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elfedu.joinsmsn.com/edu_portfolio/image/img04.gif) 창의적 체험활동이란 무엇일까요? 일선교사들은 이것을 줄여 ‘창체’라고도 합니다. 창의적 체험활동이란 2011학년도부터 단계적으로 시행되는 2009 개정교육과정의 창의·인성교육 강화를 위한 교과 이외의 활동으로 국어, 영어, 수학 등 교과 이외의 모든 활동을 통틀어 말하는 것으로 정의합니다.
이런 활동의 기록을 위해 교과부는 학생과 학부모를 위해 온라인 시스템인 ‘창의적 체험활동 종합지원시스템(www.edupot.go.kr)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기록하는 것은 학생 스스로가 작성하고 선생님이 승인, 보완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또한 학부모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창의적 체험활동의 교육과정은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의 4개 영역으로 구성되고, 각 영역별 구체적인 활동 내용은 학생, 학급, 학년, 학교 및 지역사회의 특성에 맞게 학교에서 선택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또 4개 영역 외에 자기소개서와 특기적성, 방과후 활동, 독서활동 등도 함께 기록할 수 있습니다. 중학생을 위한 창체시스템 항목으로는 자신의 좌우명, 가족소개, 장점, 좋아하는 과목이나 존경하는 인물, 그밖에 꿈을 이루기 위한 노력 등을 기재할 수 있는 자기소개서, 학교에서의 자치, 적응, 행사활동 등을 기록할 수 있는 자율활동, 학교 내 동아리 활동내용을 기록한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탐색과 진로체험활동을 기록하는 진로활동 등이 있고, 이외에 방과후활동과 독서활동이 있다. 독서활동은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www.reading.go.kr)과 연동해 작성할 수 있습니다.
고등학생 역시 중학생과 같은 항목들로 이루어졌는데, 자기소개서 영역이 대학진학용과 취업용, 교육용으로 세분화된 점, 진로활동 영역이 진로상담과 진로탐색 및 체험, 자격증 및 인증취득 내용으로 세분화된 점은 다릅니다.
창의적체험학습활동은 학생 스스로가 자신의 활동상황을 기록하고 관리해야 하는 만큼 교육현장에서 학생과 학부모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하지만 입학사정관제 전형이 정착되기 위한 요소로서 자신이 어떻게 노력하고 준비해왔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것이도 합니다.
| ![](http://selfedu.joinsmsn.com/edu_portfolio/image/img05.gif)
| 창의적체험활동은 지나친 교과 지식 위주의 학교 교육활동에서 벗어나 창의성과 폭넓은 인성교육을 강화하는 다양한 체험중심의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기능을 골고루 갖추도록 하는 교육과정으로 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교육과정의 재량활동 중 창의적 재량활동과 특별활동을 통합한 교과외 활동이며,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개개인의 소질과 잠재력을 계발․신장하고, 자율적인 생활 자세와 타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나눔과 배려를 실천함으로써, 세계 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공동체 의식과 다양하고 수준 높은 자질 함양을 지향하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으며 그영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영역 | 성격 | 세부활동 내용 | 자율활동 | 학급이나 학교 구성원의 자발적이고 자율적인 참여를 중시하는 활동 | 적응활동 | 입학, 진급, 전학, 기본생활습관 형성, 축하, 친목, 사제동행, 학습, 건강, 성격, 교우 등의 상담활동 등 | 자치활동 | 학급회, 학생회 협의활동, 모의 의회, 토론회 등 | 행사활동 | 시업식, 입학식, 졸업식, 종업식, 전시회, 발표회, 학예회, 경연대회, 학생건강체력평가, 체육대회, 수련활동, 현장학습, 수학여행, 문화답사, 국토순례등 | 창의적 특색활동 | 학생·학급·학년·학교·지역특색활동, 학교전통수립·계승활동 등 | 동아리 활동 | 학생들의 공통의 관심사와 동일한 취미, 특기, 재능, 취미 등을 지닌 학생들이 함께 모여서 자발적인 참여와 운영으로 자신들의 능력을 창의적으로 표출해 내는 것을 주 활동으로 하는 집단 활동 | 학술활동 | 외국어회화, 과학탐구, 사회조사, 컴퓨터, 인터넷, 신문활용, 발명, 다문화탐구 | 문화예술 활동 | 문예, 창작, 회화, 조각, 서예, 전통예술, 현대예술, 성악, 기악, 뮤지컬, 오페라, 연극, 영화, 방송 등 | 스포츠활동 | 구기, 육상, 수영, 체조, 배드민턴, 인라인스케이트, 하이킹, 야영, 민속놀이, 씨름, 태권도, 택견, 무술 | 실습노작 활동 | 요리, 수예, 꽃꽂이, 조경, 사육, 재배, 설계, 목공, 로봇제작 등 | 청소년 단체활동 | 스카우트연맹, 걸스카우트연맹, 청소년연맹, 청소년 적십자, 우주소년단, 해양소년단 등 | 봉사활동 | 어떤 대가를 목적으로 하는 활동이 아니라, 자발적인 의도 에서 개인이나 단체로 다른 사람을 돕거나 사회에 기여하는 무보수의 지속적인 활동으로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인식뿐만 아니라, 더불어 사는 사회의 이해, 협동의식의 고취 등 다양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활동 | 교내봉사 활동 | 학습부진 친구, 장애인, 병약자, 다문화가정 학생 돕기 등 | 지역사회 봉사활동 | 복지시설, 공공시설, 병원, 농ㆍ어촌 등에서의 일손 돕기, 불우이웃돕기,고아원, 양로원, 병원, 군부대에서의 위문 활동, 재해 구호, 국제 협력과 난민 구호 등 | 자연환경 보호활동 | 깨끗한 환경 만들기, 자연 보호, 식목 활동, 저탄소 생활 습관화, 공공시설물, 문화재 보호 등 | 캠페인 활동 | 공공질서, 교통안전, 학교 주변 정화, 환경 보전, 헌혈, 각종 편견극복 등 | 진로활동 | 개인이 자신의 진로를 계획하고 그 진로에 대한 준비를 하며, 적절한 시기에 진로를 선택하고, 선택한 진로 에 대해 잘 적응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활동 | 자기이해활동 | 자기 이해 및 심성 계발, 자기 정체성 탐구, 가치관 확립 활동, 각종 진로 검사 등 | 진로정보 탐색활동 | 학업 정보 탐색, 입시정보 탐색, 학교 정보탐색, 학교 방문, 직업 정보 탐색, 자격 및 면허 제도 탐색, 직장 방문, 직업 훈련, 취업 등 | 진로계획 활동 | 학업 및 직업에 대한 진로 설계, 진로 지도 및 상담 활동 등 | 진로체험 활동 | 학업 및 직업 세계의 이해, 직업 체험 활동 등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