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진로적성 탐색 기본형은 크게 두 갈래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미래 탐구와 직업 탐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진로적성을 탐색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자신이 진학하려는 학과에 관련된 여러 분야를 두루 살피는 것이다.

첫 번째 갈래는 이미 알아봤으니, 이제 두 번째 갈래를 알아보자. 두 번째 갈래는 자신이 진학하려는 학과에 관련된 여러 분야를 미리 탐색해 보는 활동이다.
만약 경제학과 진학을 희망한다면 경제학에 연계된 여러 분야를 두루 알아보는 활동을 해야 한다. 예컨대 희소성·시장·국제 거래·물가·실업·경제성장·경제발전 등 경제학의 영역에 속하는 여러 요소를 스크랩해 정리하면 된다. 이는 자신의 진로적성이 경제학에 있는지 마지막으로 확인하는 작업이다. 경제학의 여러 영역을 정리하는 과정에 몰입하고 있다면, 그 부분에 확실히 진로적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탐색하는 과정에 뭔가 답답함을 느끼고, 몰입하지 못한다면 그 분야에 진로적성이 떨어진다는 의미다.
진로적성은 막연히 파악할 게 아니다. 꼼꼼하게 살펴 확신성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경제학과에 진학하려면 경제학의 여러 영역을 살핀 뒤에 자신의 흥미가 그 분야에 계속 쏠리고 사그라지지 않는다면 경제학과에 진학해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희망학과에 관련된 여러 영역을 탐색하라
희망하는 학과에 관련된 여러 영역을 탐색하는 것은 두 가지 활동으로 실천할 수 있다. 하나는 자신이 진학하려는 학과와 연계된 여러 분야를 사전에 탐색하는 활동을 해보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희망학과에 진학한 뒤에 어떤 분야 연구에 주력해 사회에 진출할 것인지 미리 알아보는 활동을 해보는 것이다. 두 가지 활동 모두 대학의 학과 선택은 물론 희망학과 진학 이후의 진로설계와 밀접하게 연계돼 있다.

다음에 나오는 고등학교 경제 교과서의 주요 영역을 보면 그 실제를 확인할 수 있다.


두 번째 활동은 대학 진학 뒤에 집중 탐구할 부분을 미리 알아보고 진로 계획을 미리 수립해보는 것이다. 갈수록 어려워지는 취업 환경을 고려할 때 대학 진학 못지않게 중요한 게 졸업 이후에 어떤 분야로 진출하느냐 하는 것이다.
자신의 원하는 일자리를 찾은 사람들에게는 공통점이 있다. 자신의 관심 분야를 알아내 그 분야를 집중 연구해 전문가의 식견을 갖췄다는 점이다. 그러려면 자신이 빠져들 수 있는 한 분야를 선택해 주력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사회에서 인정받는 인재가 될 수 있다. 희망학과를 결정한 뒤에 그 분야의 구체적 영역을 탐색하는 활동은 빠를수록 좋은 법이다.
다음 신문 기사를 읽고 사례를 통해 생각해 보자.

이렇게 희망학과에 진학한 뒤에 자신의 주력 관심 분야가 무엇인지 살피면 어려운 상황이지만 일자리를 거뜬히 찾을 수 있다.
희망학과 탐색 활동은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올해부터 여러 대학 들이 공통안으로 마련한 ‘대학입학을 위한 자기소개서 형식’을 보면 금방 이해할 수 있다.

< 권영부 서울 동북고교사·NIE한국위원회 부위원장 / info@ahaeconomy.com > 2010-08-08 17:47
'논술 > 중등논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트폴리오 구성 전략<15>직업 세계 탐구로 진로적성을 파악하라-아하경제 (0) | 2010.08.21 |
---|---|
포트폴리오 구성 전략(16)직업 신문 만들기로 진로적성을 탐색하라-아하경제 (0) | 2010.08.21 |
포트폴리오 구성 전략(18) 진로적성 탐색 변화형을 시도해 보자 -아하경제 (0) | 2010.08.21 |
입학사정관제 대비 NIE 포트폴리오 구성 전략(8)-아하경제2010-06-06 (0) | 2010.08.13 |
입학사정관제 대비 NIE 포트폴리오 구성 전략(9)-아하경제2010-06-13 (0) | 2010.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