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살만한 세상] 새벽 지하철에서 20대 남자가 쓰러졌다

심정지로 의식 잃은 20대 살린 역무원 홍은기씨 이야기

입력 2019-12-12 04:05
예상치 못하는 순간에 위기를 만날 때가 있습니다. 지난 5일 인천시 연수구 인천지하철 1호선 원인재역에서 급작스러운 심정지로 쓰러진 김동현(28)씨에게 닥친 일이 그랬습니다.

인천시 연수구 인천지하철 1호선 원인재역. 연합뉴스

역무원인 홍은기(38)씨는 이날 오전 6시30분쯤 역사에서 열차를 기다리던 승객 한명이 쓰러졌다는 한 시민의 제보를 받고 곧바로 현장으로 달려갔습니다. 심정지로 쓰러진 김씨였습니다. 홍씨가 현장에 도착했을 때 김씨는 얼굴이 검게 변한 상태로 아무런 움직임 없이 쓰러져 있었다고 합니다.

 
홍씨는 즉각 심폐소생술을 실시했습니다. 또 119에 전화를 걸어 구급대원과 실시간으로 대화를 주고받으며 김씨의 상태를 확인했습니다. 안타깝게도 환자는 반응이 없었습니다. 이 때부터 홍씨와 119구급대원의 빠른 판단과 호흡이 빛을 발했습니다. 홍씨는 구급대원의 안내를 받아 역사에 배치된 자동심장충격기(AED)를 사용했습니다. 이후 김씨의 맥박이 희미하게 느껴지기 시작했다고 하네요. 때마침 구급대원도 현장에 도착해 김씨를 안전하게 가천대 길병원으로 이송할 수 있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AED 자동화 관리시스템도 제 역할을 톡톡히 했습니다. 이 시스템 덕에 중앙응급의료센터와 인천응급의료지원센터에서는 원인재역의 AED를 누군가가 사용한 사실을 실시간으로 파악했습니다. AED에 저장된 김씨의 심정지 기록은 길병원 의료진에게 전달됐고, 치료에 큰 도움을 줬습니다.

병원에 이송된 뒤 김씨는 뇌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집중치료를 받았고, 중환자실을 거쳐 일반병실로 옮겨졌습니다.

치료를 맡은 양혁준 인천응급지원센터장(길병원 응급의학과 교수)은 “심정지 환자의 골든타임은 5~10분에 불과한데 역무원의 침착한 대처가 한 생명을 살렸다”고 칭찬했습니다.

인천시 연수구 인천지하철 1호선 원인재역에 근무하는 홍은기 역무원. 연합뉴스

갑작스러운 위기 상황에서 침참한 대응으로 한 생명을 구한 역무원 홍씨는 10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손님이 쓰러져 있으니까 당황스러웠지만 다른 생각을 할 겨를이 없었다”며 “생사가 갈린 일이기에 어떻게든 살려야겠다는 생각뿐이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사건 다음날 아들의 상태가 호전돼 일반병실로 옮겼다는 소식을 (김씨의) 아버님으로부터 전해 들었다”며 “일분일초가 매우 급한 상황에서 내린 선택으로 한 생명을 살릴 수 있었다는 생각에 보람도 느꼈다”고 뿌듯해했습니다.

갑작스런 위기를 맞았던 김씨의 이야기는 길병원 관계자로부터 전해들을 수 있었습니다.

김씨는 “눈을 떠보니 병원이었다. 평소 몸 관리를 잘하고 있다고 믿었는데 이번 계기로 생각이 바뀌었다”며 “누군가 나에게 손길을 뻗지 않았다면 과연 어떻게 되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그는 “현장에서 도와주신 시민들, AED를 사용해 구조해 주신 역무원, 뇌손상을 줄이기 위해 애써준 의료진, 그리고 걱정해주신 직장 동료, 선후배들 모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말했다고 합니다.
기사와 무관한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물론 김씨가 살아난 데는 체계화된 의료 시스템의 힘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그 모든 게 준비돼 있었다고 한들 ‘사람’과 ‘선의’가 없었다면 김씨는 과연 살아날 수 있었을까요.

이른 새벽 쓰러진 누군가를 지나치지 않고 역무원을 불러준 무명의 시민과 재빠르게 움직인 역무원 홍씨의 힘이 모여 김씨는 살아났을 겁니다.

그래서 조용히 결심을 해보았습니다. 언젠가 이런 위기 상황을 만난다면 그때는 내가 ‘원인재역의 홍씨’가 돼보겠다고 말입니다.

[아직 살만한 세상]은 점점 각박해지는 세상에 희망과 믿음을 주는 이들의 이야기입니다. 힘들고 지칠 때 아직 살만한 세상을 만들어 가는 ‘아살세’ 사람들의 목소리를 들어보세요. 따뜻한 세상을 꿈꾸는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김영철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