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프로젝트Ⅱ-25개의 한강다리

이득영展 / LEEDUEGYOUNG / 李得榮 / photography.video

2008_0222 ▶ 2008_0313



이득영_비행경로와 다리촬영좌표

● 위 이미지를 클릭하면 갤러리 쿤스트독 홈페이지로 갑니다.




초대일시_2008_0222_금요일_06:00pm

작가와의 대화_2008_0301_토요일_05:00pm

후원_서울문화재단 젊은예술가 지원사업_쿤스트독_한국 엡손_포토넷





갤러리 쿤스트독_KUNSTDOC
서울 종로구 창성동 122-9번지
Tel. +82.2.722.8897
www.kunstdoc.com






『한강프로젝트Ⅱ』에 설치될 사진들은 작가가 헬리콥터를 타고 구글과 네비게이션을 활용하여 한강 상공을 돌면서 찍은 작품들이다. 이 전시는 크게 세 가지의 의미를 갖는다. ● 첫째, 작가의 작업 활동의 양상이다. 작가는 작업 결과물을 성취하기 위하여 서울시, 공무원, 군부대 등등의 협상을 하였다. 이 프로젝트에서 작가의 활동은 단순히 작품을 생산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작업 결과물을 얻어내기 위한 ‘행정적인 부분’에 관여하였다. ● 둘째, 촬영시점의 변화다. 사진 촬영이 일반적인 지면에서 출발하는 것이 아니라 상공 1km에서 수직으로 지면을 향한다. 이러한 촬영시점의 변화는 동시에 관객의 감상과 사유행위를 변화시킨다. ● 마지막으로, 이 프로젝트는 도시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보통 미술이 도시에 관여할 때 공공미술형식으로 참여한다. 소위 한국에서 공공미술이라고 할 때 이벤트나 기념물을 생각하기 마련인데 이 전시는 전시의 전문성을 그대로 살리면서 공공성을 확보하고 있다. ■ 쿤스트독




이득영_N37 32.070 E127 06.209_47° true_올림픽대교_120×80cm_2007


한강다리의 상판은 카메라의 셔터소리에 미세하게 떨린다 ● 서울에 강남과 강북의 격차가 생기기 시작한 것은 한강에 다리가 많이 생겨나면서부터이다. 그러니까 한강 인도교(지금의 한강 대교)나 제3한강교(지금의 양화대교)가 있던 1970년대까지만 해도 강남과 강북의 격차는 크지 않았으며, 강남이라는 것이 특정한 지리적 기표도 아니었다. 강남이 강남이 된 것은 동호대교와 성수대교가 놓이고 나서의 일이니, 도대체 어떻게 해서 연결의 역할을 해야 할 다리가 단절의 역할을 하게 된 건지는 다리를 설계하고 시공한 사람도 모르지 않을까 싶다. 그는 강북사람과 강남사람들이 자유로이 왕래할 수 있도록 다리를 놓은 거지 양쪽이 서로 다른 나라가 되라고 다리를 놓은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연결의 기능을 갖는 것들은―문이든 필터이든 회로부품이든 메신저이든 철도차량의 연결기이든―동시에 단절을 의미하기도 한다는 것은 모든 연결장치의 숙명이기는 하다. 연결의 장치들은 연결과 단절이라는 변증법 속에서 작동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연결을 사이에 두고 연결을 통하게 하려고, 연결을 뺏으려고, 연결을 막으려고 울고 웃고 싸운다.




이득영_N37 31.748 E127 03.375_341° true_성수대교_120×80cm_2007


그런 점에서 한강의 다리들도 매우 특별한 이야기들을 품고 있다. 내가 초등학교 시절에 상상력을 사로잡은 일본만화 『요괴인간』의 에피소드 중에 '죽음의 문'이라는 것이 있었는데, 그 문 저쪽은 죽음의 세계다. 그런데 죽음의 문은 특별한 장소에 있는 것이 아니라 시가지 한가운데 있다. 누구든지 그 문을 통과하면 죽음의 세계로 들어가는 것이다. 문제는 아이의 엄마가 문 저쪽에서 아이를 부른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종로2가에서 3가로 가면 바로 죽음의 세계이기 때문에 아이는 죽음의 유혹에 쉽게 빠져들 수 있는 것이다. 아이가 죽음의 문을 넘어가는 것을 막으려고 벰, 베라, 베로가 힘을 합쳐 싸운다는 것이 만화의 내용이다. ● 지금의 성수대교와 동호대교가 바로 죽음의 문이다. 요 두 다리를 건너면 와인값도, 물담배 값도 두 배로 뛰니 말이다. 요 다리 남쪽에서는 페라리에서부터 벤틀리까지, 세계의 희귀한 차들을 길에서 볼 수 있는데 이 차들은 절대로 강을 건너서 북쪽으로 오지 않는다. 그 이유는 모르겠는데 강북은 노면이 하도 안 좋아서 벤틀리의 바퀴가 닿는 순간 터져버리는 모양이다. 아니면 강북의 건물들은 하도 칙칙해서 페라리의 새빨간 색도 칙칙한 물이 들을까봐 그러는건지. 400마력의 V12기통 엔진을 단 이 차들이 돌아다니는 범위는 논현동, 신사동, 청담동 정도이다. 답십리나 갈현동 같이 생활형 인간들이 사는 강북 동네는 절대로 안 간다. 그러니까, 한국에서 벤틀리나 페라리는 자동차가 아니라 강남적 현상인 것이다. 즉 강남이라는 경제적, 역사적, 지리적 현상이지 엔진과 트렌스미션과 브레이크가 달린 자동차가 아니라는 것이다. 다시 바꿔 말하면, 강남을 이루는 수 많은 기호들 중의 하나라는 것이다. 청담동에 가면 루이 뷔통샵이 청담동의 독특한 기표를 이루고 있듯이 말이다. 한강다리가 하는 역할은 그 차들이 지저분하고 좁고 못 사는 강북에 오지 못하도록 막는 것이다. 연결이 아니라 차단인데, 가뜩이나 막히는 교통은 아주 자연스레 차단의 명분을 주고 있다.




이득영_N37 30.656 E126 58.910_350° true_동작대교_120×80cm_2007


그런데 그 다리들이 힘을 합쳐서 하나의 통일체가 되어 그렇게 하는 것은 아니다. 다리는 연결의 역할을 하지만 다리들끼리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물론 다리들은 강변북로와 올림픽대로로 연결돼 있기는 하지만 그 연결은 혼잡시간에는 가능성이 아주 희박해지고 시간도 많이 걸리다가, 한가해지면 쉬워지기도 하는, 매우 유동적이고 단절적인 연결이다. 즉 아무 때나 쓸 수 있도록 확보되어 있는 연결이 아닌 것이다. 실제로 많은 운전자들이 끊임없이 교통방송에 귀를 기울이면서 어느 다리를 가고 어느 다리를 포기할 것이냐를 고민한다. 다리들은 제각각이다. 불연속적 연결이라는 점에서만이 아니라 강 양안의 맥락도 그렇고, 다리의 설계사상도 그렇고, 각각의 역사도 그렇고 다 제각각이다. 즉 다리들은 통일체가 아닌 것이다. 누군가 『한강의 다리들』이라는 책을 쓰려면 그는 완전히 분절된 다리들에 대해 써야지, 다리들에 어떤 통일된 원리들이 있는 듯이 써서는 안 될 것이다. 물론 다리의 구조가 다름은 말할 것도 없다. 서강대교와 올림픽대교는 사장교이며, 청담대교는 유일하게 위,아래층에 전철과 자동차가 따로 다니도록 기능적으로 분리된 복층구조로 되어있다. 한강대교는 성수대교가 가지고 있는 그런 단절의 기능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용산에서 한강대교 건너서 흑석동 갔다고 해서 세상이 확 바뀌지는 않기 때문이다. 성수동에서 청담동으로 건너갔을 때만큼 말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성수대교는 붕괴의 아픔을 품고 있다. 성수대교를 그 옆의 영동대교와 가까이서 비교해 본 사람이라면, 붕괴의 트라우마가 이렇게도 강렬하게 물리적 구조에 남을 수 있다는 것에 놀라게 된다. 젓가락 같이 가느다란 영동대교에 비하면 성수대교는 상판이나 교각이나, 콘크리트 구조나 철골구조나 엄청나게 비대하게 만들어져 있는데, 이는 붕괴의 트라우마때문에 필요강도를 훨씬 초과하도록 만들어져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영동대교도 일단 붕괴가 되어야 보강이 될까?




이득영_N37 31.176 E126 57.149_334° true_한강철교_120×80cm_2007


이런 모든 복잡한 사정들이 가뜩이나 무거운 다리의 상판에다 너무 무거운 내러티브와 역사와 가치와 증오를 부여해 왔다. 어떤 때는 유리창을 깨끗이 닦고 세상을 보고 싶듯이, 사물에서 내러티브나 가치판단이나 이념들은 판단중지의 괄호 속에 넣어두고 맑은 눈으로 대상을 보고 싶어질 때가 있다. 그래서 이득영이 택한 방법은 객관적인 사진으로서의 항공촬영이다. 그의 작업은 사진을 객관적으로 찍는다는 것이 얼마나 물리적으로 힘든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객관성을 둘러싼 담론적이고 이념적인 논란은 차치하고서라도 말이다. 흔히 평론가들이 사진전시 서문 쓸 때 "사진은 단순히 사물의 외관을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라고 시작하는 것을 많이 볼 수 있는데, 그 사람들이 도대체 카메라를 들고 사물의 외관을 있는 그대로 묘사하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 알기나 하는지 모르겠다. 사물의 아주 단순한 외양을 말이다. 객관적인 사진을 위해 데카르트 이후의 선원근법의 철학과 디드로의 사물의 체계에서부터, 오늘날 피터 갤리슨의 과학적 객관성에 대한 논의까지 숫한 담론적 준비가 필요했었다. 객관성은 거저 주어진 선물이 아니라 수많은 오류와 편견을 극복하고 얻어낸 고지이다. 피터 갤리슨은 말한다. "객관성이란 말을 두고 많은 다툼이 있었다. 어제는 이념이었다가 오늘은 편견이 되기도 하고, 매일매일 그 정의가 바뀐다"고. 이득영도 자신의 한강다리 사진을 객관적으로 찍어내기 위해 바로 이런 역사적 과정을 응축하여 스스로 겪어야 했다. ● 그는 헬리콥터를 이용하여 다리들을 찍었는데, 헬리콥터가 제공할 것이라고 기대하던 전지적인 시점은 쉽게 객관적인 시선을 제공해주는 것은 아니었다. 한 시간에 사용료가 백팔십만원이나 하는 헬리콥터를 세내기 위하여 그는 기금을 신청하여 받았으며, 다리의 형태를 왜곡없이 찍기 위하여 몇 번의 시행착오 끝에 적절한 초점거리와 피사체간 거리를 구할 수 있었다. 추운 겨울에 헬리콥터의 문짝을 떼어 내고 언 손을 녹여가며 찍었다는 얘기는 좀 신파조 같이 들리지만 원래 항공이란 산뜻하고 날렵하고 초월적인 외양과는 달리 대단히 위험하고 힘들고 지저분한 일이라는 것만 말해두자. 헬리콥터에서 사진 찍는다는 것이 자동으로 주어진 인스턴트식의 시선이 아님을 말하기 위해서이다. 사진은 형태의 왜곡이 없도록 다리의 바로 위에서 직각으로 찍었으며, 그를 위해 가장 적절한 초점거리의 렌즈를 썼으며, 사진 찍은 위치는 GPS를 이용하여 정확한 좌표값을 얻어 두었다. 이제 한강 다리는 이득영이 짜 놓은 데이터의 그리드로부터 도망갈 수 없게 된 것이다.




이득영_N37 32.750 E126 54.188_325° true_양화대교_120×80cm_2007


그런데 가장 흥미로운 점은 이런 객관적인 사진을 통하여 한강 다리는 그 가장 풍부한 면을 드러낸다는 점이다. 이득영의 사진과 반대극에 있는 것이 아마추어들이 흔히 찍는 서정적인 한강 다리의 모습일텐데, 밤의 조명을 받아 휘황하게 빛나는 한강다리를 장노출로 잡아 화려한 색채 속에 주관적인 느낌을 극대화한 사진에서는 풍경을 묘사하는 상투적이고 진부한 틀 이외에는 아무 것도 보이지 않는다. 화려한 외관 뒤에는 아주 빈곤한 내용이 숨어 있는 것이다. 그 반대로, 객관적인 이득영의 사진은 한강 다리를 매우 풍부한 대상으로 보여준다. 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 그것은 무엇보다도, 한강 다리라는 대상이 원래부터 풍부하고 복잡한 대상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주관적인 사진은 왜 그런 것을 보지 못할까? 주관적인 사진은 한강 다리의 교량공학적, 도시공학적, 도로공학, 건축적, 수리학적 측면을 보지 못하고 오로지 낭만적인 측면만 보기 때문이다. ● 다리란 위의 여러 가지 공학적 지식의 복합체이며, 그런 한에서 감각적, 지적인 흥미의 대상이다. 특히 교량공학을 빼고 다리의 아름다움을 얘기할 수 없다. 다리는 트러스교의 경우는 장간의 길이, 보와 교각의 형태, 사장교의 경우는 주탑의 형태와 케이블의 길이, 그것이 묶인 형태 등에 의해 아름다움을 띠기 때문이다. 설사 그런 공학적 요인들을 무시하고 다리를 설계해 보았자 물리적으로 버티지 못하므로 소용이 없다. 다리의 아름다움은 선박이나 항공기의 아름다움과 같은 계열에 속한다. 그 아름다움은 구조의 부산물이지만 아름다움을 목표로 만들어진 것들을 능가한다. 그런 아름다움은 사물의 피상적인 외관만 보는 주관적인 시선에는 아예 드러나지 않는다.




이득영_N37 35.319 E126 49.594_328° true_방화대교_120×80cm_2007


다리가 가진 풍부한 구조와 구성의 아름다움은 다리 자체의 구조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다. 다리는 기본적으로 강 양쪽의 땅과 닿아 있는데, 서울의 다리들은 그 양쪽에 참으로 풍부하고 다양한 맥락들을 품고 있고, 그것이 이득영의 사진에 풍부한 내용을 제공해 준다. 한강대교는 땅과 바로 연결되어 있고, 김포대교는 어디부터 다리로 정의해야 할지 알 수 없을 정도로 아주 긴 램프가 땅에서 떠서 연결되어 있고, 성수대교는 극도로 복잡한 램프와 진입로의 형태를 보여준다. 가양대교의 북쪽 끝은 숲이고, 동호대교의 남쪽 끝은 아주 혼잡한 압구정동이다. 영동대교 북단은 아주 조밀한 가내수공업지대를 이루고 있다. 흡사 어류도감을 보며 어떤 종은 비늘이 무지개색을 띠고 있고 어떤 종은 등지느러미가 길며, 어떤 종은 수염이 나 있다는 식으로 각각의 종의 형태의 디테일들을 눈으로 즐기듯이, 이렇게 다양한 개별 다리들의 메트릭스들은 우리에게 시각적이면서 동시에 인지적, 정보적 즐거움을 가져다준다. 대뜸 주관적인 시선을 들이대어 사물을 어설픈 감정으로 치환하는 것이 아니라, 사물이 가진 구조와 힘과 균형과 맥락을 세세히 따라다닐 때 생기는 지적인 즐거움인 것이다. ● 이런 시선은 어떻게 주어지는가? 잘 알다시피, 헬리콥터는 제자리에서 가만히 떠 있는 하버링(hovering: 한국에서 호버링이라 잘못 표기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조종사에게는 쉽지 않은 이 기동은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전장에서 병력을 투입하고 부상자를 후송하거나 북한산에서의 인명구조, 거친 북해에서 난파한 배에서 선원들을 구출하는 일등, 주로 구조와 구출에 많이 쓰이고 있다. 다른 항공기로는 할 수 없고, 헬리콥터만이 할 수 있는 착한 기능이라 할 수 있다. 그것은 마치 하늘에서 뻗어온 신의 구원의 손길 같이, 고립무원의 적지나 산의 절벽, 험한 바다에 빠진 불쌍한 영혼들을 많이 구원했다. 탐색 및 구조(search and rescue)는 헬리콥터뿐 아니라 철학자나 비평가의 태도이기도 하다. 정신없이 변하는 세상의 시간을 살짝 멈추고 아래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찬찬히 살펴 본 (search, research, reresearch...) 후에 구원을 기다리는 의미들을 구출해내는 것이 철학자나 비평가의 일인 것이다. 이득영의 헬리콥터는 하버링 능력을 통해 한강의 다리들을 직상방에서 찬찬히 살펴보고, 개개의 특징들에 대해 생각해 보고, 기록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한강의 다리들은 지도제작자가 본 것보다 더 많은 디테일들을 제공해 준다. 다리의 관상학은 헬리콥터의 하버링에 의해서 가능해진 것이다.




이득영_진출입로_2007


물론 직상방에서 보는 시선은 다른 고정익 항공기나 인공위성에서 찍은 사진에서도 나타나는 것이다. 그런 시선이 가장 대중화된 것이 구글 어스이다. 그러나 그런 시선과 헬리콥터 시선의 가장 큰 차이는 헬리콥터의 시선은 지상과 언제든지 접촉이 가능한, 대지의 육체와 항상 맞닿아 있는 시선이라는 것이다. 즉 헬리콥터의 시선은 육화된 시선(incarnated vision)인 것이다. 별로 언급하고 싶지 않지만, 종종 불행하게도 사고가 잦은 헬리콥터의 특성상 그 시선은 땅에 추락하는 순간 땅과 하나가 되어 지나치게 육화되는 단점이 있지만, 헬리콥터는 작은 땅덩어리만 있으면 언제든지 땅에 앉을 수 있다는 특징 때문에 땅이라는 물리적 실체와 별개가 아니다. 고정익기의 착륙장치는 일정 조건이 갖춰줘야만 (활주로의 길이, 폭, 노면상태, VOR, 로컬라이저, 글라이드 슬로프 인디케이터 등 온갖 전자기기) 작동할 수 있는 아주 까다롭고 귀족적인 기계인 반면, 헬리콥터의 스키드는 일정 면적의 땅만 있으면 그것이 산꼭대기이건 하천고수부지이건 학교 운동장이건 특별한 유도장치 없이 아무데나 내려앉을 수 있는 대단히 잡식성의 기계이다. 그런 헬리콥터의 시선은 구글 어스의 탈육화된 시선과는 아주 다른 종류의 것이다. 인공위성 사진이나 구글 어스의 이미지는 실제의 땅이 아니라 원근법이 사라진, 극도로 추상화된 데이터로서의 땅을 보여준다. 그것은 기계화된 시선이 가질 수 있는 극단의 지점이다. 반면, 헬리콥터의 시선은 내가 어제 운전하고 지나가던 바로 그 마포대교 북단의 혼잡상에 파묻혀 있다. 그리하여, 헬리콥터의 시선에서는 관찰과 성찰은 별개가 아니다. 그것은 언제나 만져 볼 수 있는, 육화된 시선이다. ● 1970년대 여성동아에 「하늘에서 본 내 고향」이라는 기사가 연재되었는데, 그것은 세스나기에서 찍은 지방도시의 사진과, 그 지방 출신의 문인이나 유명인사가 그 지방에 대해 쓴 글로 되어 있었다. 글은 지방도시의 시장, 학교 운동장, 골목, 도청 등 오밀조밀한 1970년대식 구조와, 거기 얽힌 개인적 사연들을 같이 보여주는, 오늘날의 구글 어스의 퍼스널한 차원이었다. 그 사진의 시선은 직상방이 아니라 옆에서 비스듬히 찍은 것이었다. 그리고 글도 사진 속의 지방도시를 바로 사진 속에 나타난 그 즉물적인 형태가 아니라, 약간의 세월이 경과한, 비스듬한 시간 속에서 서술하고 있다. 그 비스듬한 각도가 친밀함을 주는 것이다. 그래서 구글 어스도 비스듬히 보는 각도에서 찍은 사진으로 계속 업데이트를 하고 있는 것 같다. 보편적인 신이 아니라 '내'가 실제로 걸어 다닌 뉴욕의 길거리의 경험을 가져다주기 위해서 말이다. 그러니까 구글 어스는 바로 여성동아의 「하늘에서 본 내 고향」이 되고 싶은 것이다. ● 그것은 항공사진이 띨수 있는 가장 친밀한 차원이었는데, 이득영의 헬리콥터 시선은 직상방에서 찍은 것이기 때문에 그 정도로 친밀하지는 않다. 다만, 한강에서 자전거도 타고 사진도 찍으러 다니는 등 수시로 한강의 모든 디테일을 이용하며 즐기는 나 같은 사람에게는 그의 사진은 대단히 친밀한 것으로 다가온다. 그러면서도 객관적인 시선이라는 점에 그의 사진의 특징이 있다.




이득영_Seoul_2007


그러나, 헬리콥터의 하버링은 구조와 구출과는 상반되는 또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다. 베트남전 때부터 미군은 헬리콥터에 무장을 강화한 건쉽(gunship)이란 것을 개발하기 시작하는데, 그 궁극의 형태는 헬파이어 대전차 미사일과, 조종사의 헬멧과 연동되어 고개만 돌리면 포신이 조준되는 30밀리 기관포, 각종의 야간, 악천후 탐색, 항법장치로 무장한 오늘날의 AH64 아파치 롱보우이다. 구원이 곧바로 파멸을 의미하는 극단적인 변증법이 기계의 운명이기는 하지만, 헬리콥터의 경우는 정말 극단적이다. 아파치 롱보우의 하버링이 어떤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는 유튜브(You Tube)에서 apache라고 쳐보면 금새 알 수 있다. 하늘에 가만히 떠서 이라크 저항세력을 사냥하듯이 하나씩 기관포로 분쇄해버리는 아파치의 영상은 헬리콥터의 하버링이 가지는 구원능력이 하나를 구하기 위해 또 다른 하나를 없애버려야 하는 제로섬 게임에 닿아 있음을 보여준다. 그 영상에서 가장 무서운 면은 저항세력은 이쪽의 존재를 전혀 알지 못한 채 당한다는 점이다. ● 물론 헬리콥터라고 다 같은 헬리콥터가 아니다. 구원의 헬리콥터와 파괴의 헬리콥터는 설계사상도, 기능도, 소속도, 값도, 심지어 몸체에 색을 칠하는 원리도 다르다. 하지만 웃고 즐길 때가 아니다. 이득영의 헬리콥터 시선은 왠지 섬뜩한 뒷맛을 감추고 있다. 하늘로부터의 시선이 가지는 관음증적인 섬뜩함 말이다. 객관적인 시선의 끝에 무엇이 있을까? 거기에는 인간을 구원하는 과학과 기술도 있지만 무서운 파괴의 기술도 숨어 있다. 아마도 인간이 만든 영상 중 가장 객관적이고 차가운 것은 걸프전 때 레이저 유도폭탄에 달린 카메라가 보내온 모습일 것이다. 그 영상은 조준용 십자선 중간에 딱 놓여 있는, 극도로 객관적인 다리의 이미지를 보여주고, 영상은 점점 다리에 줌인하며, 그 직후에 유도폭탄이 정확히 다리를 때려서 폭발하면 객관성이고 신화고 과학이고 실제고 풍크툼이고 주체고 뭐고 다 산산 조각나 버린다. 하지만 레이저 유도폭탄의 시선과 유도장치는 그냥 멀뚱히 객관적일 뿐이다. 거기에는 아무런 편견이나 주관도 없으며 의지도 없다. 객관성을 방해하는 유일한 요소는 약간의 오차이다. 모든 기계에는 오차라는 게 있으니까. 레이저 유도폭탄은 다리가 싫어서 부수는 것이 아니라 그렇게 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기 때문에 목표에 호밍(homing: 유도무기가 목표를 찾아가는 것. 호밍이라는 말은 home의 동명사형이다)하는 것이다. 객관적인 시선의 끝은 폭탄의 몸과 폭탄의 눈이 안락한 가정을 찾아들어가 칙하고 화면이 끝나 버리면서 객관성이고 뭐고 다 사라져 버리는 그 순간이다. ● 그러니까 객관적인 시선의 끝은 선이 아니라 점인 것이다. 순수한 과학이 순수한 파괴로 귀결되는 것이 오늘날 우울한 과학의 끝모습이라면 우리는 과학을 피해야 할까? 아니면 세미나를 하고 선언문을 내고 엠티를 하고 논문을 써내서 그것을 즐거운 과학으로 바꾸려는 지난한 몸짓을 해야 할까? 한강 다리는 오늘도 차와 행인들의 진동에 미세하게 상판을 떨며 대답을 주저하고 있다. ■ 이영준

Bridges over Han River tremble minutely at the sound of a shutter ● It was since they started building all those bridges over Han River that there began to be a gap between Gangnam("South-of-river") and Gangbuk("North-of-river"). By the 1970s, when there were Han River Pedestrian Bridge and the Third Hangang Bridge, the gap between Gangnam and Gangbuk was not so big, and "Gangnam" was not in itself a specific geographic signifier. Gangnam only became Gangnam after Dongho Bridge and Seongsu Bridge were built. The irony of bridges acting as a divider rather than a connector is probably incomprehensible even to the architect himself/herself, now that he/she intended the bridge to serve as literally a bridge between people living in Gangnam and those in Gangbuk. It is true that every connecting device - doors, filters, circuit parts, messengers or train couplers - also has a fate to mean rupture. These connecting devices function within a dialectics of continuity and rupture. That's why they are making all the bustles over the control over the connection. ● In that sense, bridges over Han River bare with them very special stories. When I was a child, there was a manga of which original title is , which fascinated me. An episode of it was titled "door of death". On the other side of this door, which is located right in the heart of the city, is the world of death. Anyone who walks past the door enters the world of death. The problem is that the mother of the main character, a child, keeps calling him from the other side of the door. The child is easily tempte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worlds is as short as, for example, that between Jongro 2-ga and Jongro 3-ga. The story is built abound various efforts made by three characters, Bem, Bera and Bero, to keep the child from crossing the door. Seongsu bridge and Dongho Bridge are today's door of death. The price of wine and shisha becomes twice as high across these bridges. In the streets of the southern side of the bridge run rare luxury cars from Ferrari to Bentley, which never seem to cross the bridge to come to the North, for which the reason is unknown to me. Maybe the uneven road surface of the Northern districts makes the tires of the Bentleys' blow out. Maybe it is that the owners are afraid that the vivid red of their Ferraris would be tainted with the sombre buildings of the north. The sphere of these cars, equipped with 400 horsepower and V12 cylindered engines, includes Nonhyeon-dong, Shinsa-dong and Cheongdam-dong, never Dapsip-li or Galhyeon-dong, where real reside. In other words, Bentleys and Ferraris are not just cars. They are rather a Gangnam phenomenon. That is, an economic, historical and geographical phenomenon rather than mere cars with an engine, transmission and a break. They are one of numerous signs that constitute Gangnam, just like Luis Vuitton being one unique to Cheongdam-dong. The role of bridges over Han River is keeping these cars from the dirty, cramped, poor Gangbuk. It is not connection but interception. Moreover, the traffic congestion naturally justifies this disconnection. ● By the way, these bridges were not designed as a unity. The bridges connect, but they are not interconnected. Of course, they come to meet at Northern Riverside Road and Olympic Road, but it is rather a fluid, discontinuous connection which depends heavily on the traffic, that is, not always available. Many drivers actually choose a bridge to take out of a pool of bridges, constantly paying attention to the traffic radio. Each bridge is unique. Not only in the sense that it is a discontinuous connection, but also in terms of its relation to each side of the river. Each has different ideology nested in the architecture and different history. In short, the bridges are not a unity. If someone writes a book titled
, he/she should write about each bridge completely individual, not as if there were a principle penetrating all the bridges. Structure of the bridge is yet another difference. Seogang Bridge and Olympic Bridge are cable-stayed bridges, while Cheongdam Bridge is the only bridge with double decks with different functions: one for cars and another for trains. Han River Pedesrtian Bridge, unlike Seogang Bridge, does not have a role of discontinuation, now that from Yongsan to Heuksok-dong across the river, we don't see the world changing as much as when we move from Seongsu-dong to Cheongdam-dong. Most of all, Seongsu Bridge has its pain of collapse. Anyone who has compared it with the neighbouring Yeongdong Bridge is astonished to notice the traces of the trauma in the physical structure of the bridge. Contrary to thin-as-a-chopstick Yeongdong Bridge, Seongsu Bridge has enormous concrete structure and steel frames for both the bridge and its piers, which seem to be excessively fortified due to the trauma of collapsing. Then, would Yeongdong Bridge be reinforced only after having collapsed? ● All these complex circumstances have imposed excessively heavy narratives, history, values and hatred on the bridge already heavy enough. As we would sometimes like to look through a clear window, we sometimes want to look at an object with clear eyes, with all the narratives, value judgements and ideologies put between brackets. Lee Dueg Young chooses aerial photography, as a means of producing objective photographs. His works demonstrate very well how physically and materially challenging it is to take photographs objectively, let alone the discoursive and ideological disputes on the meaning of objectivity. Critics often start their introduction to a photo exhibition by a phrase "photographs do not simply describe the appearance of an object [...]". I wonder if they understand at all what a difficult task it is to "simply describe the appearance of an object", the simple exterior of an object as it is. Objective photographs have required a thorough theoretical preparation, from the philosophy of linear perspective after Descarte and the system of objects of Diderot, to Peter Galison's discussion on scientific objectivity. Objectivity is not a given present but rather a high point reached after having overcome numerous errors and bias. Peter Galison says: "Objectivity is a fighting word. It is lambasted, cherished, hunted, defended. It is realism on Monday, certainty on Wednesday, intersubjectivity on Friday, and truth on Sunday. Lee Dueg Young himself had to go through such a historical process, only more condensed, to be able to take objective photographs of the bridges over Han River. ● He used a helicopter to take his photographs. However, unlike what he had expected, omniscient position offered by being on a helicopter with his camera did not automatically bring him an objective view. He had applied for and received a fund to rent a helicopter that cost him a million and eight hundred thousand won per hour. After a process of trial and error, he could finally find the adequate focal length and distance from the object, in order to capture the form of the bridge without distorting it. Although it may sound melodramatic to say that the photographer had to remove the door of the helicopter and work, warming up the frozen hands, let us acknowledge that aviation is in fact very dangerous, difficult and messy, despite its image of being neat, sleek and transcendental. It is to remind that photographing from a helicopter does not mean an automatic, ready-made point of view that I mention this. His photos are taken right above the bridges, at right angles with them, to avoid any distortion of the forms. Lenses were carefully selected to serve the purpose, and the position of the photographer was marked accurately using GPS. Now, the bridges over Han River can no longer escape from the grid of data woven by Lee Dueg Young. ● The most interesting point is that the bridges reveal their richest aspect through such objective photographs. Lyrical photos of the bridges of Han River taken by amateurs, maximising dramatical effects with long exposures and dazzling colours, are on the very opposite side of the photos by Lee Dueg Young. The former merely exhibits commonplace, mediocre stereotypes and nothing more. Behind a splendid appearance hides a poverty of content. On the contrary, the latter, objective photos of Lee Dueg Young, present the bridges as extremely rich objects. Why does this happen? It is because, most of all, these bridges are originally rich and complex. Then why are subjective photos unable to see such richness and complexity? Because they look only at the romantic side of the bridges, and not at their bridge/urban/road engineering, architectural and mathematical aspects. A bridge is a complex of such engineering knowledge, and as far as it is one, it is also an object of sensual and intellectual interest. Especially, we cannot discuss the beauty of a bridge without considering the bridge engineering. When it comes to a truss bridge, the beauty comes from the length of trusses, as well as the form of beams and piers. With a cable-stayed bridge, the aesthetic value depends on the form of its tower(s), length of cables and the way they are tied. Designing a bridge ignoring such technical factors is useless, as the bridge would not physically stand. The beauty of a bridge is of same nature as that of a ship or an airplane. Its beauty is a by-product of the structure, but it surpasses the beauty of other objects aimed to be beautiful. This kind of beauty does not even show itself to the subjective eyes that merely see the superficial exterior. ● The beauty coming from the richness of structure and constitution does not stay within the structure of the bridge itself. A bridge is essentially touching two sides of the land. The bridges of Seoul bear with them various contexts on each side of it, and this is what serves as a source for Lee Dueg Young photographs. Hangang Bridge is directly connected to land, Gimpo Bridge has such a long ramp above the ground that it is difficult to define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bridge, while Seongsu Bridge has an extremely complicated form of ramp and exits. The northern end of Gayang Bridge is a wood, while the southern end of Dongho Bridge is a bustling Abgujeong-dong. At the northern end of Yeongdong Bridge, we find a dense, semi-industrial manufacturing area. As we enjoy the details of the form of each kind of fish - for example a species has a rainbow-coloured scales, another has a long dorsal fin while yet another has whiskers, etc. - looking through an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ish, various matrices of each bridge bring us visual, cognitive and informative pleasure. Such intellectual pleasure is not gained by putting forward our subjective view, replacing an object with clumsy feelings, but by tracing carefully and attentively the structure, power, balance and context of an object. ● How is such a view possible? As we know very well, helicopters can hover. Not easy for the pilot, hovering has multiple functions. It is often employed in transportation of soldiers and the injured in battlefields, rescuing people from, for example, Mount Bukhan or a shipwreck in the wild North Sea. Hovering is only possible with helicopters, not any aeroplane. This function, just like a hand of salvation, hand of God, coming down from the sky, has saved a number of poor souls deserted in an isolated enemy territory, on a cliff deep in the mountain, or in the wild sea. 'Search and rescue' is not only a task of a helicopter but also an attitude of a philosopher or a critic. The job of a philosopher or a critic is rescuing the senses awaiting salvation, after having stopped the time of the ever-changing, chaotic world and having searched, researched, and re-researched what is going on down there. Lee Dueg Young's helicopter could patiently observe the bridges from right above, contemplate on particularities of each bridge and record them, using its hovering function. Now, the bridges over Han River provide more details than seen by a cartographer. The physiognomy of bridge has become possible by hovering of a helicopter. ● Of course the bird's eye view is not unique to the photos taken from a helicopter. It can be obtained from a fixed-wing aircraft or an artificial satellite. The most popularised form of this view is Google Earth. The difference between a view obtained from a helicopter and other bird eye's views is that the view from a helicopter is in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earth, always possible to land. That is, a view from a helicopter is an incarnated vision. Although way too incarnated sometimes - I don't really want to mention but it happens quite often with a helicopter - when crashing to the ground, a helicopter is not separate from the physical presence of the earth thanks to its capacity to land on any small patch of land. While a fixed-wing aircraft is a very fussy, fastidious machine which requires a certain set of restrictive conditions to land (length, width of the landing strip, surface condition and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VOR, localiser and glideslope indicator, etc.), a helicopter is an incredibly omnivorous machine which can land almost wherever there is a small patch of land, either it is on top of the mountain, on the terrace land on the river, or in the school yard. The vision of such a machine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decarnated vision of Google Earth. Images reproduced by a satellite or Google Earth does not present the earth as it is, but rather as an extremely abstract data without perspective. They are on an extreme point that a mechanised vision can reach. On the contrary, the vision from a helicopter is buried within the chaos of the northern side of Mapo Bridge that I just drove pass yesterday. Thus, observation and reflection are not separate from the point of view of a helicopter. Its vision is always a touchable, incarnated one. ● In the 1970s, there was a series of articles published in called "My hometown viewed from the sky". The articles, written either by writers or well-known figures from the town, were accompanied by photos taken from a Cessna. Each article described the rather densely-organised market place, school yard, small lanes, townhall of the town and told stories related to them, just like a personal version of today's Google Earth. The photos were not taken at the right angle but from a side angle, and the stories were side-angled as well. That is, they were about the town in the close past, not at the time the photos were being taken. This side angle is what renders intimacy. That is probably why Google Earth keeps on updating photos taken a bit from a side angle, to bring back the personally experienced streets of New York City, not viewed by the universal God. Google Earth desires to become "My hometown viewed from the sky" of . The photos of the series showed the most intimate dimension of the aerial photograph. Lee Dueg Young's photos taken from a helicopter are not as intimate, as they were taken at exactly the right angle. However, for someone like myself who goes riding a bike and taking photos by Han River, enjoying all the details of it, his photos appear very intimate. They are nevertheless from an objective point of view. The particularity of this photos lies here. ● Hovering of a helicopter, however, has another function opposed to that of rescuing. The U.S. armed forces started to develop helicopters with reinforced arms, gunship, with its ultimate form being the AH61 Apache Longbow equipped with hellfire, 30mm heavy machine gun connected to the helmet of the pilot and all sorts of other devices including night, weather and navigation devices. Although it is the fate of a machine that salvation also means destruction, the case of a helicopter is rather extreme. It is enough to type "apache" on You Tube to see what a hovering Apache Longbow can do. A video clip of an Apache smashing the Iraqi resistance, firing the machine gun at one after another as it hunting, demonstrates that the ability to rescue using hovering function of a helicopter is in fact is a zero-sum game where one must be eliminated to save another. The most fearful side of the video clip is that the resistance does not even notice the Apache before it starts shooting. ●Of course not all the helicopters are same. A helicopter designed for rescue and another designed to destruct are different in their design, price, function, colour and the organisation that owns them. But it is not the right time to laugh and have fun. Lee Dueg Young's photographs have behind them for some reason an eerie aftertaste. That is, the voyeuristic creepiness that a vision from the sky has. What is at the end of the objective view? There is science and technology that aids people, but there also is technology of destruction. One of the coldest and most objective images produced by human beings is probably the ones taken during the Gulf War with cameras attached to laser bombs. The pictures show, for example, an extremely objective image of a bridge placed right at the heart of the red aiming cross. The image of the bridge is zoomed in, and shortly the bomb hits accurately the bridge and the explosion follows. Objectivity, myths, science, reality, punctum, subject... whatever is blown into bits and pieces. But the view of a laser bomb and its guidance system are simply objective and nothing more. There are neither prejudice, subjectivity nor will. The only factor that can interfere with the objectivity is a slight error, which any machine has. The guided laser bomb destroys the bridge because it is programmed to home in on the target and destroy it. The end of the objective view is the moment when everything including objectivity disappears with the screen flickering out, after the body and the eyes of the bomb have paid a visit to a comfortable home. ●In other words, the end of an objective view is not a line but a point. If the conclusion of pure science is pure destruction, should we avoid science? Or should we make a constant effort to transform it into a happy science, organising/attending seminars, publishing manifestos, going on workshops and writing academic articles? Trembling minutely to the vibration caused by pedestrians and motor vehicles, bridges over Han River hesitates to provide an answer. ■ by LEEYOUNGJUNE


Vol.080218c | 이득영展 / LEEDUEGYOUNG / 李得榮 / photography.vid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