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 | ![]() KIM, SANG KU (2009. 5.6 -5.18) 김상구와 그의 목판 70년대 중반부터 80년대 후반에 이르는 2기의 작품내용에서 이상과 같이 풍부한 회화성과 판화의 기술적 공정이 두드러지게 드러나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 풍부한 색채와 더불어 목판 특유의 칼 맛이 선명하게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 자연에서 유출된 이미지의 변형과 그것의 발전으로서의 추상적 도형이 이 시기 그의 전체 작품을 관류하고 있다. 형태의 반복패턴과 기하학적 구성인자도 현저해지고 있다. 더욱 요약되고 억제된 방법의 신장이 화면을 지배해가고 있음을 보인다. 이 같은 방법에 곁들여 모티브의 제한도 뚜렷하게 드러난다. 새, 물고기, 나무, 말, 구름, 사람, 배, 들꽃 등이 번번이 등장한다. 곁들여 실내의 풍경이 간헐적으로 구현된다. 의자, 바이올린, 화병 같은 것이 실내풍경의 주요 모티브이다. 범속한 주변의 자연이 무작위로 선택된다. 친숙한 주변과 일상의 선택은 소박한 소재의식을 반영한다. 어쩌면, 이 소박한 소재의식이야말로 작가의 조형의식 그 자체인지도 모른다. “내가 좋아하는 소재는 마치 한 그루의 나무가 땅에 뿌리를 내리고, 기둥이 서고, 가지가 엇갈려 나듯이 자로 잰듯한 것보다는 약간 휘어진 대들보의 선과 같은 것, 화려한 것보다는 투박한 것, 치장으로 복잡한 것보다는 단순한 가운데 스며드는 토담과 같은 것, 입체적인 표현보다는 평면적인 것, 흑백의 대비, 큰 것보다는 조그마한 것, 가득 차있는 것보다는 여백이 있는 것 등이다.” 란 작가의 말에서도 소재의식에서 조형의식으로 이어지는 내용을 읽을 수 있다. 오광수/ 미술평론가의 평론 중에서 일부 발췌 |
'미술교과교육연구회 > 그림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日반출 몽유도원도 13년만에 고국 온다-동아2009년 05월 11일 (1) | 2009.05.11 |
---|---|
[박재동의 손바닥 아트] 웃음 (1) | 2009.05.10 |
몸의 언어전-1부 / 2009_0501 ▶ 2009_0524 (1) | 2009.05.04 |
미술에 대한 고정관념을 휴지통에 버려라 (오마이09.05.02) (1) | 2009.05.03 |
10人 초대전 ‘My First…’초대전-경기신문2009년 05월 01일 (0) | 2009.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