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성적표를 보는 법

박권우, 이대부고, 대입필살기, 수능 성적표, 등급, 백분위, 표준점수



Q: 수능 성적표에 표시된 등급, 백분위, 표준점수 같은 용어의 정확한 뜻을 알고 싶습니다.

 

A: 대학수능능력시험 성적표는 [표 1]과 같은 양식이며, 성적표에 쓰이는 용어에 관해 기본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원점수: 수학능력시험의 영역별 만점에서 정답을 맞힌 문항에 부여된 배점을 단순히 합산한 점수를 뜻합니다. 예를 들면, A 학생이 언어 총 45문항 가운데 배점 3점인 문항 두 개, 배점 2점인 문항 34개, 배점 1점인 문항 두 개를 맞혔다면 언어영역의 원점수는 6점+68점+2점으로 총 76점이 됩니다. 단, 원점수는 수능 성적표에는 표기되지 않기 때문에 수능 시험 직후 원점수를 기준으로 예상 등급을 가늠할 때 자주 언급됩니다.

2. 표준점수: 개인의 원점수가 평균으로부터 표준편차의 몇 배만큼 떨어졌는지 나타낸 점수입니다. 응시영역과 응시자 집단에서 개인의 상대적인 위치나 성취 수준을 나타내기 위한 것입니다. 표준점수는 언어·수리·외국어 영역은 평균이 100, 표준편차가 20이고, 사회·과학·직업탐구 영역과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평균이 50, 표준편차가 10인 표준점수 척도를 쓰며, 표준점수 산출 방식은 [표 2]와 같습니다.

3. 백분위: 한 집단에서 각 수험생의 상대적 서열을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즉, 해당 수험생보다 낮은 점수를 받은 수험생의 백분율을 말합니다. 백분위로는 집단 크기나 시험 종류가 다르더라도 상대적인 위치(석차)를 서로 비교해볼 수 있어, 학생 자신의 영역별 강점과 약점을 대략적으로 알아볼 수 있습니다.

4. 9등급제 : 백분위 점수를 활용해 전체 수험생을 9등급으로 나눠 개별 수험생이 속해 있는 해당 등급을 표시한 점수 체제입니다. 전체 응시생을 대상으로 해 순차적으로 9등급까지 등급을 부여하며 등급별 비율은 [표 4]와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