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on/top_bt.php" ?>

1. 도시의 발달과 주민 생활

도시의 발달과 주민 생활

1. 도시의 모습과 위치

  1. 1) 도시의 의미와 특징
    • · 도시는 한 지역의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서 사람이 많이 사는 지역
    • · 우리나라는 인구 5만 명 이상이 도시
    • · 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제조업, 도매 및 소매업, 서비스업 등 주로 2, 3차 산업에 종사
    • · 도시에는 편의 시설, 문화 시설, 교통 시설 등이 잘 갖추어져 있음
  2. 2) 도시의 입지 조건
    • · 도시는 평평하고 넓은 땅이 있는 곳에, 큰 강이 흐르는 곳에, 교통이 발달한 곳에, 공장이 많은 곳에, 바닷가나 항구 근처에, 대도시 주변에, 인구가 많은 곳에 만들어지고 발달함

2. 도시의 분포와 발달

  1. 1) 우리나라의 도시 분포
    • · 수도권에 집중하여 분포
    • · 부산, 포항, 여수 등은 해안 지역에 형성된 도시
    • · 서울, 광주 등은 하천 주변의 평야 지대에 발달한 도시
  2. 2) 우리나라 도시 발달의 특징
    • · 과거에 비해 도시의 수와 도시 인구가 많이 증가
    • · 전국적으로 고르게 발달하지 않고, 수도권에 집중하여 발달
    • · 남동쪽 해안 지역에 공업 도시가 많이 생김
    도시의발달
    우리나라 도시의 발달
    도시의발달
    우리나라 도시의 발달

 

3. 도시의 문제와 해결

  1. 1) 도시 문제의 원인과 종류
    • · 도시로의 인구 집중은 주택 문제, 교통 문제, 환경 문제 등의 도시 문제를 일으킴
      도시 문제
  2. 2) 주요 도시 문제와 해결 방법
    • · 주택 문제 : 고층 아파트 건설, 낡은 주택 재개발, 신도시 개발 등
    • · 교통 문제 : 도로 건설, 차량 요일제 실시, 버스 전용 차로제 시행, 대중교통 이용, 자전거 이용 확대 등
    • · 환경 문제 : 대체 에너지 개발, 하수 처리 시설 확대, 쓰레기 처리 시설 확충, 친환경 자동차 운행 등
    • · 기타 도시 문제 : 범죄 예방 활동 강화, 일자리 만들기, 어린이집 늘리기, 학교를 새로 지음 등

 

 

4. 새로운 도시 만들기

  1. 1) 신도시
    • · 처음부터 필요에 따라 계획적으로 만들어진 도시
    • · 신도시는 도시 생활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도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계획되고 조성되기 시작
    • · 특징에 따라 산업 도시, 주택 도시, 행정 도시, 과학 도시 등이 있음
  2. 2) 사람들이 살고 싶어 하는 도시의 특징
    • · 문화와 역사, 예술이 발달한 도시
    • · 시민들이 직접 도시 문제에 참여하면서 민주적으로 운영되는 도시
    • · 자연과 함께하는 도시
    • · 다양한 사람들이 차별 없이 서로 안전하고 평화롭게 살아가는 도시

교과과정

  • 교과 학습 > 단원핵심정리
  • 초등학교 > 초등 4 > 1학기 > 사회 4-1 > 1. 도시의 발달과 주민 생활

동해시관광안내

http://www.dhtour.go.kr/korean/guide/06.htm

사회-우리 (고장)이웃의 직업조사 학습지

사회-우리고장의직업조사.hwp

 자연훼손과 복구사례

 

* 산불로 훼손된 자연과 복구사례

2000년 4월 7일 대한민국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학야리에서 발화하여 4월 15일까지 강원도 고성군삼척시, 동해시, 강릉시, 경상북도 울진군 일대의 산림 23,794 헥타르를 태우고 850여 명의 이재민을 발생시킨 산불이다.

 

산림의 훼손은 10년이 지난
아직 저 멀리 보이는 묘목 정도의 크기 밖에자라지 못했다. 그러나 봄이면 그 화마에서 살아남은 어린 나무에서 꽃도 피고, 열매도 맺고 생명을 잇기위해 상상을 초월한 노력을 하고 있음을 본다. 생태계의 원상복귀에는 100-200년정도 걸린다고 한다..

 

 

3

 

3

600

3

 

 

* 태풍 루사(RUSA)의 피해사례(삼척시)

태풍 루사는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15번째 태풍으로서, 2002년 8월 31일 한반도에 상륙하여 사망·실종 246명의 인명 피해와 5조 원이 넘는 재산 피해를 냈다. 강도 “강”의 세력으로 한반도에 상륙한 몇 안되는 태풍 중의 하나이며, 큰 비를 수반한 대표적인 태풍으로 꼽힌다. 대한민국의 일강수량 부문 역대 1위인 강릉의 870.5mm 는 이 태풍에 의해 기록된 것이다.

 

 

 

 

* 복구사례 (동해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