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선생님과 함께하는 초등논술] (1) 저학년 논술형평가는 이렇게 |
이번 주부터 초등학생과 학부모들을 위한 새 논술 칼럼 ‘선생님과 함께하는 초등논술’을 연재한다. 논술·서술형평가에 대비하는 방법부터 초등논술의 실제까지 서울교대부설초등학교 국어과팀 교사 4명의 특강을 15회에 걸쳐 싣는다. 올해부터 실시되고 있는 초등학교의 지필평가에서 논술형 평가문제의 비중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는 논술형 평가문제가 선택형 평가문제에 비해 논리적인 사고력과 종합력, 비판적인 사고력 등을 신장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저학년의 경우에는 상상력은 풍부하나 이렇게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정리하고 종합·비판하는 사고력은 부족한 시기이다. 따라서 저학년에서는 논술의 기본인 이유나 근거를 들어 말하고 쓰는 활동에서 그 이유나 근거가 되는 배경지식을 상상의 세계까지 넓혀 다양한 생각을 수용해 준다. 이에 1학년 학생들에게 제시될 만한 논술형 평가문제를 예시로 하여 출제 의도나 논술의 주안점, 가정에서 대비할 수 있는 방법 등에 대하여 간략하게 소개해 보면 다음과 같다. 1학년 2학기 읽기 영역의 둘째마당 학습제재 중 ‘어떻게 하면 좋을까’는 날마다 쥐를 잡아가는 고양이 때문에 쥐들이 회의를 하는 이야기이다. 이 이야기를 읽고,‘셋째 쥐가 말하고자 하는 생각을 쓰시오.’라고 출제하면 서술형 문제가 된다. 이때는 ‘셋째 쥐의 생각은 고양이가 올 때마다 방울 소리를 듣고 빨리 도망갈 수 있도록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자이다.’라고 답하면 된다. 이렇게 서술형 문제는 어느 정도 정형화된 답을 요구한다. 그러나 문제를 바꾸어 ‘셋째 쥐의 생각에 대한 내 생각을 쓰시오.’라는 논술형 문제로 출제되면 정형화된 답은 없다. 즉 논술형 문제에서는 학생들의 자유로운 생각과 다양한 반응을 적극 수용해 주면서 누가 더 깊게 또는 다각적으로 생각해 보고 창의적인 생각과 논리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하여 답하였느냐가 평가의 척도가 된다. 다시 말해서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자는 셋째 쥐의 생각에 대해 좋다고 생각하는지, 아니면 문제점이 있다고 생각하는지, 또는 더 좋은 방법은 없는지 등 자신의 생각을 쓰고,‘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이유나 근거를 들어 분명하게 써야 한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때 그 이유나 근거가 타당한 논리성을 갖고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다는 것은 좋지만 그 일은 너무 위험한 일이므로 아무도 하려고 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마을 입구에 방울을 단 줄을 매어 두었다가 고양이가 오면 줄을 흔들어 방울소리를 내는 것이 더 좋겠다.’ 라는가,‘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아두어도 고양이가 살금살금 움직일 때는 방울소리가 들리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돌아가며 망을 보자는 둘째 쥐의 생각이 더 좋다고 생각한다.’등으로 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정리하여 말하거나 쓰기는 단시간 안에 쉽게 학습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가정에서 학생들과 대화를 나눌 때 언제나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까닭을 들어 말하는 언어생활을 습관화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어린이날 ‘어디로 놀러 가면 좋을까?’라는 부모님의 질문에 저학년 학생들은 보통 ‘놀이동산에 가요.’라고 단순문장으로 의견을 말하기 쉽다. 이럴 때 다시 ‘왜?’라고 되물어 ‘어린이날은 우리들이 주인공이니까 우리들이 좋아하는 놀이기구를 신나게 탈 수 있는 놀이동산으로 가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해요.’라고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을 보다 논리적으로 정리하여 말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까닭을 들어 자신의 생각을 말하도록 하는 평소의 언어생활은 논리적인 사고력과 언어구사력을 신장시키는 기초가 되어 논술형 평가문제를 해결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 서울교대부설초등학교 교사 허득실 기사일자 : 2005-12-09 |
'논술 > 초등논술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에서 하는 논술지도 (동아2005.12.7) (0) | 2006.07.27 |
---|---|
집에서 하는 논술지도 (동아2005.12.27) (0) | 2006.07.27 |
너도나도 글쓰기 열풍(한국일보3.31) (0) | 2006.06.23 |
지적 성장단계 무시한 논술(중앙2006.1.18) (0) | 2006.06.23 |
과도시청이 유사자폐 유발(서울2006.3.31) (0) | 2006.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