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행복해 보이나요?”

등록 :2017-10-13 18:35

크게 작게

[애니멀피플] 조민영의 색개
화려해서 더 슬픈 푸들 두 마리
사랑이란 이름으로 꾸민 이기심
형형색색의 ‘염색을 당한’ 푸들의 사진을 본 적이 있다. 인형처럼 예쁘고 화려해 보일지 모르지만 그건 과연 누구를 위한 치장인지 묻고 싶었다.

반려동물을 기르는 인구가 천만을 넘어섰다. 하지만 반려견과 함께하는 생활에 대한 인지 부족이 곳곳에서 목격되는 요즘이다. 외모 지향적인 무분별한 입양, 무책임하고 이기적인 사육 방식, 방치 등이 외면할 수 없는 현실로 나타난다. 유기견 수가 매년 증가한다. 나는 유기견 수를 줄이기 위한 가장 근본적인 실마리는 우리가 과연 준비된 반려인인지 묻는 데 있다고 생각한다.

그동안 나는 버려진 슬픈 얼굴을 한 아이들의 얼굴을 그리는 작업을 해왔다. 구원을 호소하는 가슴 아픈 눈빛이 주는 메시지를 읽어주길 바랐기 때문이다. 그러나 생각보다 많은 사람이 유기견의 현실을 외면하고 싶어 했다.

이 두 작품의 메시지는 ‘물음’이다. 화려한 색채와 터치는 그 물음에 대한 힌트다. 푸들은 럭셔리한 품종의 개로 상징된다. 가벼운 몸으로 춤추듯 걷는 걸음걸이와 화려한 몸단장이 사람들의 눈길을 끈다. 푸들은 원래 사냥개였다. 영리하고 활기찬 성격 덕에 훈련하기 좋은 견종이라 애견용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개량을 통해 소형화되었고, 무리하게 작게 개량된 탓에 천성적으로 관절 건강이 좋지 않다.

그림 속의 푸들 두 마리는 우리에게 묻는다. ‘우리가 행복해 보이나요?’ 사랑은 한쪽만 행복한 게 아니라 같이 행복해야 하는 것이 아니냐고 되묻는 듯하다.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animalpeople/companion_animal/814453.html?_fr=st3#csidx9b7e16c31673002a781208e41c410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