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 일시 일요일 11:00
(11. 14.() 조간)
배포 일시 2022. 11. 11.() 16:00
담당 부서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책임자    김광진 (063-238-6900)
<총괄> 도시농업과 담당자 연구사 문지원 (063-238-6922)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한 치유농업 활성화 방안 논의
- 농촌진흥청, 16 국회서 치유농업-보건복지 연계 토론회 열어 -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국민의 건강 증진과 농업·농촌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16일 국회도서관에서 ‘치유농업과 보건·복지 연계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토론회를 연다.

 

 이번 토론회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최재형 의원실과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정희용 의원실, 농촌진흥청이 공동 주최하며, 치유농업과 보건복지 전문가, 관계자 등 80명이 참석한다.

 

 주제 발표에서는 ▲네덜란드 치유농업 현황(Jan Hassink 박사, 바헤닝언 대학) 영상 강연 ▲치유농업 이해와 정책 방향(장정희 농촌진흥청 치유농업추진단장) ▲치유농업과 정신건강 연계 활성화 방안(김도윤 마음두레연구소 대표) ▲치매안심센터 연계 치유농장 사례(송미나 드림뜰 힐링팜 대표)를 소개한다.

 

 이어 박천호 고려대학교 명예교수를 좌장으로 국립정신건강센터 이영문 센터장, 중앙치매센터 김교현 팀장, 중앙사회서비스원 이대영 부장, 삼성스카이병원 서용선 원장, 대구가톨릭대학교 윤숙영 교수가 종합토론을 한다.

 

 유럽에서는 1990년대부터 치유농업을 보건복지 정책과 연계해 노인과 위기청소년의 돌봄과 심신 건강 증진 등 보건·의료영역에 활용하고 있으며 관련 연구를 추진해 왔다.

 

 우리나라에서는 농촌진흥청이 2021 3월 ‘치유농업연구개발 및 육성에 관한 법률’을 시행한 이후, 1(2022~2026) 종합계획을 수립해 치유농업 연구개발, 확산, 기반 구축, 사업화 촉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농촌진흥청은 심각한 고령화로 인한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인 인지 건강 개선을 위한 치유농업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과학적 효과를 검증했으며, 2020 7월 보건복지부(노인정책관)와의 업무협약을 통해 경증치매관리에 협력하고 있다. 현재 치유농장 70여 곳이 지방자치단체 치매안심센터와 협력해 경증치매 노인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올해는 발달장애인·장기요양 주간보호센터 등 사회서비스 4종을 치유농업 프로그램과 연계해 효과를 검증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이지원 원장은 “치유농업은 국민의 심신 질환을 예방해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고 삶의 질을 높이며, 농촌을 복지 공간으로 활용함으로써 농촌 과소화 현상을 극복하는 데에도 보탬이 될 것이다.”라며 “이번 토론회가 전문가·관계자들의 지혜를 모으고 공감대를 형성하는 장이 되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붙임. 치유농업-보건복지 연계 활성화 국회토론회 개최 계획

 

 

 

담당 부서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책임자    김광진 (063-238-6900)
<총괄> 도시농업과 담당자 연구사 문지원 (063-238-6922)
<공동> 농촌진흥청 책임자    장정희 (063-238-1080)
  치유농업추진단 담당자 지도사 임은성 (063-238-1085)
 
     

 

 
붙임   치유농업-보건복지 연계 활성화 국회토론회 개최 계획()

 

 ◇ 국민 건강·삶의 질 향상 및 농업·농촌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치유농업과 보건·복지 연계 활성화 방안 모색  
 

 

 

 
 
     

   일시·장소 : 22. 11. 16.()  09:30~12:00, 국회도서관 소회의실(B1)

   주최 : 최재형 의원*·정희용 의원**·농촌진흥청

      * 보건복지위(서울 종로)   ** 농해수위(경북 고령·성주·칠곡)  

   주관 : 치유농업추진단·국립원예특작과학원

   대상: 농촌진흥기관·보건복지 관련자  80

 

 
 
 주요내용

   [주제발표] 치유농업 추진현황  복지 연계 방안

   (영상) 네덜란드 치유농업 선진사례(Jan Hassink, WUR)

   (발표 1) 치유농업의 이해  정책 방향(장정희, 치유농업추진단)

   (발표 2) 치유농업과 정신건강 연계 활성화 방안(김도윤, 마음두레 연구소)

   (발표 3) 치매안심센터 연계 치유농장 사례(송미나, 드림뜰 힐링팜)

   [종합토론] (좌장) 박천호(고려대) (패널) 이영문(국립정신건강센터장), 김교현(중앙치매센터 팀장), 이대영(사회서비스원 부장), 서용선(삼성스카이병원장), 윤숙영(대구가톨릭대학교 교수)

 

 
 
 기대효과

    치유농업-보건·복지 분야 공동연구과제 발굴  연계 확대

 
참고    세부일정
일 시    비 고
~09:30 등록  
09:30~09:35 개회 및 내빈소개 김광진 도시농업과장
09:35~09:40 개회사 최재형
국회의원(보건복지위)
09:40~09:45 개회사 정희용
국회의원(농해수위)
09:45~09:50 환영사 조재호
농촌진흥청장
09:50~10:00 기념사진 촬영  
1. 주 제 발 표
10:00~10:10  영상   치유농업 역사 및 선진사례 Jan Hassink
(WUR)
10:10~10:30 발표 1 치유농업의 이해 및 정책 방향 장정희
(치유농업추진단장)
10:30~10:50 발표 2 치유농업과 정신건강 연계 활성화 방안 김도윤
(마음두레 연구소 대표)
10:50~11:10 발표 3 치매안심센터 연계 치유농장 운영사례 송미나
(드림뜰 힐링팜 대표)
2. 종 합 토 론
11:10~12:00 이영문 국립정신건강센터장 좌장: 박천호
(고려대)
김교현 중앙치매센터 치매연구개발팀장
이대영 사회서비스원 혁신기획부장
서용선 삼성스카이병원장
윤숙영 대구가톨릭대학교수
12:00~ 마무리 및 폐회 김광진 도시농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