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삼척 고무릉환선마을:강원 삼척 고무릉환선마을 (invil.org)

 

강원 삼척 고무릉환선마을:강원 삼척 고무릉환선마을

 

hwanseon.invil.org

 

고무릉 마을 삼굿체험

하늘에서 탄이 쏟아지는 마을

도계-묵호항간을 운행하던 낡은 석탄운반 기차가 흘린 낙탄을 모으려고 도계탄광촌 주민들은 체·괭이·호미·세숫대야를 가지고 철로변으로 모여들었다. 또 도계광업소 흥전갱에서 생산한 탄이 삭도를 통해 저탄장으로 내려오는 길에 ᄀ자 지점에서 삭도바구니가 공중에서 뒤집히며 탄을 자주 쏟았다. 인근 주민들은 이 탄들을 주워서 연료로 썼다.

도계 탄광촌의 철길에는 낙탄을 주우려고 몰려든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도계(삼척시)에서 생산된 석탄은 항구가 있는 묵호(동해시)까지 기차로 운반되는데, 낡은 화차의 벽면에서는 석탄이 흘러내렸다. 구멍 뚫린 화차의 벽면을 가마니 쪼가리로 틀어막고 다녔는데, 덜컹거릴 때는 탄이 쏟아졌다.

탄광 도계

도계지역 주민 일부는 석탄화물차가 지나가면서 흘린 탄을 긁어모으려고 각종 도구(체·괭이·호미·세숫대야)를 들고 철로 쪽으로 모여들었다. 주부들이 많았지만, 아이들도 함께 따라다니면서 거들었다. 도계역에서 마교리와 흥전리 구간의 철길 쪽에 석탄을 줍는 사람들이 많았다. 철길 주변의 흘린 탄을 맨손이나 호미 등으로 긁어모을 때는 자갈 같은 석탄이 아닌 것도 따라 들어왔다. 이런 것은 체로 친 다음에 돌멩이는 바닥에 버리고 석탄만 모아서 세숫대야에 담았다. 장갑도 착용하지 않고 맨손으로 석탄 줍기에 나섰기 때문에 광부들처럼 손끝이 새카맸다. 도계탄광촌의 남자들이 땅 속에서 탄을 캤다면, 도계탄광촌의 주부와 아이들은 철길에서 탄을 캔 셈이다. 1960년대 말까지 철로변에서 탄가루 줍는 일은 부업거리였다. 추수가 끝난 논에서 흘린 벼 이삭을 줍는 농촌의 풍경처럼, 탄광촌에서는 석탄화물차에서 흘린 석탄을 줍고 있었다. 탄을 모은 뒤 대야나 자루에 담아 가져간 뒤 물에 반죽하여 주먹탄을 만들기도 하고, 수타식 제조기로 연탄을 찍기도 했다.

철길에서 흘린 탄을 모으다가 역 구내에 대기하고 있는 석탄화차 위로 올라가서 듬뿍 가져오기도 했다. 도계역이 가까울수록 흘린 탄이 더 많았기 때문에 역 가까이 다가갔고, 역무원들은 탄을 줍는 사람들이 가까이 오면 쫓아내곤 했다. 철도 역무원이 쫓아내면 몰래 숨어들어 탄을 훔쳤다. 철길뿐만 아니라 산에 있는 경석장(탄광에서는 ‘보다장’라고 부름)에서 땔감을 찾아 배회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갱내에서 석탄과 함께 나온 돌들을 경석이라고 불렀으며, 갱내에서 동발목으로 쓰고 나온 시커먼 나무를 화목이라고 불렀다. 화목(火木)은 경석장 근처에 버려지곤 했는데, 줍는 것은 불법이 아닌데다 석탄이 묻은 화목은 화력도 좋았다. 한 계절 열심히 모으면 겨울 땔감으로 충분할 정도였다.

경석장은 공개 입찰을 통해 임대되기도 했는데, 경석장에서 나온 탄을 ‘보다탄’이라고 했다. 이 석탄은 화력발전소나 연탄공장에 판매되었다. 석탄만으로 연탄을 만들면 잘 깨졌기 때문에 흙이나 보다탄을 함께 섞어 연탄을 만든 것이다.

도계탄광촌에서는 석탄을 찾아다니지 않아도 될 정도로 하늘에서 석탄이 쏟아질 때도 있다. 도계광업소 흥전갱의 탄은 공중삭도를 이용해 도계저탄장으로 수송한다. 산에서 내리막길로 오던 삭도는 중간 ‘사꾸도(さくどう)’(지금의 흥전지서 자리)에서 ᄀ자로 꺾어져 저탄장으로 간다. 그런데 ᄀ자로 꺾어진 중간 사꾸도에서 중심이 흔들리면서 삭도바구니가 뒤집히는 것이다. 뚜껑이 없는 삭도바구니에서는 뒤집힐 때마다 그대로 석탄을 모두 쏟았다. 삭도가 뒤집혀 석탄이 쏟아질 때면 인근 사람들은 달려가서 떨어진 탄을 긁어모았다. 삭도가 자주 뒤집히자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그 아래로 보호철망을 치기도 했지만, 탄은 여전히 쏟아져 내렸다.

1980년대까지 흥전리, 지금의 흥전지서 자리에 살았었다. 그곳에 사는 사람들은 바가지(삭도)에서 탄이 쏟아지는 것을 자주 보고 살았다. 당시 바가지가 흥전골 안에 설치됐는데, 운반 도중에 종종 석탄을 쏟았다. 바가지가 뒤집혀 석탄을 쏟는 걸 1985년까지 봤다.
공중으로 운반되던 중에 뒤집혀 탄이 하늘에서 우수수 쏟아지면, 사람들은 "바가지 쏟아진다."하고 큰 소리를 질러댔다. 그 소리가 나면 동네 사람들은 세숫대야·빗자루·쓰레받기 등을 들고서 우르르 달려갔다. 퍼 담은 탄으로는 나무 수타기로 19공탄 연탄을 집에서 찍어 썼다. 한번 쏟아지면 연탄 백여 장은 족히 나왔다. 바가지가 뒤집힐 때 나는 탄가루 먼지가 심해 못살겠다고 아우성을 치기도 했다.
(조순자, 도계3리)

도계광업소는 흥전갱 생산탄을 1940년 4월에 설치된 흥전갱-도계역의 공중삭도를 통해 도계역까지 운반했다. 공중삭도(일명 솔개차)는 도계 탄광촌을 상징하는 한 풍경이었다. 발음에 따라서는 소리개차로 부르기도 했다. 우리나라 마지막 케이블카형 석탄수송 장비인 도계광업소 가공삭도는 1940년에 설치돼 1991년 9월까지 50년 동안 도계광업소 흥전갱에서 생산된 탄을 도계역 저탄장까지의 2,314m 구간을 운반했다. 이 삭도에는 수리공들이 타고 다니기도 했는데 삭도가 고장이 나면 공중에 몇 시간씩이고 매달려 있어야 했다.

흥전역 스위치백1 - YouTube

“삼척 흥전리사지 ‘국통 주석’ 사찰”
  •  삼척=홍다영 기자
  •  승인 2015.10.28 13:52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기사공유하기
  • 프린트
  • 메일보내기
  • 글씨키우기

불교문화재연구소 2차 보고회
금동장식판 등 유물 다량 출토
자문위 “국가사적 지정 필요”
지난 20일 열린 현장보고회에서는 금당지 좌우에 날개처럼 잇대어 지은 익사(翼舍)형태의 부속 건물과 금동 장식판 등이 공개돼 관심을 모았다.

“깊은 산골짜기에 이런 대찰(大刹)이 있었다니 참 놀라운 일이야. 국통(國統, 신라시대 국왕의 고문으로 승단 최고 통솔자) 스님이 주석했던 사찰임이 틀림없어.” 지난 20일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의 흥전리사지. 고건축 학계의 원로 김동현 전 국립문화재연구소장이 발굴조사 현장을 찬찬히 둘러보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흥전리사지 발굴조사 현장보고회’에 자문위원으로 참석한 김 전 소장은 “사찰에 어떤 국통 스님이 계셨는지 찾아내는 게 앞으로의 주요 과제”라며 “장기적으로 내다보고 사지 종합정비 계획을 세워 발굴을 진행해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조계종 불교문화재연구소(소장 정안스님)는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아 2014년부터 흥전리 산92-1번지 일대에 위치한 흥전리사지에서 시·발굴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1차 발굴조사를 통해 금당지를 비롯한 여러 동의 건물지를 확인하고, ‘국통’명 비석편 등이 출토돼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받았다.

이날 현장보고회는 금당지를 정밀 발굴 조사한 결과를 공개하는 자리였다. 자문위원들은 특히 금당지의 특이한 건축양식에 주목했다. 주 건물 좌우에 날개처럼 잇대어 지은 부속건물인 ‘익사(翼舍)’가 붙어있는 형태로 2차 조사에서 드러난 것이다. 건물지는 기둥뿐만 아니라 내부까지 돌을 쌓아 기초를 다진 ‘온통지정’법과 붉은색 역암과 화강암을 가구를 짜듯이 구성한 가구식 기단으로 만들었다. 온통지정은 경주 분황사지, 합천 영암사지 등과 같은 통일신라시대의 격조 높은 사찰에서만 확인되는 방식이다. 자문위원인 이경미 역사건축기술연구소장은 “붉은색 역암을 사용한 것만 봐도 건축적으로 뛰어난 분이 독창성을 발휘해 절을 지은 것”이라고 평가했다. 심정보 위원도 “출토 유물들도 아무 곳에서나 쓸 수 없는 위세 높은 건물에서만 쓰였던 자재들”이라고 강조했다.

현재까지 국내 사지에서 출토 사례가 거의 없는 유물인 ‘금동장식판’ 또한 단연 눈길을 끌었다. 이 유물은 장식판 가운데를 타오르는 불꽃을 묘사한 무늬를 투각해 화려함이 돋보인다. 보다 정확한 유물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3D 컴퓨터 단층촬영을 실시한 결과 얇은 금동판이 두 번 접혀져 있는 상태를 확인했다. 연구소 관계자에 따르면 불교의식에 사용되는 금동번(깃발)으로 쓰인 것으로 추정되는데, 국내에는 완전한 형태의 유물이 남아있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본 고찰인 호류사에 ‘금동제관정번’이란 완형품이 남아있어 당시 형태를 짐작케 한다. 이에 대해 김동현 전 소장은 “일본은 금동번이 자신들의 독창적인 유물이라고 주장하지만 이번 유물 출토로 우리가 전해줬다는 사실이 드러났다”고 말했다.

이날 자문위원들은 향후 흥전리사지를 국가 사적으로 지정하고, 체계적인 정비를 통해 지역의 전통문화 관광자원으로 활용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불교문화재연구소 조사단은 향후 연차 발굴조사를 실시해 전체 사역과 가람배치, 창폐 시기등을 보다 면밀히 밝힐 예정이다.

[불교신문3148호/2015년10월28일자]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