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seen

김은영展 / KIMEUNYOUNG / 金銀榮 / photography

2009_0902 ▶ 2009_0908



김은영_Unseen_Metallic Print_각 50×75cm_2008




초대일시_2009_0902_수요일_06:00pm

관람시간 / 10:00am~07:00pm / 공휴일_11:00am~07:00pm / 마지막 화요일_10:00am~12:00pm




갤러리 룩스_GALLERY LUX
서울 종로구 관훈동 185번지 인덕빌딩 3층
Tel. +82.2.720.8488
www.gallerylux.net






김은영의 Unseen : Details of Black ● 김은영은 무한한 깊이가 지닌 최소한의 두께를 다룬다. 이것이 그녀의 관심사가 사진의 평면성에 국한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것은 사진의 검은색에 대한 것이다. 김은영의 사진은 그것의 표면을 뒤덮고 있는 어둠을 중심으로 구축된다. 검은색은 사진의 건축학적인 토대를 이룬다. 그것은 투명하고 무한하며 반복적인 레이어들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그것의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진 위로 떠오른 대상이 어떤 전체의 일부인지를 알아내야만 한다. 사진의 검은색은 미로의 시작이자 수많은 출구들이다. 동시에 그것은 두려움과 길 잃음, 침잠, 끝없는 위협의 영역을 기술하고 있다. 김은영의 사진들 속에서 우리는 이 짙은 어둠으로부터 분리되는 대상들을 본다. 그것들은 대부분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일상의 형태들로부터 비롯된 것들이지만, 때로는 이해할 수 없을 만큼 강렬한 빛의 면들을 만들면서 이 구조의 내적 운동을 보여준다. 지난 2001년의 전시『러브모텔』에서 김은영은 검은색 배경 위에 압착된 사물들의 형해(形骸)를 보여주었다. 그 이미지들은 마치 현미경으로 바라본 어둠의 세부를 반투명의 재질들을 통해 포착해낸 것처럼 빛나고 있었다.『러브모텔』의 사물들은 고립된 우주 속에서 떠있는 익명의 존재들이다. 이번 전시『Unseen』에서 표출되는 검은 색의 세부는 두 가지 측면에서 이 존재들의 특성을 이어받고 있다.




김은영_Surface #01_Metallic Print_100×150cm_2009


첫 번째는 사진의 검은 톤에 대한 해석이다. 김은영의 최근 작품들에서 검은색은 좀 더 구체적인 관념으로 떠오른다. 그것은 마치 거대한 바다, 혹은 차원을 헤아릴 수 없는 반-물질적 공간처럼 그것은 심연이자 표면처럼 보인다. 두 번째는, 대상에 대한 기술(description)의 방식이다. 어둠을 묘사하기 위해 버려진 콘돔의 질감을 극도로 세밀하게 다루었던 이전의 작업에서처럼, 이번에도 작가는 「Surface」연작에서 이미 말라버린 꽃들이 반사하는 빛을 집요하게 기록하고 있다. 역광에 가까운 제한된 조명 아래에서 한 때 찬란했던 생명의 흔적들은 마치 포말(泡沫)처럼 빛난다. 주목할 것은, 여기서도 역시 기술의 대상은 꽃이 아니라 어둠이라는 사실이다. 꽃은 다른 어떤 것의 세부라고 말할 수 있다. 그것은 어둠에 의해, 검은색에 의해, 삶의 대척면에 의해 포획된 것의 타오르는 불꽃이다. 사진이 지니는 근원적 우수(憂愁)는 그것이 항상 존재했던 어떤 것의 잔해라는 사실에서 비롯한다. 우리는 사진의 세부를 바라보고, 그것으로부터 시간을 거꾸로 작동시키고, 이미 사라져버린 혹은 사라지고 있는 것들을 불러낸다. 김은영이 기록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사진의 세부들, 즉 사라져 버린 것들이 검은색을 통해 남겨놓는 기억의 특정한 대체물들이다. 즉 부재(不在)의 너무나도 뚜렷한 자취들인 것이다. 3부작 사진「Unseen」은 어떤 불합리한 사건을 다루고 있다. 얼핏 보아 외부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 나부끼는 블라인드를 시간적으로 기록한 세 장의 사진처럼 보이는 이 작품은 곧 창문이 닫혀 있다는 사실로 인해 도저히 불가능할 것 같은 이미지로 뒤바뀐다. 가운데의 사진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던 것일까? 사진의 검은색은 우리의 시각을 가릴 뿐 아니라 사건의 지평을 만들어낸다. 지평은 그 너머의 것들을 우리의 시각에서 멀어지게 하지만, 동시에 그만한 에너지를 지평 위로 분출한다. 김은영의 사진에서 이렇듯 분출된 세부들은 짧은 순간 동안 강렬하게 타오르는 현실의 명멸처럼 드러난다. 마치 어두움 속을 부유하는 작은 반딧불들처럼 그것들의 시간은 감동적이며 압축되어 있다. 연작「Ground」는 짙은 검은색의 액체가 일으키는 바닥으로의 하강을 보여주고 있다.




김은영_Untitled #01_Metallic Print_각 30×30cm_2008


아랫쪽의 선명한 붉은 빛이 일으키는 회오리와 동요는 깊이를 알 수 없는 블랙홀의 입구로부터 마지막 생의 광휘을 내뿜고 있는 천체의 찬란함을 연상시킨다. 이미지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검은 톤의 압도적인 무게는 바닥에 있는 붉은 공간의 빛을 더욱 아름답고 절박한 순간의 결정으로 만들고 있다. 그것은 무너지고 있는 것의 아래 쪽에서 곧 소멸해버릴 어떤 장면을 떠올린다. 다음 순간 검은 액체의 붕괴로 인해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릴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사진 속에는 현재를 채우고 있는 투명함과 관능에 대한, 그것이 영원히 지속할 것 같은 공감이 결정화되어 있다. 그것은 빛이 아니라 기억의 감각 같은 것이리라. 김은영이 사진의 검은 톤에 천착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다양한 설명이 가능할 것이다. 그것은 삶의 지난함, 고독, 죽음의 흔적들에 대한 기억으로부터 비롯된 것일 수도 있고 반대로 검은색이 지니고 있는 특별한 매혹이 야기한 것일 수도 있다. 5부작 「Untitled」에서 작가는 자신의 눈동자를 마치 달의 기울고 차는 모습처럼 보여주고 있다.




김은영_Surface #03_Metallic Print_100×150cm_2009


홍채의 무늬와 동공의 짙은 검은색으로 인해 이 붉은 눈동자들은 마치 화성의 표면에 나있는 깊은 분화구나 블랙홀처럼 보인다. 다르게 보면, 그것은 어둠 속으로 들어가는 입구들처럼 보이기도 한다. 단적으로 클로즈업된 이 묵시적인 눈동자들이 바라보고 있는 것은 무엇일까? 왜 작가는 그것에서 순환의 연속성을 발견하는 것일까? 그에 대한 대답은, 사진의 검은색이 만들어내는 수많은 서사들과 마찬가지로 끝없이 순환하는 대답들로 주어질 것이다. 김은영의 어둠은, 존재와 마찬가지로, 테마일 뿐 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 사진들은 거대하면서도 극히 사적인 이러한 테마를 불러내는 고통스런 여정에서 김은영이 포획해서 돌아온 것들이다. 사진가가 어둠 속으로 들어가서 무엇을 보았는지, 이 작품들은 그것에 대한 기록이다. ■ 유진상




김은영_Ground #01_Metallic Print_50×100cm_2009


이 시리즈는 존재와 내면에 대한 관조이자 탐구로서 시간과 공간의 경계가 모호하며 부조리하다. 나는 내면의 저편, 어딘가 깊은 곳에 존재하는 미지의 공간과 적막과 암흑을 바라본다. ‘나’이면서 철저한 ‘타자’, ‘기억’이면서 동시에 ‘망각’, ‘순환’이면서 명백한 ‘소멸’. ‘소통’이면서 또한 ‘소통불가’한 나의 순간들을 잠시 펼쳐 놓는다. 그리고 그 속에 스며있는 다양한 층위의 침묵과 단절을 공유하고자 한다. 이번 전시『Unseen』을 통해 발표되는 작업은 이 시리즈의 일부이다. ■ 김은영

Vol.090906h | 김은영展 / KIMEUNYOUNG / 金銀榮 / photograp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