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tmqhrl

http://news.ebs.co.kr/ebsnews/menu1/newsAllView/20433839/H?eduNewsYn=N&

 

<뉴스G> 기후위기를 경고한 야생동물들의 2020년

김이진 작가 | 2021. 01. 12 | 107 조회

 

[EBS 뉴스G]

박민영 아나운서

오늘 뉴스G도 소개해주시죠.


금창호 기자

네. 2020년은 야생동물들에게도 혹독한 해였습니다.


폭염과 산불 홍수 등 세계 곳곳에서 발생한 이상기후 속에서 힘겨운 생존을 이어가야 했기 때문입니다.


전 세계가 코로나19 방역에 온 힘을 쏟은 지난 한 해, 기후위기 현실을 일깨웠던 야생동물들, 뉴스G에서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진흙을 뒤집어쓴 남극의 아기펭귄과 꺼지지 않는 산불 속에서 가까스로 목숨을 구한 코알라 그리고, 굶주림에 지쳐 인간에게 구걸하는 북극곰.


작년 한 해는 야생동물들에게도 혹독한 한 해 였습니다.


코로나19로 경제활동이 멈추며 자연은 잠시 숨통이 트였지만 동시에 지난 10년간 누적된 환경파괴가 산불과 홍수 극지방까지 덮친 고온현상으로 드러나며, 야생동물의 생존을 위협했습니다.


2019년부터 작년까지 호주를 집어삼킨 산불로 희생된 야생동물은 약 30억 마리.


최대 피해자는 코알라였습니다.


만약 지구온난화를 그대로 방치한다면 코알라는 30년 안에 멸종할 것이라는 예측도 나왔습니다.


1년째 꺼지지 않는 아마존 열대우림 화재로 재규어와 악어 등 야생동물도 위험에 처해있습니다.


작년 2월 영상 20도를 기록한 남극.


아델리 펭귄이 떼죽음을 당했고 턱끈 펭귄 7만 쌍도 사라졌습니다.


평균기온이 5도나 상승한 북극에선 앞발이 노랗게 물든 북극곰이 자주 목격됐습니다.


얼음이 녹아 바다표범을 사냥할 수 없게 되자 새의 알을 먹이로 삼았기 때문입니다.


2035년에는 북극의 바다얼음이사라지고 현재 지구상에 남아 있는 약 3만 여마리의 북극곰 또한 2100년 경엔 멸종할 것이라는 연구도 나왔습니다.


2020년도 세계가 목격한 이상기후는 앞으로 본격화될 기후위기의 예고편이 시작됐다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그리고 그 예고편의 주인공은 야생동물이었습니다.


지구온난화를 늦출 수 있는 유일한 희망은 인간뿐.


작년 한 해 , 죽음으로 기후위기를 경고한 야생동물들은 2021년, 세계가 무엇을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하는지 다시금 일깨우고 있습니다.

김이진 작가 jebo1@ebs.co.kr / EBS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