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오스트레일리아/호주 이야기] 쿼카(quokka), 세상에서 제일 행복한 동물
쿼카(quokka)는 오스트레일리아/호주의 퍼스(Perth)에 있는 로트네스트(Rottnest) 섬과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Western Australia) 주의 해변의 몇몇 섬에서만 사는 유대목 동물(marsupial, 캥거루·코알라처럼 육아낭에 새끼를 넣어 가지고 다니는 동물)이다.
놀랍게도 이 조그만 동물은 캥거루와 왈라비(wallaby)와 같은 '큰 발 동물(macropod)' 과(科)이다.
언제나 웃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세상에서 제일 행복한 동물'이라고도 부른다.
쿼카는 인간에게 꽤 친근하게 잘 접근하는 편이다. 관광객들은 쿼카에게 다가가 셀피(selfie, 셀카)를 찍기도 한다.
<수어사이드 스쿼드(Suicide Squad)>의 할리 퀸(Harley Quinn) 역으로 유명한 마고 로비(Margot Robbie)도 쿼카와 찍은 사진을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올리기도 했다.
하지만 쿼카를 만지는 것은 금지되어 있고, 특히 인간이 먹는 음식을 주면 절대 안 된다. 인간이 먹는 음식은 쿼카의 건강에 안 좋으므로 주지도 말고, 쿼카가 먹으려고 해도 빼앗기지 말자.
쿼카를 몰래 밀반입하려고 하거나 심지어 만지기만 해도 300호주달러의 벌금을 물 수 있으니 정말 조심, 또 조심하자.
원래 쿼카는 초식 동물이라 풀이나 잎을 먹는다.
귀엽게도, 먹을 것이 부족할 땐 꼬리에 저장해 둔 지방에서 에너지를 충당한다고 한다.
또한 로트네스트 섬은 담수(fresh water, 민물)이 부족한 곳이라 쿼카들은 나름대로 이에 적응했다. 쿼카는 물을 아주 적게 마시고도 한 달을 버틸 수 있다고 한다.
쿼카는 태어난 지 27일 만에 바로 짝짓기를 할 수 있다. 갓 태어난 쿼카는 털이 없고 분홍 빛인데, 마치 분홍색 젤리 빈처럼 보인다고 한다.
이떄 이미 팔뚝이 꽤 발달한 상태라 잘 발달하지 않은 뒷다리 대신에 팔뚝을 이용해 어미의 주머니(pouch)에 들어가 여섯 달 정도를 보내고 나온다.
사실 쿼카를 처음 본 외부인들은 쿼카를 거대한 쥐(rat)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네덜란드인 모험가 윌렘 드 플라밍(Willem de Vlamingh)은 1969년에 이곳을 보고 '쥐의 보금자리(rats' nest)'를 뜻하는 네덜란드어 'Rattenest'를 따서 이 섬 이름을 'Rotte Nest'라고 지었다.
사실 쿼카는 위에서 말했듯 유대목 동물인데 말이다(그는 쿼카를 '큰 고양이만한 크기의 쥐'라고 기록했다).
로트네스트 섬에는 쿼카가 약 1만 마리, 그리고 노스클리프(Northcliffe) 주변 숲 등지에 아주 적은 수가 산다.
안타깝게도 쿼카는 애완동물로 기를 수 없다.
쿼카는 현재 '취약한(vulnerable)' 수준의 희귀 동물로 지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고양이나 여우가 천적이다), 발톱이 무척 날카로운 데다가 꽤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길들일 수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야행성이다.
안타깝지만 쿼카를 예뻐하는 건 사진 또는 로트네스트 섬에 가서 구경하는 것으로 만족하자.
쿼카처럼 사랑스러운 건 많이 보는 것도 좋지만 오래 보는 것도 중요하니까 말이다.
아래의 사이트에서 기사를 참고해 포스트를 작성했다.
출처: https://eatsleepandread.xyz/141 [먹고, 자고, 읽고]
'환경생태미술동아리 > 환경생태학습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라스틱 산'에 갇힌 한국..정부 칼 뺐다-시사저널2020. 12. 24 (0) | 2020.12.24 |
---|---|
"인간이 미안해" 폐부표 밧줄에 목 매인 英 새끼 물범 버둥버둥-서울2020.12.22 (0) | 2020.12.23 |
플라스틱 쓰레기 탓에 질식·몸 절단..해양동물 피해 조사해보니-서울신문2020.11.23 (0) | 2020.11.24 |
[왜냐면] 기후변화 대응이 아동폭력을 끝낼 수 있다 / 타마라 투트네비츠-한겨례2020-11-18 (0) | 2020.11.19 |
환경일기장 학습자료-소중한 먹거리가 버려진대요 (0) | 2020.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