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수시대비…비교과영역 꼼꼼히 확인해야 | |
박권우 교사의 수시상담실 | |
![]() | |
Q 현재 3학년 학생입니다. 지난주에 1학기 중간고사를 치렀습니다. 1~3학년까지 내신 성적이 1등급 초반 정도 나올 것 같습니다. 물론, 비교과도 어느 정도는 준비해 왔습니다. 하지만 수능 성적은 상대적으로 약하다고 생각합니다. 남은 기간 수시모집에 어떻게 전략적으로 준비해야 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A 수시모집에서 내신성적은 1학년 1학기부터 3학년 1학기까지 반영되기 때문에 내신 비중이 정시보다 매우 크다. 또한 졸업생은 3학년 2학기까지 반영되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정시모집은 내신이 3학년 2학기까지 반영되지만 수시보다 영향력이 매우 작다. 여기서는 내신성적이 1등급 수준인 상위권 학생의 수시모집에서 지원 전략을 살펴보기로 한다. 첫째, 서울대 지역균형선발전형과 특기자전형에 지원할 수 있다. 입학사정관전형으로 선발하는 지역균형선발전형은 전형 방식이 전년도의 1단계 학생부100%, 2단계 서류 및 면접100%에서 서류 및 면접200%로 전형 방식이 변경되었다. 또한 고교별 추천인원도 전년도에 3명에서 올해 2명으로 줄었기 때문에 고교에서 인문계와 자연계 각 1등이 지원할 가능성이 높다. 수능 최저학력기준은 2개 영역 2등급 이내이다. 서울대 특기자전형은 전형방식이 1단계 서류100%로 1.5~3배수 선발, 2단계 서류 및 면접100%이며, 수능 최저학력기준은 인문계는 2개 영역 2등급 이내이고, 자연계는 미적용이다. 둘째, 연세대 진리자유형은 전형 방식이 1단계 학생부(교과)100%로 3배수 선발, 2단계 서류100%, 3단계 서류70%+면접30%로 최종 합격자를 선발한다. 전년도와 비교해 올해 면접 비중이 30%로 증가한 점에 주의해야 한다. 또한, 1단계 학생부 교과100%는 내신성적 산출지표를 석차등급을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원점수, 평균, 표준편차에 의한 석차백분율을 활용하므로 고교마다 성적이 다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수능 최저학력기준은 인문계는 3개 영역 2등급 이내, 자연계는 수리‘가’ 또는 과탐을 한 개 포함한 2개 영역 2등급이내이다. 성균관대 수시1차 학교생활우수자전형은 학생부(교과)70%+사정관평가30%이며, 수능 최저학력기준은 인문계는 언어, 수리, 외국어영역 등급의 합이 6 이내, 자연계는 4개 영역 중 3개 영역 등급의 합이 6 이내이다. 전년도의 경우 인문계는 석차등급 1.2~1.5등급, 자연계는 석차등급 1.4~1.8등급 수준에서 합격선이 형성됐다. 서강대 수시1차 학교생활우수자전형은 1단계는 학생부(교과)75%+서류25%, 2단계는 1단계80%+구술면접20%이며, 수능 최저학력기준은 없지만, 지원 자격은 반영교과(인문: 국영수사, 자연: 국영수과) 평균 2.0등급 이내이다. 이러한 전형들은 입학사정관전형으로 실시되면서 지원학부와 관련된 고교 3년 동안의 활동 내용을 중점적으로 평가하므로 남은 기간에 학생부 비교과영역 중에 빠진 내용이 없는지 확인하고 자기소개서 및 기타 서류 준비에도 만전을 기해야 한다. 위 전형들은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2~4개 영역 2등급 이내이므로 수능 준비도 소홀히 하면 안 된다. |
'논술 > 입시.입학사정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여대·성균관대·성신여대-서울2011-06-14 (0) | 2011.06.13 |
---|---|
2011 아시아 대학평가] 성균관대·경희대·중앙대 `약진-조선2011.05.23 (0) | 2011.05.23 |
올 수시전형 무엇이 달라지나-서울2011.5.9 (0) | 2011.05.09 |
서울대가 밝힌 입학사정관제 5대 합격 비결… ‘스펙’보다 ‘학업’-동아2011.5.8 (0) | 2011.05.09 |
서울대 입학사정관제 유리한 합격 비결은-서울2011.5.9 (0) | 2011.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