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둘이서 30분씩 책읽기 1230 독서 프로젝트] 신문 스크랩의 기술
2008-06-12 오후 5:24:19

곱슬샘 : 궁금이는 신문을 어떻게 스크랩하니?

궁금이 : 스크랩요? 가위나 풀을 가지고 자신이 원하는 기사를 오려요.

곱슬샘 : 잘하고 있네요. 근데 그 자료들은 어디에 보관하니?

궁금이 : 보관요? 저도 한때 보관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자료가 많아지니깐 버리고 말았어요.

곱슬샘 : 샘도 너처럼 스크랩을 하다가 지쳐버린 경우가 있었단다. 뭔가 효과적인 스크랩 기술을 생각하다가 방법을 찾아냈지.

궁금이 : 샘도 저처럼 고민을 하셨군요. 샘이 찾은 방법을 알려주세요.

곱슬샘 : 그래. 샘과 함께 신문 스크랩 기술을 터득해서 차원 높은 정보 활용법에 대하여 알아보자.

1. 읽기 전 활동

활동1. 신문 스크랩을 성공한 경우와 실패한 경우를 말해 보자.

활동2. 자신만이 알고 있는 신문 읽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2. 읽기 중 활동

- 정보는 어떻게 습득되는가?

- 정보의 질을 높이는 방법은?

- 유능한 정보통이 되기 위한 실천 포인트는?

- 신문 정보 가운데 옥석을 가리는 방법은?

- 정보 활용의 단계는?

- 신문 만드는 과정을 요약하시오.

- 신문 지면의 종류를 아는 대로 쓰시오.

- 신문 기사의 종류를 말해보시오.

- 신문 내용이 시간과 지역에 따라 다른 이유는?

- 신문 사진 스크랩을 위한 선택 요령은?

- 인터뷰 대상은 어떤 인물군인지 살펴보자.

- 필자가 제시한 효과적인 신문 읽기 방법은 무엇인가?

- 촛불집회에 대한 언론사의 보도 경향을 비교해 보자.

- 신문사마다 1면의 헤드라인이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

- 신선한 정보를 얻기 위한 스크랩의 포인트는?

- 신문의 핵심을 잡아내는 방법은?

- 신선한 정보의 기준은?

- 정보력을 높이기 위한 스크랩의 원칙은?

- 신문 스크랩을 미루는 전형적인 핑계는?

- 신문 스크랩에서 효율적인 분류와 정리를 하기 위한 원칙은?

- 스크랩 카드 작성 방법은?

- 경제기사 스크랩하는 방법은?

- 말씀nie 스크랩하는 방법은?

- 사회기사 스크랩하는 방법은?

- 문화기사 스크랩하는 방법은?

- 미션기사 스크랩하는 방법은?

- 국제기사 스크랩하는 방법은?

3. 읽은 후 활동

활동1. 자신만의 진로 지도 스크랩을 만들어 보자.

활동2. 신문 정보 분류 카드를 만들어 보자.

=> 주제, 출처, 성명, 스크랩 내용, 내용 요약, 주제문 정리, 느낀 점, 모르는 낱말 등을 공책에 정리

4. 신문 속으로

□□□이란 신문 잡지 따위에서 필요한 부분을 오려내는 일, 또는 그 오려낸 글이나 사진 조각을 말합니다. 필요한 정보를 한곳에 모아서 체계적으로 분류하기 때문에 정보에 대한 접근성과 이해력을 높일 수 있어서 □□□은 NIE 수업의 핵심이지요. 먼저 정보 □□를 한 후에는 정보의 □□ 단계로 찾은 정보만 읽으면서 형광펜으로 밑줄을 긋지요. 아울러 핵심적인 용어를 정리하여 '용어정리 노트'란 제목으로 정보자료 다음에 항목을 설정하여 작성합니다. 정보 □□, 정보 □□ 단계를 지나서 정보 비판하기, □□□ 적용단계로 600자 정도 '내 생각 펼치기'를 실시합니다. 일반 공책을 활용하여 맨 앞장에는 관련 주제를 쓰고 주제탐구 일지를 기록하지요. 신문이름, 신문 제목, 연월일, 면수, 판을 순서대로 도표로 만듭니다. 신문 내용은 오려서 붙이되 중요한 내용은 반드시 밑줄을 긋고, 핵심 단어에는 번호를 매겨서 공란에 단어의 의미를 설명합니다. 간단한 내용의 요약도 합니다. 이렇게 주제를 탐색하면 내가 분석한 주제 공책은 한 권이 됩니다. 주제 □□이 끝난 후에는 소감과 알게 된 점, 깨달은 점을 기록하면 됩니다. (국민일보 2006년 3월 11일 25면)

이규철 성문고 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