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플라스틱 쓰레기 탓에 질식·몸 절단..해양동물 피해 조사해보니
송현서 입력 2020.11.23. 16:46
[서울신문 나우뉴스]
지구 전체를 뒤덮은 플라스틱 쓰레기로 인한 해양생물의 피해가 끊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피해 규모를 조사한 연구 결과가 공개돼 그 심각성을 다시 한 번 일깨우고 있다.
해양보존단체인 오세아나(Oceana)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09년부터 2018년까지 9년 동안 플라스틱에 몸이 얽히거나 플라스틱을 삼켜 피해를 본 해양 동물은 40종, 약 1800마리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는 물개와 바다사자, 매너티, 바다거북 등에 포함돼 있으며, 멸종위기 또는 취약한 위기종에 처한 동물도 다수 포함돼 있다.
가장 큰 피해를 보고 있는 동물은 바다거북으로 조사됐다. 보고서에 포함된 동물 중 800마리 이상이 바다거북이었고, 900마리 이상이 해양 포유류에 속한다. 특히 바다거북은 갓 부화한 새끼 바다거북부터 새끼를 낳은 어미에 이르기까지 모든 생애 단계에서 플라스틱 쓰레기의 부정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해양동물에게 상처만 안긴 플라스틱 쓰레기 안에는 새끼 바다거북의 위장을 구멍 낸 미세플라스틱부터 고래가 통째로 삼킨 DVD 케이스, 플라스틱 포장끈과 줄이 달린 풍선까지 매우 다양했다.
전문가들은 동물들이 종종 플라스틱을 먹이로 착각하거나 수영하는 동안 실수로 삼키는 일이 가장 잦은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또 몸 안으로 들어간 플라스틱이 동물의 내장을 찢거나 소화를 방해할 수 있으며, 뱃속에서 소화가 되지 않은 채로 남아있어 먹이 섭취가 어려워질 경우 기아에 의한 죽음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플라스틱 줄에 묶여 익사하거나 신체적 외상 및 절단으로 인한 감염으로 목숨을 잃는 동물의 사례도 수도 없이 보고되고 있다.
더욱 큰 문제는 이번 조사 결과는 매우 보수적인 추정치라는 사실이다. 오세아나 측은 플라스틱 쓰레기의 ‘공격’을 받은 동물의 극히 일부만 보고됐을 뿐, 실제로 피해를 입고 있는 동물의 규모는 훨씬 클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의견이다.
매년 1500만 미터t(1미터t=1000kg)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바다로 흘러들어가고 있으며, 바다로 유입되는 플라스틱 쓰레기의 양에 변화가 없다면 위의 수치는 2040년까지 3배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보고서는 “플라스틱이 바다로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각국 정부와 기업이 모두 조치를 취해야 한다. 특히 일회용 플라스틱 생산을 줄여야할 뿐만 아니라 소비자가 플라스틱을 이용할 수 없도록 해야 한다”면서 “해양 및 해양 생물을 보호해야 하는 관련 기관은 모든 플라스틱 상호 작용 사례에 대한 표준화 된 조사를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
'환경생태미술동아리 > 환경생태학습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이 미안해" 폐부표 밧줄에 목 매인 英 새끼 물범 버둥버둥-서울2020.12.22 (0) | 2020.12.23 |
---|---|
쿼카, 세상에서 제일 행복한 동물 (0) | 2020.12.19 |
[왜냐면] 기후변화 대응이 아동폭력을 끝낼 수 있다 / 타마라 투트네비츠-한겨례2020-11-18 (0) | 2020.11.19 |
환경일기장 학습자료-소중한 먹거리가 버려진대요 (0) | 2020.11.10 |
지속가능한 삶, 예술로 꿈꾸다…제주 '벨롱벨롱나우' 페스티벌 -news1.2020-10-22 (0) | 2020.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