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PPING] [중앙일보]
관련링크
주부 심앨리스(37)씨는 지난해 말 서울 대치동 자신의 아파트 베란다에 정원을 꾸몄다. 작은 베란다 정원이지만 한구석에는 아이들과 앉아서 놀 수 있는 평상 모양의 나무 데크를 설치하고, 흙을 깔아 꽃과 나무를 심었다. 심씨는 "세 살, 한 살짜리 아이들과 정원에서 김밥을 먹거나 꽃에 물을 주기도 한다"며 "아이들이 정원에서 노는 것을 좋아해 잘 만들었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관상용이었던 아파트 베란다 정원이 '가족들의 놀이터'로 진화하고 있다. 32평 아파트 베란다에서 만들 수 있는 정원은 보통 6㎡ 정도. 그리 큰 공간이 아니지만 최근엔 정원 사이에 오솔길도 내고 작은 연못도 들여놓는다. 베란다에 정원을 꾸미는 이들이 늘면서 건설회사들도 폭이 2m 정도로 넓은 베란다를 갖춘 아파트를 내놓고 있다. 키 큰 나무를 심을 수 있도록 움푹 파인 공간도 만들고 있다.

◆전문가 도움으로 베란다 정원 만들기=실내 조경 업체에 의뢰하면 견적을 내고 미리 데크 등을 제작해 오기 때문에 시공은 반나절에서 하루면 된다. 전문 시공업체에 맡길 경우 공사도 쉽고, 사후에 배수 등의 문제가 생겨도 물어볼 곳이 있어 든든하다. 하지만 비용은 만만치 않다. 보통 ㎡당 견적이 50만원 정도(인건비 포함). 32평형 아파트라면 300만원 안팎이 든다. 인터넷 홈페이지 등에서 시공 사례를 소개하는 업체가 많으므로 원하는 스타일을 미리 생각한 뒤 전문업체를 방문하는 게 좋다. 정원에 심을 나무 등은 미리 보고 꼼꼼히 고르는 게 좋다. 일단 심어놓으면 다시 뽑고 새 나무를 심기가 여간 힘들지 않다.

전문업체에 맡기지 않더라도 전문가 조언을 구하는 것이 좋다. 인테리어 전문매장 B&Q 구로점은 최근 '가드닝 존'을 열어 원예 관련 상담을 하는 직원을 두고 있다. 이런 원예상담 전문가들과 시공계획 등을 상담한 뒤 필요한 물건을 사는 것도 불필요한 노력을 줄이는 방법이다.

◆내 손으로 직접 꾸미는 베란다 정원=베란다에 정원을 만들 때 가장 유의해야 하는 것은 물이 잘 빠지도록 배수층을 만드는 일이다. 바닥에 흙을 깔기 전에 배수 구멍에 플라스틱 배수판을 덮고, 그 위에 원예용 부직포를 덮어야 흙은 안 내려가고 물만 빠져나간다. 흙은 보통 멸균된 상태로 파는 인공토에 배양토를 섞어 쓴다. 산에서 흙을 퍼오면 세균이 많고 지렁이.개미 등이 따라온다. 인공토는 100ℓ에 5000원 정도. 32평 아파트를 기준으로 거름과 배양토를 섞어 쓸 때 흙 값만 10만원을 넘게 잡아야 한다.

데크를 만들려면 흙이 직접 닿는 곳만 방부목으로 하고, 사람이 앉는 곳은 천연목재를 쓰는 게 좋다. 일부 방부목에서 포름 알데히드 등 유해물질이 방출되기 때문. B&Q구로점에선 실내 정원용 데크재로 일본 삼나무를 잘라 판다. 2m에 8900원~1만3000원 정도다.

사과 궤짝 크기의 플랜트 박스에 갖가지 식물을 심어 놓는 이동식 정원도 간편하다. 키가 큰 식물과 작은 식물을 한데 모아 멋스럽게 연출할 수 있고, 박스 아랫부분에 바퀴가 달려 있어 거실.베란다.안방으로 쉽게 옮길 수 있다. 좀 큰 박스 가운데는 돌로 만든 수반을 놓아 미니 연못 분위기도 내는 것도 있다. 식물을 심어 놓은 이동식 정원의 경우 길이 1m(105×50×30㎤)정도가 70만원 선이다. 박스만 따로 사서 식물을 심을 수 있다. 아래에 배수층이 내장돼 있어 배수구가 필요없는 큰 박스는 20만~30만원 정도다. 이동식 정원 박스는 대형 조경가게에 가면 쉽게 살 수 있다.

화초를 심을 때는 비슷한 특성의 화초들을 모아 심어야 한다. 물을 좋아하는 스파트필름을 물이 적어야 잘 자라는 선인장 바로 옆에 심으면 선인장이 썩기 쉽다. 반쪽이 공방 목동점에서 원예 교실을 열고 있는 김성규씨는 인기 식물로 남천.폴리셔스.스파트필름.팔손이 등을 꼽는다. 키가 큰 편인 남천.폴리셔스는 서울 양재동 화훼공판장(02-579-8100)이나 과천화훼집하장(02-502-6835)에서 5만~10만원 정도에 살 수 있다. 봄에는 색깔이 화려한 수선화.히아신스.튤립 등 구근류 꽃도 인기다. 시장에서 1000~2000원이면 살 수 있다. 빛이 잘 들고 통풍이 잘 되는 곳이라면 채소 키우기도 어렵지 않다. 방울토마토.고추.상추 등이 인기가 많다. 모종은 보통 2~3포기에 1000원 정도다.


임미진 기자



(1)시공 전 베란다 모습

(2)나무로 아치형 문틀을 만들어 아늑한 느낌을 냈다. 뒤쪽 문틀 아래 있는 것이 나무 데크.

(3)물이 잘 빠지도록 플라스틱 배수판을 설치한다. 이 위에 부직포를 덮어야 흙이 빠져나가지 않는다.

(4)물을 뿌려가며 흙을 깐다. 흰색은 가벼운 인공토 퍼라이트, 까만색은 영양분이 농축된 흙인 피트모스. 모두 멸균된 상태다.

(5)키 큰 나무부터 심기 시작한다. 가운데 놓인 것은 연못 분위기를 내기 위한 물확.

[사진=푸르네(www.ipurune.com)]
| ★관심을가질만한것◈ 2007-07-04 13:05
http://blog.paran.com/suk9327/20261550
작년 11월에 입주한 새 아파트의 베란다를 확장해 아기자기하게 미니 정원을 꾸민 나연수 주부.
작아도 구석구석 볼거리가 많은 아담한 휴식처를 엿본다.


결혼 5년차의 나연수 주부가 크고 작은 20여 개의 화분으로 꾸민 미니 정원은 그녀의 두 번째 작품. 전에 살던 집에서부터 화분을 많이 가꿨는데, 그 이유는 바로 네 살짜리 딸아이의 아토피 때문이었다. 그리 심한 편은 아니지만, 집안이 건조해지면 딸 해린이가 부쩍 가려움을 호소했기 때문에 ‘실내 공기가 문제다’ 싶어 하나 둘 모으기 시작한 화분이 이제는 거실 한켠에 정원을 만들고도 남아 집안 곳곳에 옹기종기 모여 싱그러움을 전하고 있다.

공기청정기를 살까, 정원을 꾸밀까 많이 망설이다 화분 모으기를 시작한 것인데 요즘 해린이의 아토피가 눈에 띄게 호전된 것을 보면 모두 이 화분들 덕분이 아닐까 싶어 내심 뿌듯하다. 이사 오면서도 애지중지 챙겨온 화분들과 집들이 선물로 받은 몇 가지 장식품들로 더욱 업그레이드된 것이 현재의 미니 정원이다. 새집으로 들어오면서도 새집증후군 걱정을 덜었고, 실내 습도 조절도 자연스럽게 이루어져 지난겨울에는 건조함을 거의 느끼지 않았단다.

같은 취미를 가진 이웃으로부터 아이디어를 얻기도 하고,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모아 손수 꾸민 그녀의 미니 정원은 작지만 깔끔하고 세심한 취향이 묻어나는 것이 특징. 화분은 일주일에 한 번 서는 장에서 보다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었고, 기타 장식품들은 인테리어 숍이나 마트에서 구입한 것으로 전체 비용은 30만원 정도.

틈틈이 물주고 먼지를 닦아내는 일이 가끔 귀찮게 여겨지기도 하지만, 한층 쾌적해진 실내와 소파에 앉아서 감상하는 기분 좋은 자연 풍경, 그리고 무엇보다도 가려움으로 고생도 덜하고 한결 나아진 해린이의 피부를 보면 차츰 더 늘려가고 싶은 욕심이 생긴다고 한다.


1_키 작은 나무 울타리를 조르르 세워 미니 정원과 거실의 경계를 확실히 했다. 귀여운 울타리가 보기에도 좋지만, 공간을 분리시켜 정리된 느낌이다.

2_갑돌이와 갑순이? 재미있는 표정의 민속 인형들을 화분 사이사이에 배치한 센스! 조명이 들어오는 분수는 새집으로 이사 오면서 집들이 선물로 받은 것.


3_인테리어 숍에서 구입한 계단식 나무 의자에 화분을 얹어 높낮이에 변화를 주었다. 평평한 거실 바닥에 정원을 꾸밀 때 참고하면 좋은 아이디어.

4_긴 항아리 위에 넓적한 항아리를 포개 얹고 우산 분수를 꽂아 아담한 분수를 만들었다. 우산 분수는 수족관 용품을 파는 곳에서 구입했다.
넓은 베란다를 활용해 가족 모두 좋아하는 미니 정원을 만든 이미선 주부
“집안에서도 자연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쉼터 같은 공간이에요”
삭막한 아파트에 둘러싸여 사는 아이들에게 자연의 정서를 느끼게 해주고 싶어 베란다에 정원을 만들었다는 이미선 주부.

그녀와 남편이 함께 꾸민 아기자기한 베란다 정원 이야기를 들어본다.


“요즘은 거실을 넓게 사용하기 위해서 베란다를 확장하지만 저희 집은 지금 이 정도 크기의 거실로도 가족이 생활하는 데 전혀 불편함이 없어 확장하지 않았어요. 대신 넓은 베란다에 아름다운 정원을 꾸미기로 했답니다.”

이미선 주부네는 먼저 살던 집에서도 이미 베란다 정원을 꾸며본 경험이 있는 케이스. 자연을 많이 접하지 못하는 그녀의 세 아이들을 위해 정서적으로 조금이나마 자연을 느끼게 해주고 싶어 남편과 함께 베란다 정원을 꾸몄었다고.

인터넷 서핑을 하며 베란다 정원 꾸미기에 필요한 것들을 구입해서 부부가 함께 꾸민 정원은 처음부터 성공한 것은 아니었다. 실내 정원을 만들 때는 배양토를 넣기 전에 우선 마사토를 깔아야 하는데 그런 사전 지식이 없어 그냥 흙을 덮었더니 벌레도 생기고 지렁이도 심심치 않게 나왔었다고. 그래서 이번에는 기본 틀과 소품은 인터넷에서 구입하고 나머지 조경은 전문 업체에 맡겼다.

“업체에 의뢰해서 베란다 가득 실내 정원을 만들려면 300만원에서 350만원 정도의 비용이 든다고 해요. 하지만 저희 집은 기본 틀과 소품 구입은 개인적으로 하고 조경만 업체에 의뢰했더니 150만원 정도에 정원을 만들 수 있었어요. 비용 절감도 기분 좋은 일이지만 무엇보다 보는 것만으로도 행복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것은 물론 습도 조절까지 되는 정원이 생겨 좋습니다.”

푸른 식물과 함께 물 흐르는 소리가 들리고 자갈과 조각 나무 데크가 깔려 있는 베란다…. 쓸쓸한 베란다와는 전혀 다른 자연 속에 와 있는 듯한 분위기는 흔히 느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거실에 앉아 베란다를 바라보는 시간이 즐겁다는 이미선 주부는 아이들이 재미있어 하고 좋아하는 모습을 볼 때가 가장 흐뭇하다고.


1_졸졸졸 물 흐르는 소리가 마치 작은 시냇가에 와 있는 듯하다. 식물만 있는 정원보다는 이런 소품을 더하면 자연을 더욱 가까이 느낄 수 있다.

2_원래는 바닥의 타일이 그대로 드러나 있었지만 타일이 왠지 어색해 보여 이미선 주부는 직접 자갈과 조각 나무 데크를 깔아 타일이 보이지 않게 연출했다. 한결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바뀐 정원 연출 아이디어.


3_거실에서 바라본 베란다 전경. 돌 모양이 자연스런 이미테이션 틀에 작은 화초부터 나무까지 다양한 식물을 심어 근사한 정원을 만들었다. 거실에 앉아 있으면 마치 자연 속에 와 있는 듯한 풍경이다.

태그

[생활고수@온라인] DIY 인테리어 고수 최인영씨

2006년 09월 12일 (화) 12:19 스포츠조선

요술손으로 꾸민 '미니궁전'
'DIY 인테리어 고수' 주부 4년차 최인영씨(28). 네이버 인기 블로그 '말 안듣는 천사와 살아가기'(blog.naver.com/jeje202)의 주인장이자, 30개월 된 다예의 엄마인 것이 제일 행복한 '다예맘'이다.


 가을 햇살이 넉넉하게 쏟아지는 '세상에서 가장 빛나는 다예네 집'은 마치 커다란 보물창고 같다. 현관과 안방문에 달린 꽃리스며, 화장실 스위치 위의 플라워프린트 커버, 조롱조롱 매달린 유리볼, 생화 액자… 아기자기한 소품들이 곳곳에 숨어 있어 눈을 뗄 수가 없다.


 "이걸 다 직접 만드셨다구요?" 도무지 믿어지지 않아 대뜸 손을 보여달라고 했다. 통통한 마디의 보통 여자손이다. 한사코 '평범'한 아기엄마임을 주장하는 '비범'한 다예맘에게 알뜰 인테리어 노하우를 캐물었다.


 











값싼 소품으로 유리볼-시계틀 장식장 등 뚝딱
"초록빛 가득한 베란다 정원은 딸 행복놀이터"
'꽃등 만들기' 블로그 이틀간 네티즌 5만명 방문
◇ '다예네 집' 베란다 정원은 '다예맘' 최인영씨의 작업공간이자 세살배기 딸 다예의 행복한 놀이터다. 다예 모녀가 솔향기 나는 율마 화분에 물을 주고 있다.

 ▶"알뜰 인테리어, 누구나 할 수 있어요"

 지난해 12월, 결혼 3년만에 생애 첫 집을 마련한 최씨, 여느 신혼들이 그러하듯 등기비 등을 떼고 나니 손에 남는 것이 별로 없었다. 8년 된 아파트를 뜯어고치는 데 못해도 300만원은 든다고 했다. 고심 끝에 도배를 직접 하기로 했다. 반신반의하는 남편의 시선을 뒤로 한 채 팔을 걷어붙였다. 거실 벽면에 MDF패널을 붙이고, 흰색 페인트를 칠한 후, 위쪽 부분은 꽃무늬 패브릭으로 마무리했다. 다예의 놀이방과 부엌엔 때 타기 쉬운 패브릭 대신 시트지를 발랐다. 베란다엔 데코 마루를 깔고 벽면엔 벽돌무늬 시트지를 붙였다. 밋밋한 현관문도 앤티크한 느낌으로 거듭났다. 시공기간 하루, 총비용 100만원,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자신감을 얻은 최씨는 '다음 프로방스 집꾸미기(cafe.daum.net/decorplaza)', '네이버 레몬테라스(cafe.naver.com/remonterrace)' 등 인테리어 동호회를 드나들며 리폼-DIY 소품을 만들기 시작했다. 타고난 손재주에 자신감이 더해져 실력은 나날이 일취월장, 블로그에 올린 사진들 아래엔 찬사과 문의 댓글이 폭주했고, 곧이어 잡지, 방송의 섭외 요청도 밀려들기 시작했다. 특히 9월 네이버 메인 화면에 '꽃등 만들기'가 뜨면서, 이틀새 5만명이 다녀가는 등 인기 블로그로 급부상했다.


 중고 괘종시계틀로 만든 장식장, 사과궤짝 리폼 선반 등 최씨의 소품들은 '최소 비용, 최대 효과'라는 주부들의 경제원칙에 충실하다. 실속없는 화려함보다는 실용성과 자연미를 추구한다. 재료 구입은 인터넷 쇼핑몰이나 1000원숍를 적극 이용, 부담을 줄였다.


 "이런저런 소품들을 만들면서 육아 스트레스가 많이 줄었어요. 블로그에 노하우를 나누면서 자신감도 얻었구요. 간단한 건 아이와 함께 만드는 것도 좋아요. 누구나 할 수 있다니까요."

 

 ▶"아파트속 초록 정원, 아이에게 최고의 선물이죠"


 최씨 집 인테리어의 백미는 초록빛 가득한 '베란다 정원'.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예쁜 딸 다예를 위해서 만들었다. 삭막한 아파트 안에 이런 공간이 연출될 수 있다니 놀랍다. 직접 데코 마루를 깔고 시트지를 바르는 데 2시간 걸렸다. 화분은 관엽식물 위주로 선택했다. 이케아에서 구입한 은색 양철통에 솔향기가 솔솔 나는 율마를 심고 한켠에는 로즈마리 화분을 놓았다. 식물 선택 기준을 묻자 전문가 못지 않은 대답이 술술 흘러나온다.


 "초보자들은 물 주는 주기가 비슷한 식물들을 선택하는 것이 좋아요. 베란다가 넓지 않다면 천천히 자라는 걸 택하시구요. 베란다 확장을 하지 않은 집이면 겨울을 날 수 있는 식물이어야 해요.. 트리안이나 고추, 오이등 채소류는 병충해 관리를 잘해줘야 하구요."

 베란다에 걸어둔 프로방스 창문에 소품만 살짝 바꿔 줬을 뿐인데 가을 분위기가 물씬 풍긴다. 지난 여름 포도송이와 나비를 매달았던 창문에 가을보리와 도토리나무 가지를 올려놓았다. 고속터미널 상가 등에서 구입한 모형 토끼, 오리, 다람쥐는 다예의 둘도 없는 친구다. 1000원숍 다이소의 '대바구니', 에코마트의 '조화'는 품질도 좋고 가격도 저렴해 수시로 애용한다.


 "아침 저녁으로 다예가 꽃에 물을 줘요. 베란다정원은 제 취미활동 공간이자 다예의 행복한 놀이터에요."

 '세상에서 가장 빛나는 집'에 사는 세상에서 제일 행복한 다예 모녀의 가을 오후가 서서히 익어간다. < 전영지 기자 sky4us@>

 

다예랑 엄마랑 생화액자 만들기
 준비물: 리폼용 액자, 아크릴물감(흰색), 수태, 철망, 식재할 식물(호야, 염좌, 핑크스타 등)

 1 리폼용 액자틀에 흰색 아크릴 물감을 3번 칠한 후 뒷면에는 방수용 바니시를 칠해준다.


 2 액자 뒷판을 분리해 낸다.


 3 액자를 뒤집어서 철망을 놓은 후 몇시간 물에 불린 수태를 꼭 짜서 골고루 펴놓고. 뒷판을 다시 닫아준다.


 4 식재할 식물 뿌리를 살살 씻어서 젖은 수태로 싸주고 액자 앞면 철망에 넣는다.


 뿌리가 들어갈 부분 철망을 자르고 살살 앞으로 벌려서 주머니처럼 만들면서 넣어주면 된다.


 5 '짠! 생화액자 완성' 물감 말리는 시간만 빼면 10분이면 뚝딱. (만드는 법 출처: 풀하우스 cafe.naver.com/grasseshouse)

선물용 바구니를 이용한 예쁜 미니정원 만들기


집안 경조사가 있을 때 한 번쯤 받아보았을 법한 선물용 바구니.....
특별히 사용할 용도가 생각이 나질 않아 애물단지처럼
집안 어딘가에 두고 잊고 있었다면
이제 바구니를 꺼내어 먼지를 떨어내고 예쁜 미니정원을 꾸며보자.
선물용 바구니 재활용 아이템은 아이들에게 에너지
절약을 차원에서 좋은 교육 실습 꺼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