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공부-100번째손님(거짓말에 관하여)활동지.hwp
0.64MB

-100번째 손님-


국밥 집 주인 강씨 아저씨는 손님을 기다리며 신문을 뒤적이고 있었습니다.
점심시간에 직장 손님들이 지나간 뒤라서 국밥집은 좀 한산 하였습니다.

그때 문이 벌쭘히 열리더니

머리카락이 허연 할머니가 열살쯤 되어 보이는

남자 아이의 손목을 잡고 들어 왔습니다.
자리에서 일어선 강씨 아저씨가 웃는 얼굴로 그들을 맞았습니다.
할머니가, 

"저,저어~쇠머리국밥  한 그릇에 얼마나 하는지요?”
“6천 원 받습니다.”
할머니는 조금 엉거주춤 몸을 돌려 허리춤에서 주머니를 꺼내

안에 든 동전까지 철렁거리며 헤아려 보았습니다.
그리곤  "국밥 한 그릇만 주세요.”
소년을 먼저 앉히고 할머니는
그 맞은쪽으로 가서 앉았습니다.
강씨 아저씨는 그들 앞에 물잔 둘을 놓고,
주전자로 물을 따랐습니다.

 

조금 뒤, 강씨 아저씨는 국밥 한 그릇에 깍두기 한 접시를 곁들여

할머니와 소년의 가운데에 놓았습니다.
김이 모락모락 오르고 구수한 냄새가 풍겼습니다.
“아가야, 어서 많이 먹어라.”
소년은 국밥을 한 숟가락 푹 떠서 입에 막 넣으려다가는 할머니를 바라보며
“할머니, 정말 점심 먹었어?”
“그럼, 배불리 먹었다. 너나 어서 먹어라.”
그제서야 소년은 국밥을 먹기 시작했습니다.
소년이 게걸스러이 먹는 동안 할머니는

깍두기 하나를 집어 입에 넣고 오물오물 씹고 있었습니다.

 

 

그 모습을 지켜보던 강씨 아저씨가 그들 앞으로 다가서 말합니다
“오늘 참 운이 좋으십니다.
할머니는 오늘 우리집의 백번째 손님입니다.”
할머니는 무슨 소리냐는 듯 눈을 동그랗게 뜨며 강씨 아저씨를 쳐다 보았습니다.
“우리집에서는 그 날의 백번째 손님께는 돈을 받지 않습니다.
작은 복권을 하나 타신 셈이지요.”
“아니, 그게 정말인가요?”
“아, 그럼요. 오늘은 그냥 가시고, 다음에 또 오십시오.”
할머니는 쪼글쪼글한 얼굴 주름살이 다 펴지도록 환히 웃었습니다.

그로부터 몇 달 남짓 지난 어느 날이었습니다.
강씨 아저씨는 무심코 창밖을 내다보다가

길 건너쪽에서 이쪽을 바라보고 있는 낯익은 소년을 발견했습니다.
사흘째 내리 그 자리에 서 있는 그 아이를 본 강씨 아저씨는

아내를 보내 무슨 까닭인지 넌지시 알아보게 했습니다.
한참 만에 돌아온 아내의 얼굴빛은 그리 밝지 못했습니다.
“내일 모레가 쟤네 할머니의 생신이래요.
할머니께 국밥을 대접해 드리려고

언제쯤 오면 백번째 손님이 될 수 있는지를 세고 있나 봐요.”

 

마침 가게손님이 별로 뜸한 때라서
“이거 야단 아니야? 백번째 손님은 커녕,”

강씨 아저씨의 고민은 그때부터 시작되었습니다.
한나절 내내 “이거 야단 아니야!”를 연발하던 강씨 아저씨가 무릎을 탁 쳤습니다.
그러더니 전화기 앞에 붙어 앉아 여기저기 전화를 걸어댔습니다.
“과장님이세요?
모레 점심시간에 저희 집에 오십시오.

별일은 아니고요.
평소에 많이 이용해 주셔서 점심
한 끼 대접하고 싶어서요.
친구분들과 같이 오시면 더 좋습니다.”
강씨 아저씨는 전화번호 수첩을 뒤적이며

한참 동안 이곳 저곳 전화를 걸었습니다.
그리고는 똑같은 말을 되풀이했습니다.

 

드디어 그날이 되었습니다.
강씨 아저씨네 국밥집 건너편 길에 소년이 나타났습니다.
혼자가 아니고 할머니랑 같이 였습니다.
강씨 아저씨네 국밥집에 손님이
한 사람 들어갈 적마다 소년은 동그라미 속에

돌멩이를 사람 숫자대로 넣었습니다.
여느 날과 달리 손님들이 모여들기 시작했습니다.

얼마 뒤였습니다.
“할머니, 어서 일어서! 아흔아홉번째 손님이 들어갔어.
다음이 백번째란 말이야.”
소년이 서둘러 할머니 손을 잡고 끌었습니다.
“오늘은 내가 할머니께 사드리는 거야.”
소년은 할머니의 귀에 대고 나직이 속삭이며 씨익 웃었습니다.
“오냐, 고맙다.”
할머니는 더없이 행복한 얼굴로 소년을 바라보았습니다.
그날 진짜 백번째 손님이 된 할머니는

또 따뜻한 쇠머리국밥 한 그릇을 대접 받았습니다.
식당 안을 가득메운 손님들은 백번째의 손님에게

행운을 비는 박수를 치며 국밥을 얻어 먹었지요.

그런 일이 있은 뒤로 참 신기한 일이 벌어졌습니다.
강씨 아저씨네 국밥집에는 사람들이 몰려 들기 시작해서

정말로 백번째 손님이 되어 국밥을 공짜로 먹는 사람이 날마다 생겨났습니다.
그리고는 이백번째 손님이 되어 같이 온 동행들까지

공짜 국밥을 먹는 일도 가끔 있었습니다.

 

100번째 손님이야기를 읽고 다음 물음에 써보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OK8vmdBI7KI 

 

 

1. 전문가의 조사에 의하면 보통사람의 경우 단 한 번도 거짓말을 안 한 사람은 없다고 합니다. 혹시 내가 거짓말을 한 경우가 있다면 생각나는 대로 써보세요.

 

 

 

 

2. 소년이 할머니께 “할머니, 정말 점심 먹었어?” 이렇게 말하자
    할머니는 그럼, 배불리 먹었다. 너나 어서 먹어라.” 라고 말했습니다.

    할머니 말이 사실일까요?

    왜 그렇게 생각하나요?

 

 

 

 

3. 이 국밥집 가게 주인 강씨 아저씨는 할머니께 사실과 다른 말(거짓말)을 했습니다. 무엇 이라고 하였나요?

    왜 그런 거짓말을 했을까요?

 

 

 

 

4. 할머니와 소년이 다녀간 뒤 강씨네 국밥집 장사는 어떻게 되었나요?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를 이야기에서 찾아 써보세요?

 

 

 

 

5. 거짓말은 나쁜 것 인가요? 어떻게 생각하나요? 나의 의견을 말하고 그 까닭을 써보세요.

  나쁜 거짓말 선의의 거짓말
거짓말의 예
(사례)
   
나의 생각 쓰기  
나의 생각에 대한 이유 쓰기  

 

 

<거짓말에 관한 예화>

* 금도끼 은도끼

 

* 보이스피싱<거짓말에 관한 예화>

htt*ps://youtu.be/eMqohHqk3aM

 

 

* 산타할아버지

밤새 크리스마스 선물이 도착했습니다.

아이의 말

-"엄마! 어젯밤에 산타 할아버지가 다녀간 거예요?"
아이가 산타 할아버지에 대한 환상을 잔뜩 품고 있는 것 같네요.
이 어린 아이에게는 어떤 대답을 들려줘야 할까요?
 
두 가지 선택지를 드릴게요. 
"그래 맞아. 우리 ㅇㅇ이가 착한 아이라서 산타 할아버지가 선물을 주신 거란다."

"아니, 세상에 산타 할아버지는 없단다. 그건 그냥 엄마가 주는 선물이야."

여러분이라면 어떤 대답을 선택하실 건가요? 
아마 첫 번째 대답이 가장 일반적인 대답일 겁니다.
아이가 즐거워하는 모습을 보고 싶으니까요.

 

산타 할아버지가 없다고 딱 잘라 말하는 두 번째 대답은 좀 너무한 것 같죠.
굳이 아이의 환상을 깨뜨릴 필요는 없잖아요.

하지만, 문제는 여기서 발생합니다.
산타 할아버지가 다녀가셨다는 말은 분명 거짓말이잖아요!

 

* 나무꾼과 사슴

https://youtu.be/XUbbdLIbj-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