정리한다.


3. 면담의 순서


①면담 준비하기(질문 내용 계획, 장소와 시간 약속 등.)
②면담하기(정중하고 예의바른 태도를 가지도록 한다.) 기록 방법 : 메모, 녹음, 사진촬영 등
③면담한 내용 정리하기
④면담한 내용 말이나 글로 표현하기


4. <ㄴ>, <ㅁ> 앞에 오는 받침의 말소리에 주의하며 발음하기


<ㄱ>이 <ㄴ>, <ㅁ> 앞에 올 경우 → [ㅇ] : - ex) 닥나무 → 당나무 ☆ 국물 → 궁물
<ㄷ>, <ㅅ>, <ㅊ>, <ㅌ>이 <ㄴ>, <ㅁ> 앞에 올 경우 → [ㄴ] :
- ex) 듣는 → 든는 ☆ 옷맵시 → 온맵씨 ☆ 꽃눈 → 꼰눈 ☆ 끝물 → 끈물
<ㅂ>, <ㅍ>이 <ㄴ>, <ㅁ> 앞에 올 경우 → [ㅁ] :
- ex) 잡는 → 잠는 ☆ 앞마당 → 암마당

셋째 마당


1. 작품을 다른 갈래로 바꾸어 쓸 때에 주의할 점
-작품에 대한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에 바탕을 두고 바꾸어 쓴다.
-문학 작품의 갈래의 특성을 생각하며 바꾸어 쓴다.

2. 문학 작품의 갈래의 특성
-시 : 행과 연으로 이루어져 있고 간결하며 음악성을 띤다. 비유하여 표현하거나 재미있는 말을 사용하여 표현하기도 한다.
-이야기 : 인물, 사건, 배경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화글을 사용하면 좀더 실감나게 표현할 수 있다.
-극본 : 해설, 지문, 대사로 이루어져 있다. 대사를 통해 사건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넷째 마당


1. 문제와 해결의 짜임으로 글을 쓰는 방법
①문제를 제기한다.
②문제의 원인을 밝힌다.
③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까닭을 쓴다.
④원인에 따른 문제의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2. 문제와 해결의 짜임으로 글 쓰기
①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②그 문제 때문에 생기는 여러 가지 현상들에 대하여 분석해 본다.
③토의를 통하여 문제와 해결 방안을 찾아본다.
- 근거를 들어 가며 의견을 말한다.
- 문제의 원인을 생각하며 토의한다.
- 해결 방안이 적절한지 판단하며 토의한다.
④서론, 본론, 결론에 들어갈 내용을 정리하여 쓴다

미술

환경과 건축
자연과 건축물
1. 집, 건물, 다리 등의 구조물을 목적에 따라 설계하여 흙이나 나무, 돌, 벽돌, 쇠 따위를 이용하여 만드는 일을 건축이라고 한다.
2. 건축물을 지을 때는 건물의 용도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과의 어울림을 고려해야 한다.
3. 좋은 건축물은 주변 환경과 잘 어울리는 건축물이다.

여러 가지 건축물
1. 부용정(조선 시대) : 창덕궁의 연못에 있는 정자로, 앞의 기둥 두 개가 연못에 발을 담그고 연못을 바라보고 있는 모양이다.
2. 오페라 하우스(오스트레일리아) : 시드니 항구의 유명한 건축물로 조개 껍질을 포개어 놓은 듯한 모양이 푸른 바다와 하늘을 배경으로 잘 어울린다.
3. 낙수장(미국) : 주변의 암석과 조화를 이루는 건축물이다.

설계도
1. 실제 작업에 필요한 준비와 계획, 생각 등을 자세히 기록하고 도면에 나타낸 것이다.
2. 완성된 형태, 재료, 색, 치수, 구조, 설치방법, 활동, 일정 등을 자세히 알 수 있다.
3. 완성된 조형물을 간접적으로 짐작할 수 있는 기초 작업이다.

건축물의 모양 탐색하기
1. 건축물의 주요 몸체, 지붕, 계단, 창문, 기둥 등에 어울리는 형태를 찾아본다.
2. 연결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지는 모양을 생각해 본다.
3. 주변 환경과 어울리는 모양을 찾아본다.
4. 전체와 부분이 어울리는 모양을 찾아본다.

색과 생활
생활 속에서 사용되는 색

1. 색의 주목성
- 눈에 잘 띄는 정도를 말한다.
- 명도와 채도가 높을수록 눈에 잘 띈다.
2. 색의 명시성
- 색을 서로 대비시켰을 때 멀리서도 확실히 보이는 정도를 말한다.
- 명도차, 색상차, 채도차가 클수록 명시도가 높다.
- 예)빨간색과 흰색의 적십자 표시
3. 색의 감정
- 색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색마다 서로 다른 느낌을 준다.
- 색의 느낌은 생활 속에서 효과적으로 이용된다.




색의 기능
1. 계절감을 느낄수 있다.
2. 무엇인가를 강조할 수 있다.
3. 안전이나 보호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4. 군인, 간호사 등 신분이나 직업을 나타낼 수 있다.

배색
1. 목적에 따라 두 가지 이상의 색을 어울리게 배치하는 것을 배색이라고 한다.
2. 비슷한 색끼리의 배색이나 명도차, 색상차가 많이 나지 않는 배색은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을 준다.
3. 반대색끼리의 배색이나 명도차, 색상차가 많이 나는 배색은 눈에 잘 띄고 활기찬 그낌을 준다.

여러 가지 알리는 것들
1. 책표지
- 책의 내용이나 성격을 한눈에 보여준다.
- 학급 문집, 글모음집, 미술 작품 모음집, 여러가지 스크랩 등의 표지
2. 포스터
- 'post(기둥)에 붙이는 것'이라는 뜻에서 유래하였다.
- 알리고자 하는 내용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디자인 한 것이다.
- 관광 포스터, 계몽 포스터, 행사 포스터, 상업 포스터 등이 있다.
- 오늘날에는 예술 작품으로 제작되기도 한다.
3. 신문 : 학급,지역 사회, 국가 등 특정 집단에서 발생한 사건에 대한 사실이나 해설을 널리 신속하게 알리기 위한 정기 간행물을 말한다.

편집 디자인
1. 사진이나 그림을 글과 어울리게 배치하여 꾸미는 일을 말한다.
2. 신문, 잡지, 책, 홍보 책자를 제작하는 데에 이용된다.
3. 알리려는 내용을 쉽고 즐겁게 하기 위하여 글과 그림의 화면상의 배치, 여백의 정도, 알맞은 모양과 크기의 글자 선택 등이 중요하다.

좋은 표지의 조건
1. 내용을 쉽게 알 수 있어야 한다.
- 주제는 단순 명료해야 한다.
- 문장은 간결하고 호소력 있게 쓴다.
2. 눈에 잘 띄어야 한다.
- 그림과 글자를 어울리게 한다.
- 적당한 수의 색과 눈에 잘 띄는 배색을 사용한다.
3. 독창적이어야 한다.
- 콜라주, 모자이크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한다.
- 골판지, 하드보드지 등 다양한 재료를 활용하여 입체감 있게 표현해 본다.
아름다운 생활 용품
옛날과 오늘날의 생활 용품 비교
1. 생활 용품이란 생활의 편리함을 위하여 만든 여러가지 물건들을 말한다.
2. 옛날이나 오늘날의 기본적인 생활은 비슷하므로 생활 용품의 쓰임새도 비슷하다.
예)맷돌과 믹서, 등잔과 스탠드, 부채과 선풍기 등
3. 재료, 모양, 색 등이 변화하였다.
- 옛날에는 나무, 돌, 천, 등 자연 재료를 많이 사용하였다.
- 오늘날에는 자연 재료는 물론 플라스틱류와 같은 인공 재료를 많이 사용한다.
4. 오늘날의 생활 용품은 색이나 모양 등 디자인이 더 다양해졌다.

옛날의 생활 용품
1. 다식판(조선 시대) - 나무로 만든 틀로, 떡이나 약과의 무늬를 찍어내는데 쓰였다.
- 壽(수),福(복)등 글자나 꽃무늬 등을 새겨 넣었다.
2. 실첩(조선 시대)
- 무명실이나 비단실 등을 담아 두었던 생활 용품이다.
- 여러칸으로 되어 있고, 색 한지나 색천으로 겉을 싸고 무늬를 넣어 장식적인 효과를 내었다.
3. 오늘날의 생활 용품 : 믹서, 스탠드, 선풍기, 수건걸이 등

전시회
1. 특정한 주제에 맞게 작품들을 모아 보여주는 활동을 말한다.
2. 의상 전시회, 우표 전시회, 가구 전시회 등 여러 가지가 있다.
3. 미술 전시회는 주제를 선정하고 거기에 맞는 국내외 미술품을 전시한다.

미술 전시회의 기능
1. 좋은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2. 다른 사람과 감상 의견을 나누며, 즐길 수 있다.
3. 한번에 많은 작품을 한 장소에서 감상할 수 있다.
4. 표현 재료, 방법, 창의성 등 미술 문화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전시회 준비 과정
1. 전시회 주제 선정 : 작가별, 시대별, 나라별, 소재별(인물,정물 등), 영역별(평면, 입체 등)등을 기준으로 선정한다.
2. 전시회 장소 선정 : 화랑, 구민 회관, 강당, 교실,특별실 등
3. 전시회 날짜와 기간 : 개교 기념일, 가을 전시회 등
4. 필요한 물품 점검 : 전시 작품, 작품 설명서, 전시대, 액자, 전시회 안내장 등
5. 전시 방법 구상 : 작품 배치도, 관람 안내 표시 등
6. 역할 분담 : 작품 수집 및 분류, 작품 설명서 제작, 전시대 배치 계획 짜기, 안내장 및 안내 표지 제작, 액자 제작 등


현대 미술
1. 19세기 말엽의 인상주의의 영향을 받은 20세기의 미술을 현대 미술이라고 한다.
2. 도시화, 산업화되어 가는 시대 변화에 따라 기술 문명, 원시주의, 순수 정신 등 다양한 주제를 표현하였다.
3. 비디오 아트와 같이 전자 기술을 활용하거나, 정크 아크와 같이 재활용품을 활용한다.

현대 미술 감상 방법
1. 미술관 견학하기
2. 미술관 도록이나 작품집 감상하기
3. 미술 관련 인터넷 사이트 검색하기
4. 미술가나 미술 관련 비디오 감상하기

현대 미술 작가
1. 미로(1893~1983,스페인)
- 야수주의, 입체파, 초현실주의 등의 영향을 받아, 장식적인 특징을 더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 별, 여자, 새 등을 상형 문자와 같이 형상화하였다.
2. 올덴버그(1929~현재,미국)
- 미국에서 활동하는 스웨덴 출신의 조각가로, 팝아트(일반 대중이 친근감을 갖는 예술)의 대표작 작가이다.
- 1960년대 말부터 빨래집게, 셔틀콕 등 작은 대상을 거대한 크기로 제작하였다.

'초등자료(2015개정이전) > 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4과학-우유로 목걸이 만들기  (0) 2009.04.22
초등미술 사이트  (0) 2009.04.21
4-1미술정리문항50  (0) 2009.04.21
6-2미술요점정리(7단원-11단원)  (0) 2007.11.21
6-1미술총정리문항100  (0) 2007.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