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넌 특별해’ 부모 칭찬, 자기중심적 아이 만든다” |
정신분석학에선 유년기의 애정 결핍이 자아도취(나르시시즘) 증상의 기원이라는 가설을 내놓는다. 어린 시절 부모의 사랑을 받지못한 상처가 성인이 돼 타인의 인정을 받으려는 보상 욕구로 나타나, 실제와 달리 자신의 능력·외모가 뛰어나다고 믿거나 자신을 완벽한 사람으로 여기게 된다는 것이다.
미국의 한 연구진이 이런 가설과 정반대의 연구 결과를 내놨다. 자아도취적 성격은 부모의 자녀에 대한 애정 결핍이 아닌 “우리 아이는 특별하다”는 과대평가에서 비롯된다는 것이다.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연구팀이 9일(현지시각)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보고한 심리학 연구 결과를 보면, “너는 다른 아이보다 특별하다”는 칭찬이 아이의 자존감·자부심을 키워주리라는 부모의 기대와 달리 아이가 자기중심적·자아도취적인 성격을 갖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네덜란드에서 7~11살 어린이 565명과 부모 705명(아버지 290명, 어머니 415명)을 대상으로 1년반 동안 6개월 간격으로 4차례에 걸쳐 설문조사해 이런 결론을 얻었다.
연구 결과는 자기중심 성향이 부모의 과대평가와 상관있을 뿐 부모의 애정 결핍과는 관계가 없음을 보여줬다. 아울러 자기중심적인 부모한테서 자기중심적인 아이가 나오는 게 아니라, 자기중심 성향의 원천은 오직 과대평가인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나도 다른 친구들만큼 괜찮은 사람”이라는 자존감은 부모가 아이한테 애정을 보여준 경우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한 브래드 부시맨 교수는 “자기중심적 사고와 자존감이 생기는 기원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근영 선임기자 kylee@hani.co.kr
'초등교실경영 > 부모자료.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가 화낼 때 필요한 '올바른 교육법'-오마이15.06.08 (0) | 2015.06.08 |
---|---|
초등학교 교실 ‘카톡 왕따’ 효과적인 대책은?-2015-05-18 (0) | 2015.06.06 |
엘리트의 나라, 인도 교육법-레이디경향|입력2015.03.05 (0) | 2015.03.08 |
되려면성공적인 독서교육을 위한 7가지 노하우-베이비뉴스2015.01.15 18:17 (0) | 2015.01.17 |
진로교육 나는 꿈꾸고싶다-1부 꿈꾸지 못하는 청춘, 길을 묻다-다큐프라임 (0) | 2015.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