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이제 9월이 되어 새로운 학년이 시작되면 정신없이 시간이 지나고 어느 사이에 대부분의 대학들이 원서 접수를 마감하는 11월말이 됩니다. 미국에 오게 된 주요한 동기가 자녀 교육에 있었던 만큼 12학년 자녀들을 둔 부모님들에게는 대단히 긴장되는 시기이고 좋은 결과를 낳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하지만 미국 대학 입시는 12학년 자녀들을 둔 부모님만 신경써야 하는 것이 아니고 High School에 들어가는 순간부터 체계적으로 준비를 해야만 힘들지 않고도 좋은 결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미국 대학 입학 제도와 그것에 대한 준비 방법이 한국의 것과는 너무나도 다르기 때문에 그 차이점들을 부모님들이 분명히 아시는게 자녀들의 대학 진학에 대한 지원의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의 대학 입시제도는 간단하고 획일적 입니다. 서울대학 이든 연세대학 이든 전국적인 수능 시험에서 획득한 점수가 제일 중요합니다. 요즘에는 대학별 논술고사의 중요성이 증가한다고 들었습니다만 아직도 수능시험이 당락에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즉 단 하루에 치러지는 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얻으면 일류 대학에 입학할 수 있는 것 입니다.
고등학교 때 성적이나 등수가 고려되긴 하지만, 수능시험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중이 덜 합니다. 이런 방법은 미국에서는 GPA와 시험성적(SAT 등)을 중시하는 주립대학의 입학제도와 비슷합니다 (University of California, University of Virginia, University of Illinois 등). 학생의 개성, 특출한 재능, 과외 활동, 업적, 인터뷰, 교사의 견해, 그리고 개인의 인성 등은 한국에서 입학을 결정할 때 큰 역할을 하지 못합니다.
미국의 경우 학생들이 입학 원서를 접수하면 대학의 입학 사정관이 심사를 하는데 주립 대학은 일반적으로 학교 성적을 중심으로 하고 그외에 SAT와 같은 표준 시험 성적을 참작하기 때문에 심사 과정이 간단한 편 입니다. 또 통상적으로 같은 주의 거주 학생에게 우선적으로 입학 허가를 보내줍니다.
하지만 아이비리그와 같은 명문 사립 대학들은 다양한 입학 사정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SAT성적이 좋고 학급 성적이 좋은 경우에도 봉사 활동 내용이 빈약해서 입학이 허가되지 않았다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따라서 오늘은 미국 대학 입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항들을 하나씩 간단하게 살펴 보겠습니다.
1. 학교 성적과 학급 석차
제일 중요한 것이 고등학교 성적과 석차입니다. 특히 10 학년과 11 학년 성적을 중요시 합니다. 또 학급의 학생 수와 학급 석차도 중요시 여깁니다. 200명중 1등보다 8백명중 1등을 더 쳐줍니다. 명문 사립대학은 보통 한 고등학교에 1~2명 정도에게만 입학 허가를 주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좋은 고등학교에서 전교 10등하는 것보다 보통 고등학교에서 전교 1등하는게 더 낫습니다.
2. 표준 시험 성적
UC계 같은 주립 대학을 입학하는데는 SAT와 같은 표준 시험 성적이 절대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그래서 좋은 성적을 얻기 위해 많은 한인 학생들이 SAT 학원을 다닙니다. 2005년부터는 SAT가 더 어려워 졌기 때문에 학원을 다니는 연령이 더 내려가고 있습니다.
사립 대학에서는 이러한 표준 시험 성적을 중요한 자격 심사 요소중 하나로만 간주합니다. 하버드 대학 같은 곳에서는 SAT성적이 2400점 만점을 받은 학생들도 많이 떨어집니다.
3.에세이
주요 사립대학들은 학생들이 쓴 에세이를 통해서그 학생의 성장 배경, 성격, 도전정신, 장래 목표등을 파악하려고 애를 씁니다. 따라서 에세이는 사립대학 입학에서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005년부터는 SAT Writing 에서 간단한 에세이 시험을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대로 된 글쓰기 능력은 대학 입학뿐만 아니라 대학과 사회에서 성공적인 삶을 살기 위해서도 필수적인 것입니다.
4.봉사활동과 과외할동
여러가지 활동 보다는 한가지 활동을 얼마나 심도있고 꾸준히 하였는가를 많이 감안 합니다. 또 그 활동이 학생 자신과 학교나 지역 사회에 어떤 기여를 하였는가에 많은 비중을 둡니다.
5. 특기나 소질
사립 대학에서는 음악, 미술, 컴퓨터, 운동, 글쓰기 등 분야를 막론하고 특수한 재능을 가진 학생들을 더욱 선호합니다. 또 리더쉽, 정직성, 지역 사회나 국가에 봉사하고자 하는 열의 등을 중요하게 감안 합니다.
6. 기타
그외에도 학생이 다닌 고등학교의 평판이나 교사의 추천서, 시상과 표창 기록, 소수 민족학생, 졸업생의 자녀 등을 입학 사정시 감안 합니다.
저는 그동안의 입학 지도 경험을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폭넓게 준비하라고 권합니다. 꼭 특정 대학만을 겨냥해서 준비하는 것 보다 성적이나 과외활동 등을 폭넓게 가져갈 필요가 있는데...그렇지만 가장 우선시 되는 것은 뭐니뭐니 해도 성적입니다. 우선 UC를 기준으로 학교 성적과 SAT 성적을 제대로 준비하고 그런 다음 봉사활동이나 과외 활동 등을 잘 준비해서 사립학교도 지원해 보는 것이지 기본적이 성적이 안되는 학생이 봉사활동이나 과외활동만 잘 한다고 해서 명문 사립학교에 들어갈 수 있는게 아닙니다. 또 학교 성적과기초 학력이 튼튼해야 대학에 들어가서도 Drop하지 않고 잘 따라갈 수 있습니다....^ ^*
하지만 미국 대학 입시는 12학년 자녀들을 둔 부모님만 신경써야 하는 것이 아니고 High School에 들어가는 순간부터 체계적으로 준비를 해야만 힘들지 않고도 좋은 결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미국 대학 입학 제도와 그것에 대한 준비 방법이 한국의 것과는 너무나도 다르기 때문에 그 차이점들을 부모님들이 분명히 아시는게 자녀들의 대학 진학에 대한 지원의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의 대학 입시제도는 간단하고 획일적 입니다. 서울대학 이든 연세대학 이든 전국적인 수능 시험에서 획득한 점수가 제일 중요합니다. 요즘에는 대학별 논술고사의 중요성이 증가한다고 들었습니다만 아직도 수능시험이 당락에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즉 단 하루에 치러지는 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얻으면 일류 대학에 입학할 수 있는 것 입니다.
고등학교 때 성적이나 등수가 고려되긴 하지만, 수능시험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중이 덜 합니다. 이런 방법은 미국에서는 GPA와 시험성적(SAT 등)을 중시하는 주립대학의 입학제도와 비슷합니다 (University of California, University of Virginia, University of Illinois 등). 학생의 개성, 특출한 재능, 과외 활동, 업적, 인터뷰, 교사의 견해, 그리고 개인의 인성 등은 한국에서 입학을 결정할 때 큰 역할을 하지 못합니다.
미국의 경우 학생들이 입학 원서를 접수하면 대학의 입학 사정관이 심사를 하는데 주립 대학은 일반적으로 학교 성적을 중심으로 하고 그외에 SAT와 같은 표준 시험 성적을 참작하기 때문에 심사 과정이 간단한 편 입니다. 또 통상적으로 같은 주의 거주 학생에게 우선적으로 입학 허가를 보내줍니다.
하지만 아이비리그와 같은 명문 사립 대학들은 다양한 입학 사정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SAT성적이 좋고 학급 성적이 좋은 경우에도 봉사 활동 내용이 빈약해서 입학이 허가되지 않았다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따라서 오늘은 미국 대학 입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항들을 하나씩 간단하게 살펴 보겠습니다.
1. 학교 성적과 학급 석차
제일 중요한 것이 고등학교 성적과 석차입니다. 특히 10 학년과 11 학년 성적을 중요시 합니다. 또 학급의 학생 수와 학급 석차도 중요시 여깁니다. 200명중 1등보다 8백명중 1등을 더 쳐줍니다. 명문 사립대학은 보통 한 고등학교에 1~2명 정도에게만 입학 허가를 주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좋은 고등학교에서 전교 10등하는 것보다 보통 고등학교에서 전교 1등하는게 더 낫습니다.
2. 표준 시험 성적
UC계 같은 주립 대학을 입학하는데는 SAT와 같은 표준 시험 성적이 절대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그래서 좋은 성적을 얻기 위해 많은 한인 학생들이 SAT 학원을 다닙니다. 2005년부터는 SAT가 더 어려워 졌기 때문에 학원을 다니는 연령이 더 내려가고 있습니다.
사립 대학에서는 이러한 표준 시험 성적을 중요한 자격 심사 요소중 하나로만 간주합니다. 하버드 대학 같은 곳에서는 SAT성적이 2400점 만점을 받은 학생들도 많이 떨어집니다.
3.에세이
주요 사립대학들은 학생들이 쓴 에세이를 통해서그 학생의 성장 배경, 성격, 도전정신, 장래 목표등을 파악하려고 애를 씁니다. 따라서 에세이는 사립대학 입학에서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005년부터는 SAT Writing 에서 간단한 에세이 시험을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대로 된 글쓰기 능력은 대학 입학뿐만 아니라 대학과 사회에서 성공적인 삶을 살기 위해서도 필수적인 것입니다.
4.봉사활동과 과외할동
여러가지 활동 보다는 한가지 활동을 얼마나 심도있고 꾸준히 하였는가를 많이 감안 합니다. 또 그 활동이 학생 자신과 학교나 지역 사회에 어떤 기여를 하였는가에 많은 비중을 둡니다.
5. 특기나 소질
사립 대학에서는 음악, 미술, 컴퓨터, 운동, 글쓰기 등 분야를 막론하고 특수한 재능을 가진 학생들을 더욱 선호합니다. 또 리더쉽, 정직성, 지역 사회나 국가에 봉사하고자 하는 열의 등을 중요하게 감안 합니다.
6. 기타
그외에도 학생이 다닌 고등학교의 평판이나 교사의 추천서, 시상과 표창 기록, 소수 민족학생, 졸업생의 자녀 등을 입학 사정시 감안 합니다.
저는 그동안의 입학 지도 경험을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폭넓게 준비하라고 권합니다. 꼭 특정 대학만을 겨냥해서 준비하는 것 보다 성적이나 과외활동 등을 폭넓게 가져갈 필요가 있는데...그렇지만 가장 우선시 되는 것은 뭐니뭐니 해도 성적입니다. 우선 UC를 기준으로 학교 성적과 SAT 성적을 제대로 준비하고 그런 다음 봉사활동이나 과외 활동 등을 잘 준비해서 사립학교도 지원해 보는 것이지 기본적이 성적이 안되는 학생이 봉사활동이나 과외활동만 잘 한다고 해서 명문 사립학교에 들어갈 수 있는게 아닙니다. 또 학교 성적과기초 학력이 튼튼해야 대학에 들어가서도 Drop하지 않고 잘 따라갈 수 있습니다....^ ^*
'논술 > 입시.입학사정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 특성 학과 엿보기]인하대 아태물류학부-경향2010-09-27 (0) | 2011.09.13 |
---|---|
한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 국내 신문방송,광고홍보학 계열 평가 (2) | 2011.09.07 |
목표대학 선택과 학비 부담-파이낸셜2011-09-04 (0) | 2011.09.05 |
2005년 개정 SAT 예상문제(영어2) (0) | 2011.09.05 |
교육과 정원 내년 6269명 감축 -금강2011.09.02 (0) | 2011.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