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모두를 위한 다문화교육 계획.hwp

 

 

다양성을 존중하고 더불어 사는

 

 

2019 모두를 위한 다문화교육 계획

 

 

 

 

 

 

 

2019. 2.

 

 

 

 

 

 

강원도교육청

교 육 안 전 과

 

 

 

 

. 필요성 3

. 다문화학생 현황 4

. 추진 목표 및 주요 과제 …………………………………………7

. 과제별 추진 내용 8

1. 학교구성원의 다문화 감수성 함양을 위한 다문화교육 지원 8

2. 다문화학생 맞춤형 교육 지원 11

3. 다문화교육 지원체계 구축 13

. 참고자료 15

1. 강원도내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현황 15

 

 

 

 

다양성을 존중하고 더불어 사는

2019 모두를 위한 다문화교육 계획

 

 

 

 

. 필요성

학교 구성원의 다문화 감수성 함양을 통한 세계시민으로서의 자질 함양

우리사회의 민족·언어·종교 등 문화적 다양성이 확대됨에 따라, 서로 다름에 대한 배려와 존중, 차이를 인정하고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다문화적 감수성을 함양하며 세계시민으로 거듭나기 위한 교육 필요

다문화학생 비중 증가에 따라, 모든 학생이 인종과 문화의 차이와 관계없이 평화적인 미래사회를 준비하는 과정으로서 모두를 위한 다문화교육 필요

다문화학생 비율: (’13) 1.36% (’14) 1.62% (’15) 1.89% (’16) 2.21% (’17) 2.32%(’18) 2.54%

교사 및 학교 관리자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와 지도 역량 강화 요구

다문화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 요구

도내 다문화가정과 그 자녀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다문화사회 본격 전개

다문화가정 자녀 10년 간 3.3배 증가(’08)1,246(’18)4,123

문화학생의 성장배경(국제결혼, 중도입국), 학생의 출생지(국내국외) 및 거주지(도시농촌), 부모의 국적, 학교급() 등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복잡한 교육수요 고려 필요

중도입국자녀의 증가로 인해 공교육 진입 지원 원스톱 서비스 정책 필요

모든 아이는 우리 모두의 아이라는 교육철학 아래 고른 교육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문화학생 교육지원 내실화 필요

다문화학생의 교육소외 방지 및 교육복지 차원의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노력

- 강원교육의 기본 방향 중 모두에게 따뜻한 교육복지 통합지원체제 구축

다문화학생 지원을 위한 협력체제 구축 필요

문화학생이 우리 사회의 소중한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학교 구성원, 지역사회 모두가 함께 지원하는󰡐다문화 친화적 󰡑마인드 확산 필요

2018년 도내 초(··사립 660)88.53%585(344, 145, 96)에 다문화학생 1명 이상 재학

도청(다문화 전담부서), 도내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에서 추진하고 있는 다문가정 지원 정책에 대한 유기적 협력체제 구축 필요

. 강원도 다문화학생 현황

다문화가정 형성배경에 따라 국제결혼가정 외국인가정으로 구분

제결혼가정 자녀는 출생지에 따라 국내출생자녀 중도입국자녀로 구분

국제결혼

가정자녀

 

국내출생

자녀

 

한국인과 결혼한 외국인 배우자(이하 결혼 이민자’) 사이에서 출생한 자녀

국적법 제2조 제1항에 따라 국내 출생과 동시에 한국 국민이 되므로 헌법 제31조에 따른 교육권을 보장받음

 

 

 

 

 

 

중도입국

자녀

 

결혼이민자가 한국인과 재혼한 이후에 본국에서 데려온 자녀, 국제결혼가정자녀 중 외국인 부모의 본국에서 성장하다가 청소년기에 입국한 자녀 등

국내 입국 시에는 외국 국적이나 특별귀화를 통해 한국 국적으로 전환 가능

 

 

 

 

 

 

외국인가정자녀

 

외국인 사이에서 출생한 자녀

헌법 제6조 제2항 및UN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91, 비준)에 따라 한국 아동과 동일하게 교육권을 가짐

미등록 외국인 자녀의 경우에도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19조 및 제75조에 따라 거주사실 확인만으로 중학교 입학 가능

 

<학교급별 학생 현황>

(단위 : )

구 분

학교급별

도시/농촌

도시

농촌

국제결혼가정자녀

국내출생자녀

2,659

679

537

3,875

1,475

2,400

3,875

중도입국자녀

64

52

33

149

76

73

149

외국인가정자녀

71

20

8

99

60

39

99

2,794

751

578

4,123

1,611

2,512

4,123

- 농산촌이 많은 강원도의 특성상 다문화가정의 유형을 보면 국제결혼가정 자녀(국내출생자녀 94.0%, 중도입국 자녀 3.6%)97.6%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외국인가정 자녀는 약 2.4%로 아직 소수임

<다문화학생 증가 현황>

(단위 : , %)

연도

전체

학생수

다문화학생수

강원도

비율

전국 비율

비고

2010

214,916

1,356

293

79

1,728

0.80%

0.44%

2010. 4. 1.

2011

208,283

1,454

479

120

2,053

0.98%

0.55%

2011. 4. 1.

2012

201,546

1,591

643

188

2,422

1.20%

0.70%

2012. 4. 1.

2013

194,734

1,694

672

294

2,660

1.36%

0.86%

2013. 4. 1.

2014

189,355

1,920

716

444

3,080

1.62%

1.07%

2014. 4. 1.

2015

182,057

2,177

709

566

3,452

1.89%

1.34%

2015. 4. 1.

2016

174,530

2,542

714

602

3,858

2.21%

1.70%

2016. 4. 1.

2017

168,018

2,619

692

586

3,897

2.32%

1.90%

2017. 4. 1.

2018

162,074

2,794

751

578

4,123

2.54%

2.20%

2018. 4. 1.

- 2018년 기준 초고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학생은 전년대비 5.8% 증가한 총 4,123명임

- 각급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 자녀수는 해마다 증가하여 전체 학 2.54%가 넘어 전국 평균 2.20%보다 높으며 앞으로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국가별 다문화학생 현황>

(단위 : )

필리핀

중국

중국

(한국계)

중앙아시아

남부아시아

태국

몽골

러시아

미국

대만

인도네시아

유럽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기타

1,235

809

625

495

279

147

126

100

49

36

23

17

12

9

8

7

146

4,123

- 부모의 국적은 베트남 30.0%, 필리핀 19.6%, 중국 15.2%(한국계 제외), 일본 12.0% 등이 많으며 베트남과 필리핀이 49.6%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최근에는 중앙아시아, 남부아시아의 비중이 늘어나는 추세임(중국+중국(한국계)904명으로 21.9%)

 

 

 

<지역별 다문화학생 현황>

(단위 : )

지역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총계

1

2

3

4

5

6

1

2

3

1

2

3

춘천

87

79

73

64

52

52

407

32

45

33

110

31

37

40

108

625

원주

94

119

101

96

104

70

584

47

45

24

116

32

28

22

82

782

강릉

45

53

43

32

26

15

214

14

22

16

52

12

9

16

37

303

속초양양

44

27

26

20

21

10

148

10

9

19

38

10

15

20

45

231

동해

40

20

25

10

11

6

112

7

3

4

14

4

4

3

11

137

태백

13

13

20

14

8

11

79

4

4

1

9

3

2

5

10

98

삼척

29

19

17

20

15

14

114

6

8

4

18

10

5

4

19

151

홍천

31

30

31

40

41

23

196

37

30

32

99

17

15

25

57

352

횡성

33

28

43

32

41

28

205

20

15

16

51

9

14

10

33

289

영월

24

21

13

16

24

16

114

6

9

8

23

4

4

5

13

150

평창

9

21

19

14

19

13

95

15

14

13

42

15

9

4

28

165

정선

28

29

39

21

22

11

150

13

6

9

28

10

7

5

22

200

철원

20

28

15

24

19

16

122

13

13

6

32

8

6

11

25

179

화천

23

6

4

3

7

11

54

5

12

13

30

6

6

7

19

103

양구

10

13

10

14

12

14

73

12

18

7

37

9

13

18

40

150

인제

9

16

6

13

11

4

59

11

12

10

33

5

6

5

16

108

고성

15

13

11

10

7

12

68

6

8

5

19

4

3

6

13

100

554

535

496

443

440

326

2,794

258

273

220

751

189

183

206

578

4,123

- 내에서는 원주지역 782명으로 19%, 춘천 625명으로 15%이며 군지역인 홍3528.5% 등으로 주로 영서지역에 많이 거주하고 있으며 태백, 고성 지역이 다른 지역보다 적게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남(홍천지역 각종학교() 해밀학교 19명 포함)

 

<··고 전체 학생수 기준 다문화학생 현황>

(단위 : , %)

구분

합계

국제결혼가정자녀

국내출생 재학 학교수

336

141

94

571

중도입국자녀 재학 학교수

42

28

17

87

외국인가정 자녀 재학 학교수

43

12

8

63

전체 학교수

380

163

117

660

다문화 학생 재학 학교수

(전체 학교수 대비 비율)

344

(90.52%)

145

(88.95%)

96

(82.05%)

585

(88.63%)

전체 학생수

75,798

39,355

46,921

162,074

다문화 학생 수

(전체 학생 수 대비 비율)

2,794

(3.69%)

751

(1.91%)

578

(1.23%)

4,123

(2.54%)

- 전체학교수 기준 다문화학생 재학 학교수가 585교로 88.64%를 차지함

- 전체학생수 기준 초등학생이 2,794명으로 가장 높은 비율인 3.69%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학생이 1.91%, 고등학생이 1.23%

. 추진목표 및 주요 과제

 

비 전

 

 

 

함께 배우며 성장하는 학생, 다양하고 조화로운 학교

 

목 표

 

 

 

다양성을 존중하고 공감하며 더불어 사는 모두를 위한 다문화교육 실현

 

< 추진 방향 >

 

 

 

학교구성원의 다문화 감수성 함양을 위한 다문화교육 지원

다문화학생 맞춤형 교육지원

율적 다문화교육 지원을 위한 센터 운영 및 지역 내 연계 활성화

 

주요 추진과제

 

 

 

1. 학교구성원의 다문화 감수성 함양을 위한 다문화교육 지원

학교교육과정을 통한

다문화교육 확산

󰊺육과정과 함께하는 다문화교육

󰊲다문화 유치원 운영

󰊳문화 중점학교 운영

교원의 다문화교육

역량 강화

󰊺다문화교육 역량 강화 연수 운영

󰊲문화교육지원단 운영

󰊳교사연구회 활동 지원

학생의 다문화수용도 향상

󰊺이중언어 활성화 지원

󰊲학생동아리 운영

2. 다문화학생 맞춤형 교육 지원

다문화학생의 건강한

성장 지원

󰊺한국어지도 지원

󰊲한국어학급 운영

󰊳교사 멘토링제 운영

󰊴다문화언어강사 운영 지원

다문화가정 학부모

역량 강화

󰊺학생 교육정보 다중언어서비스 제공

󰊲다문화가정학부모 동아리 운영

󰊳다문화가정학부모 학교참여 활성화

3. 다문화교육

지원체계 구축

협력적 다문화교육 체계 확산

󰊺다문화교육지원센터 운영

󰊲다문화교육진흥위원회 운영

󰊳다문화유관기관네트워크 구축

다문화 감수성: 서로 다름에 대한 배려와 존중, 차이를 인정하고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소양

. 과제별 추진 내용

1

 

학교구성원의 다문화감수성 함양을 위한 다문화교육 지원

 

학교교육과정을 통한 다문화교육 확산

1--1

 

교육과정과 함께하는 다문화교육

목적

문화의 다양성이 공존하는 다문화 사회 이해 및 세계시민으로서의 자질 함양

대상 : 학생

운영개요

연간 10시간 다문화교육 실시 권장(학교급별 교육과정과 연계)

교과와 창의적체험활동 시간 활용, 가급적 교과와 관련단원을 추출하여 연계 지도 권장

도덕, 사회과 또는 세계시민교육, 민주시민교육 등과 연계 운영

다문화교육주간 : 5. 14.() ~ 5. 20.() (*5. 20.세계인의 날) 학교별 자율 운영

1--2

 

다문화유치원 운영

목적

유치원 단계부터 조기 개입, 언어 및 기초학습 등 맞춤형 교육지원

다문화가정 유아에게 동등한 출발점 보장 및 실질적인 교육기회 평등

대상 : 3개원(만천유치원, 한서초 병설유치원, 화천유치원)

운영 개요

일반학생과 통합하여 교육하되, 다문화학생의 발달 단계 및 다문화적 요소 등 특성을 고려한 추가지도 실시

다양한 활동영역과 연계하여 통합적 언어교육 실시

모든 유아 대상으로 다문화 이해 교육, 부모 교육 등 실시

지원예산

3개원 × 5,000,000= 15,000천원

 

1--3

 

다문화 중점학교 운영

목적

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이 함께 참여하는 다문화교육, 상호이해교육 등을 운영하는 모델학교 운영

다문화교육 우수사례를 공유·확산하여 다문화교육 활성화

대상 : ··15( 광산초, 두촌초, 비두초, 서부초, 속초초, 양양초, 오안초, 용하초, 주천초, 창촌초, 강릉해람중, 양양중, 홍천중, 성수여고)

운영개요

지역 내 다문화교육을 선도할 수 있는 프로그램 운영

우수사례 공유하여 일반화 자료 개발 등

지원예산

15개교 × 7,000천원 = 105,000천원

 

 

교원의 다문화교육 역량 강화

1--1

 

다문화교육 역량 강화 연수 운영

목적

교직원의 다문화교육 전문성 제고

다문화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법 구안 및 맞춤형 성장지원 강화

대상 : ··고 교직원

운영 개요

교원의 현장중심의 실천적 다문화교육 직무연수 및 원격직무연수 실시

다문화학생 상담지원 연수 신설 (교육복지사, 전문상담사 등 대상)

권역별(춘천, 원주, 강릉) 학교운영자 연수 운영

다문화교육 관련 연수 15시간 이수 권장

1--2

 

다문화교육지원단 운영

목적

다문화교육 관련 정책 컨설팅, 모니터링 능력을 지닌 전문교사 양성으로 다문화교육 지원 강화

대상 : 학생, 교원, 학부모

운영 개요

다문화교육지원단 40(·중등교사)

학생, 교원, 학부모 대상 다문화교육 연수 강사 활용

 

 

1--3

 

교사연구회 활동 지원

목적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 및 이해도 제고

교과 교육과정 및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다문화교육의 내실화 방안 모색

대상 : ··고 교사

지원예산 : 3× 2,000천원 = 6,000천원

 

학생의 다문화수용도 향상

1--1

 

이중언어교육 활성화 지원

목적

학생들의 글로벌 역량과 다문화수용성 함양

학생들의 이중언어 활용 능력 신장

대상 : ··고학생

운영 개요

이중언어도서 보급(3,000여권)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이중언어말하기 대회 운영

지원 예산

3,000× 10,000=30,000천원

·본선 25,682천원

 

1--2

 

학생동아리 운영 지원

목적

학생들의 세계시민의식 및 다문화수용성 함양을 통한 미래인재 육성

학교별 특색있는 동아리 지원 활성화 및 참여의식 고취

대상 : ·고학생

운영 개요

세계시민교육과 연계하여 운영

동아리 공모계획서 심사를 통해 10개 동아리 선정 지원

지원 예산

10× 1,000천원=10,000천원

2

 

다문화학생 맞춤형 교육 지원

 

다문화학생의 건강한 성장 지원

2--1

 

한국어지도 지원

목적

발달단계에 맞는 적절한 한국어 지도로 학교 적응력 신장

언어발달을 통한 기본 학습력 신장

대상 : 다문화학생 (··)

운영 개요

문화학생의 언어 및 기초학습 향상을 위해 프로그램을 기관(학교)별 여건과 대상 학생의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자율적으로 운영

지원 예산 : 252,000천원

 

2--2

 

한국어학급 운영

목적

도입국자녀, 학교부적응 및 언어 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자녀 지원으로 학교 적응력 신장

공교육 진입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지원

대상 : 6교 운영(동춘천초, 후평초, 천곡초, 평원초, 해밀학교, 상지여고)

운영개요

한국어 능력이 부족한 중도입국자녀, 외국인학생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 및 학교생활 교육

공교육에 진입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 실시

다문화언어강사, 상담교사 등 지원

지원예산

6× 18,000천원 = 108,000천원

2--3

 

교사 멘토링제 운영

목적

문화학생의 학교 생활 및 생활 전반의 안정적 적응과 성장 지원

다문화학생의 특기 적성 계발을 통한 글로벌 인재 양성

대상 : 다문화학생(··) 및 교사

운영개요

다문화학생과 교사의 1:1 또는 1:2~3 결연을 통한 멘토링 실시

기초학력, 진로지도, 예체능, 상담 등 맞춤형 지도를 통한 다문화학생 인재 양성

지원예산

20× 1,000천원 = 20,000천원

 

2--4

 

다문화언어강사 운영 지원

목적

다문화학생 맞춤형 지원 및 다문화교육 실시

다문화가정 학부모가 가지고 있는 교육 역량 발휘

대상 : 다문화학생(·) 및 학부모

운영개요

다문화학생 학습지도 및 학부모 상담, 다문화교육지원, 2외국어지원

시간제근무(2019. 3.~12.)

지원 예산 : 208,500천원

 

다문화가정 학부모 역량 강화

2--1

 

다문화가정학부모 동아리 운영

목적

개인의 특기 신장 및 자신감 회복

다양한 사회활동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사회 적응력 및 학교 참여 활성화

대상 : 다문화가정 및 일반가정 학부모, 교직원 등

운영개요

동아리별 운영비 지원 및 다양한 발표기회 제공

일반가정 학부모 함께 참여

지원 예산

8× 1,500천원 = 12,000천원

 

2--2

 

학생 교육정보 다중언어서비스 제공

목적

다문화가정 학부모의 자녀 교육 지원을 위한 맞춤형 정보 제공

대상 : 다문화가정 학부모

운영 개요

국문화와 인사하기, 학교에서 지켜야 할 사항, 공공질서 등 기본예절에 대한 지도 자료 보급

학절차·학교 정보 등을 내용으로 하는 우리아이 학교 보내기9개 언어로 제공

안내장, 가정 통신문, 각종 현수막, 입간판 문구, 주요부서 명칭, 생활용어 모음 등 다국어로 번역 제공 다문화 친화적 학교 분위기 조성

 

2--3

 

다문화가정학부모 학교 참여 활성화

목적

다문화가정 학부모의 학교참여 활성화로 자녀교육 역량강화

학부모회에 참여함으로써 다양한 교육적 정보 교류

대상 : 다문화가정 학부모

운영 개요

학부모 학교 참여 지원 사업 등에 다문화가정 학부모 참여 권장

학부모교육 시 다문화가정 학부모 참여토록 지원

학교운영위원회 참여 권장

3

 

다문화교육 지원체계 구축

 

협력적 다문화교육체계 확산

3--1

 

다문화교육지원센터 운영

목적

다문화가정에 대한 교육 서비스 제공 및 상담 활동

정책학교 운영 지원, 교원연수 및 학부모교육, 지자체·유관기관과 연계 등 지역내 다문화교육 지원

대상 : 교원, 학생, 학부모

운영 개요

센터명: 강원도교육청다문화센터 한울타리

다문화학생들의 원활한 공교육 진입 및 학교편입학 상담, 기초학습 지원 등으로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

컨설팅, 교육자료 공유, 교원 연수 등을 통한 다문화 정책학교 운영 지원

학교생활 안내, 자녀와의 대화법, 입학절차 등 학부모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교육과 정보 제공

지역 유관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다문화교육의 서비스 연계 기반 구축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자료 관리 및 사업 모니터링

 

3--2

 

다문화교육진흥위원회 운영

목적

다문화교육에 관한 효율적인 업무 추진

구성 : 위원장 1명과 부위원장 1명을 포함한 10명 위원으로 구성

위원장은 부교육감으로 하고, 부위원장은 위원 중에서 호선하며, 위원은 다문화에 관한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 중에서 교육감이 임명 또는 위촉. 다만, 외부 위원이 전체 위원의 3분의 1이상이 되도록 구성

운영 개요

진흥 계획의 수립, 추진 및 평가에 관한 사항

다문화교육 관련 주요 시책의 개발, 조정 등에 관한 사항

그 밖에 교육감 또는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3--3

 

다문화 유관기관 네트워크 구축

목적

다문화 유관기관간의 유기적 협력을 통한 다문화교육의 효율성 증진

대상: 강원도내 다문화유관기관

운영 개요

다문화유관기관 협의회 운영

기관간 다문화교육 운영 정보 공유 및 협력

 

 

 

 

. 참고자료

1

 

강원도내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현황

. 참고자료

1

 

강원도내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