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 KAIST 합격한 16세 성현우 군 [연합]

"노벨상을 타고 싶은데 노벨상에는 수학상이 없잖아요. 그래서 젊은 수학자에게 주는 수학분야의 노벨상인 필즈상(Fields Medal)을 받고 싶습니다"

지난달 30일 치러진 KAIST 4차 전형에서 합격한 한국과학영재학교 3학년 성현우(15세 7개월) 군의 꿈이다.

올해 1월 교환학생 프로그램으로 독일의 펠릭스 클라인 김나지움에 갔을 때 현지 수학교사조차 풀지 못하던 수학문제를 풀어내면서 현지 관계자들을 놀라게 한 성 군이기에 주위 사람들은 그가 한국인 최초로 필즈상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성 군은 부산 대청중학교 1학년 때에 이미 13살의 나이로 전국의 영재들이 모이는 한국과학영재학교에 최연소 합격하며 주위를 놀라게 했다.

당시 성 군의 부모는 어린 나이에 동급생과 잘 어울릴 수 있을지 고민했다고 한다.

그러나 수학적인 재능이 남다른데다 언제나 온 힘을 다해 학업에 임하면서 동급생의 사랑을 받아 원만하게 학교생활을 해 냈다는 것.

성 군을 가르친 학교 교사들은 그가 남다른 재능은 물론 높은 집중력으로 성취를 이뤄내는 스타일이라고 칭찬했다.

독학으로 일본어를 숙달한 것은 물론이고 졸업논문 준비 때는 일주일에 4편의 논문을 정리해 지도 교사를 놀라게 했다.

그렇다고 성 군의 학습방법이 다른 학생과 다른 것은 아니다.

평소 학습 방법을 묻자 그는 "과학영재학교 입학 전에 6년간 영재교육원을 일주일에 1차례 다니는 것 외에는 사교육을 받은 게 없으며 책을 읽고 또 읽고 하는 식으로 공부했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 "앞으로 KAIST에 진학한 후 꾸준히 공부해서 대학교수가 돼 수학을 연구하고 학생을 가르칠 계획"이라고 당차게 진로를 밝혔다.

자신에 대해 수학적인 재능은 뛰어나지만, 인문적 소양이 부족하다는 점을 꼽은 성 군은 대학 진학 후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목표를 달성할 계획이다.

성 군이 다니는 한국과학영재학교와 KAIST는 대학과목 선수수업협약한 상태로 성 군은 20대 초반에 박사과정을 마칠 수 있어 대학 강단에 선 그의 모습을 볼 날이 그리 멀지 않아 보인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