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한국일보-EBS 공동 논술기획] 지구온난화와 해결책
한국일보 | 기사입력 2008.07.19 03:05
두괄식 전개 바람직… 대학들도 선호
사고력·논리력 빼어나도, 어색한 비유는 감점요인
논제
(가)~(다)에서 제시하는 지구온난화에 대한 해결책의 차이를 밝히고, 그 가운데 본인은 어떤 해결책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지를 그 근거와 함께 논술 하시오.
*제시문 전문은 ebsi.co.kr에서 확인 가능
학생글
(가)는 바이오 디젤을 이용하여 환경문제를 ①. ②③, 식물은 바이오 디젤에 다시 이용되는 순환이라는 방법이 이용된다. (나)는 '탄소세'
④. 1990년부터 여러 각국에서 이를 도입시키는 것을 의결하여 현제(재) 활용중인 곳도 많다. 또한 '탄소배출권 거래제도'는 교토 의정서 협력 국가 기업의 화합을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는 국제 사회 속의 정신적 협력을 요구하고 있다. 각국이 자신의 이익을 너무 주장하지 않고 공동규범과 제도의 협력을 위해 ⑤있다.
⑥. ⑧ < 많은 이들이 현재같이 기아문제가 심각한 때 식량문제도 해결되지 않은 채 이런 곡류나 식물을 사용하여 환경문제를 줄인다는 것을 ⑦ > 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별로 설득적이지 않다. >
⑨.
⑩.
세부첨삭, 이렇게 했어야
■ 1단락
우리가 다루어야 할 할 논제는 '(가)~(다)에서 제시하는 지구온난화에 대한 해결책의 차이를 밝히고, 그 가운데 본인은 어떤 해결책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지를 그 근거와 함께 논술 하시오.'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각 제시문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하고 있습니다. 다소 표현상의 문제는 있지만, 전체적인 내용은 무리 없습니다.
① '줄일 수 있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로 수정해야 합니다. 그래야 '(가)는'이라는 주어와 호응합니다.
②와 ③의 논리적 연관성이 적습니다. 만약 ②를 유지한다면, ③은 '지구온난화를 막을 수 있다.'가 되어야 논리적입니다. 만약 ③을 도출하려면 ②가 '일반 화석연료에 비해 적은 양의 이산화탄소만을 배출하며' 정도가 되어야 합니다. 현재로는 앞뒤의 내용이 논리적 연관성을 갖기 어렵습니다.
④ '적용을 담고 있다.' 정도가 되어야 합니다.
⑤ '노력하여 문제를 해결하자고 전개되어' 정도로 수정합니다.
■ 2단락
우리가 해결했어야 할 할 논제는 '(가)~(다)에서 제시하는 지구온난화에 대한 해결책의 차이를 밝히고, 그 가운데 본인은 어떤 해결책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지를 그 근거와 함께 논술 하시오.'입니다. 단락 구조를 앞부분에서는 잘 만들었으나 중반 이후는 좀 더 다듬어야 할 부분이 보이네요. 전체적으로 논제 해결은 잘 되었습니다. 표현상의 문제에 조금 더 집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수고했습니다.
⑥ 두괄식으로 자기 주장을 전개했습니다. 최근의 대학들 경향이 두괄식을 선호하고 있습니다. 적절한 구조라고 판단됩니다.
⑦ '반론'이라고 하는 게 좀 더 정확하겠습니다.
⑧ 일반적으로 거론될 수 있는 반론을 먼저 전개하고 문제점이 있음을 지적했습니다.
⑨ 구체적인 논거를 들어 자기 주장의 타당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쌀겨 이야기는 참 좋습니다. 그러나 후반부 부안의 유채꽃은 조금 어색합니다. 유채꽃을 심을 자리에 쌀이나 보리를 심을 수 있지 않느냐고 반론을 전개할 경우에는 답변이 옹색해지기 때문입니다. 식량란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는 점을 반증하기 때문이죠. 약간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⑩ 나머지 대안의 문제점을 지적했습니다. 분량도 좀 적지만, 위치가 ⑧ 앞으로 가는 게 좋겠습니다. 그래서 다른 대안들은 문제점이 있다고 일단 전개한 후, 자신의 주장인 (가)에 대한 반론을 제시하고, 그 반론이 잘못된 것임을 입증하면서 유일한 대안으로 (가)의 의미를 강조해주는 구조가 되었으면 하는 것이죠. 역시 단락 구조의 문제는 있지만, 전체적으로 전개해야 할 내용들을 잘 전개되었습니다.
김상규.서울 장훈고 교사.EBS논술위원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 인터넷한국일보(www.hankooki.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고력·논리력 빼어나도, 어색한 비유는 감점요인
논제
(가)~(다)에서 제시하는 지구온난화에 대한 해결책의 차이를 밝히고, 그 가운데 본인은 어떤 해결책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지를 그 근거와 함께 논술 하시오.
*제시문 전문은 ebsi.co.kr에서 확인 가능
학생글
(가)는 바이오 디젤을 이용하여 환경문제를 ①. ②③, 식물은 바이오 디젤에 다시 이용되는 순환이라는 방법이 이용된다. (나)는 '탄소세'
④. 1990년부터 여러 각국에서 이를 도입시키는 것을 의결하여 현제(재) 활용중인 곳도 많다. 또한 '탄소배출권 거래제도'는 교토 의정서 협력 국가 기업의 화합을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는 국제 사회 속의 정신적 협력을 요구하고 있다. 각국이 자신의 이익을 너무 주장하지 않고 공동규범과 제도의 협력을 위해 ⑤있다.
⑥. ⑧ < 많은 이들이 현재같이 기아문제가 심각한 때 식량문제도 해결되지 않은 채 이런 곡류나 식물을 사용하여 환경문제를 줄인다는 것을 ⑦ > 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별로 설득적이지 않다. >
⑨.
⑩.
세부첨삭, 이렇게 했어야
■ 1단락
우리가 다루어야 할 할 논제는 '(가)~(다)에서 제시하는 지구온난화에 대한 해결책의 차이를 밝히고, 그 가운데 본인은 어떤 해결책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지를 그 근거와 함께 논술 하시오.'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각 제시문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하고 있습니다. 다소 표현상의 문제는 있지만, 전체적인 내용은 무리 없습니다.
① '줄일 수 있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로 수정해야 합니다. 그래야 '(가)는'이라는 주어와 호응합니다.
②와 ③의 논리적 연관성이 적습니다. 만약 ②를 유지한다면, ③은 '지구온난화를 막을 수 있다.'가 되어야 논리적입니다. 만약 ③을 도출하려면 ②가 '일반 화석연료에 비해 적은 양의 이산화탄소만을 배출하며' 정도가 되어야 합니다. 현재로는 앞뒤의 내용이 논리적 연관성을 갖기 어렵습니다.
④ '적용을 담고 있다.' 정도가 되어야 합니다.
⑤ '노력하여 문제를 해결하자고 전개되어' 정도로 수정합니다.
■ 2단락
우리가 해결했어야 할 할 논제는 '(가)~(다)에서 제시하는 지구온난화에 대한 해결책의 차이를 밝히고, 그 가운데 본인은 어떤 해결책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지를 그 근거와 함께 논술 하시오.'입니다. 단락 구조를 앞부분에서는 잘 만들었으나 중반 이후는 좀 더 다듬어야 할 부분이 보이네요. 전체적으로 논제 해결은 잘 되었습니다. 표현상의 문제에 조금 더 집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수고했습니다.
⑥ 두괄식으로 자기 주장을 전개했습니다. 최근의 대학들 경향이 두괄식을 선호하고 있습니다. 적절한 구조라고 판단됩니다.
⑦ '반론'이라고 하는 게 좀 더 정확하겠습니다.
⑧ 일반적으로 거론될 수 있는 반론을 먼저 전개하고 문제점이 있음을 지적했습니다.
⑨ 구체적인 논거를 들어 자기 주장의 타당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쌀겨 이야기는 참 좋습니다. 그러나 후반부 부안의 유채꽃은 조금 어색합니다. 유채꽃을 심을 자리에 쌀이나 보리를 심을 수 있지 않느냐고 반론을 전개할 경우에는 답변이 옹색해지기 때문입니다. 식량란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는 점을 반증하기 때문이죠. 약간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⑩ 나머지 대안의 문제점을 지적했습니다. 분량도 좀 적지만, 위치가 ⑧ 앞으로 가는 게 좋겠습니다. 그래서 다른 대안들은 문제점이 있다고 일단 전개한 후, 자신의 주장인 (가)에 대한 반론을 제시하고, 그 반론이 잘못된 것임을 입증하면서 유일한 대안으로 (가)의 의미를 강조해주는 구조가 되었으면 하는 것이죠. 역시 단락 구조의 문제는 있지만, 전체적으로 전개해야 할 내용들을 잘 전개되었습니다.
김상규.서울 장훈고 교사.EBS논술위원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 인터넷한국일보(www.hankooki.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중등논술자료 > 중등논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터벤야민 (0) | 2008.09.26 |
---|---|
교과서로 논술잡자 - 투표율 하락의 문제점과 원인(부산2008/08/26) (1) | 2008.09.19 |
외모지상주의 이래서 문제구나(한겨례2008.1.15) (0) | 2008.01.17 |
논술 답안 작성 10 STEP demosnie (2005-12-06 ) (0) | 2007.07.01 |
통합논술의 기초-요약과 논증(강원2007-3-13) (0) | 2007.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