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5년 내 도시농업 300만명·공동체 1000개 육성…종합계획 수립
기사등록 2023/07/06 06:00:00
- 가가
농식품부, 제3차 도시농업 육성 5개년 계획 발표

[광주=뉴시스] 류형근 기자 = 전남대학교 농업실습교육원 '도시농업(텃밭) 프로그램'. (사진=전남대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 오종택 기자 = 농림축산식품부는 6일 도시농업 가치 확산과 활성화를 위해 5년간 참여자 300만명, 도시농업공동체 1000개소 육성을 목표로 하는 '제3차(2023~2027) 도시농업 육성 5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정부는 '도시농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근거해 5년마다 도시농업 육성 종합계획을 수립해 추진한다. 작년 기준 도시텃밭은 1052㏊, 참여자는 195만6000명이다. 실내 도시농업 관심 증가와 함께 실내 농작물재배 온라인 정보량은 2019년 6만3668건에서 2021년 19만9038건으로 3배 넘게 증가했다.
전국적으로 지원센터와 전문인력양성기관 등 교육기관이 설치돼 있고, 도시농업관리사 자격제도 시행 이후 전문인력 9373명을 배출했다. 반려식물, 식물집사, 플랜테리어 등 도시농업 관련 서비스와 제품에 대한 관심도 커졌다.
따라서 농식품부는 5년간 ▲탄소중립과 생태환경 보전 ▲스마트한 도시농업 ▲일상생활 속 도시농업 확산 ▲상생과 협력 확대 등을 중점 추진할 예정이다.
도심에서 탄소중립 실천과 생태환경 보전을 위해 생활권, 건축물 내 공간을 활용한 수요자 맞춤형 텃밭을 조성하고 생태교육을 운영한다. 텃밭 부산물, 커피 찌꺼기 퇴비화 등 자원순환 재배기술을 지자체·민간에 확산할 수 있도록 실용화한다.
최근 반려식물에 대한 관심을 반영해 취향에 맞는 식물 추천부터 구매까지 도시농업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누리집(modunong.or.kr)을 운영하고, 사물인터넷 등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학습 교구·콘텐츠를 미래세대 중심으로 보급한다.
생애주기별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연령층이 도시농업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직장 내 모임, 아파트 주민, 어르신들 대상으로 공동체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지역사회 참여와 유대관계를 강화한다.
이와 함께 기업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도시농업 모델을 발굴·확산하고, 도시농업 활동을 귀농·귀촌의 선행단계로 활용하는 등 협력을 강화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3차 종합계획은 확대된 도시농업의 외연을 기반으로 도시농업이 갖는 환경적, 사회적 가치 등을 활용한 활동을 통해 도시민, 농업인, 기업이 상생하는 체계를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
농식품부에 따르면 정부는 '도시농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근거해 5년마다 도시농업 육성 종합계획을 수립해 추진한다. 작년 기준 도시텃밭은 1052㏊, 참여자는 195만6000명이다. 실내 도시농업 관심 증가와 함께 실내 농작물재배 온라인 정보량은 2019년 6만3668건에서 2021년 19만9038건으로 3배 넘게 증가했다.
전국적으로 지원센터와 전문인력양성기관 등 교육기관이 설치돼 있고, 도시농업관리사 자격제도 시행 이후 전문인력 9373명을 배출했다. 반려식물, 식물집사, 플랜테리어 등 도시농업 관련 서비스와 제품에 대한 관심도 커졌다.
따라서 농식품부는 5년간 ▲탄소중립과 생태환경 보전 ▲스마트한 도시농업 ▲일상생활 속 도시농업 확산 ▲상생과 협력 확대 등을 중점 추진할 예정이다.
도심에서 탄소중립 실천과 생태환경 보전을 위해 생활권, 건축물 내 공간을 활용한 수요자 맞춤형 텃밭을 조성하고 생태교육을 운영한다. 텃밭 부산물, 커피 찌꺼기 퇴비화 등 자원순환 재배기술을 지자체·민간에 확산할 수 있도록 실용화한다.
최근 반려식물에 대한 관심을 반영해 취향에 맞는 식물 추천부터 구매까지 도시농업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누리집(modunong.or.kr)을 운영하고, 사물인터넷 등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학습 교구·콘텐츠를 미래세대 중심으로 보급한다.
생애주기별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연령층이 도시농업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직장 내 모임, 아파트 주민, 어르신들 대상으로 공동체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지역사회 참여와 유대관계를 강화한다.
이와 함께 기업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도시농업 모델을 발굴·확산하고, 도시농업 활동을 귀농·귀촌의 선행단계로 활용하는 등 협력을 강화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3차 종합계획은 확대된 도시농업의 외연을 기반으로 도시농업이 갖는 환경적, 사회적 가치 등을 활용한 활동을 통해 도시민, 농업인, 기업이 상생하는 체계를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
'관심.일상 > 치유정보.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량작물과 놀다 보니 자신감 ‘쑥쑥’-국립식량과학원김현주 2023-12-18 (2) | 2023.12.18 |
---|---|
강원인재육성평생교육진흥원, '행복한 나이듦 평생학습 지원사업' 공모-복지TV 강원 2022.06.30 15:12 (1) | 2023.12.04 |
교육부 제2차학생건강증진 기본계획 (0) | 2023.11.01 |
알츠하이머병 평가척도-CDR (0) | 2023.10.29 |
주관적 기억감퇴 설문-SMCQ (0) | 2023.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