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캐릭터 천국’ 미국서 러브콜 받은 뿌까는? | |
‘당차고 깜찍한 동양소녀’ 이미지 유럽·남미·중국 이어 미국서 러브콜 나라별 상품 차별화·품질관리가 비결 | |
![]() | ![]() ![]() |
뿌까가 누구냐? 중국인인 척하지만 한국 태생이다. 다른 캐릭터들처럼 애니메이션으로 시작하지 않고 처음부터 캐릭터로만 치고 나갔다. 그런 ‘거꾸로 전략’으로 이 소녀, 해외에서부터 인기를 얻었다. 3000여종 제품에 얹혀 150여개 나라에서 연간 3천억원 어치가 팔려 로열티로만 한 해 70억원을 벌어들인다. 상품 매출의 97%가 해외에서 거둬들이는, 해외에서 성공한 첫 한국 캐릭터다. 미국이 어디냐? 디즈니와 루니 튠즈, 세서미 스트리트가 버티고 있는 최대 시장이다. 세계 각국의 성공한 캐릭터들이 진입하려는 이 시장에 뿌까는 초청을 받아 들어간다. 국내 캐릭터로는 사실상 첫 본격적인 미국 진출이다. 뿌까 아빠인 김유경 부즈 부사장은 “미국에서도 여성 패션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한 캐릭터는 ‘헬로키티’ 정도”라며 “옷, 가방 등 패션상품에 강한 뿌까가 승산이 있다고 본 미국 업체가 계약을 제안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뿌까는 6월 미국 라이센싱쇼에서 그곳 제조업체들에게 선보인 뒤 연말께부터 상품으로 시장에 깔리게 된다. 뿌까의 힘은 어디서 나오는 걸까? 이원희 콘텐츠진흥원 과장, 박성식 문화기획자 등의 도움말을 종합해 2000년생 여덟살 캐릭터 뿌까에게 들어봤다.
이름 뿌까, 아기들 소리 “푸카푸카”에서 따왔대. 발음이 웃기고 쉽잖아. 아빠는 남자 친구 가루도 만들어주셨어. 사랑이야말로 만국 공통어니까.
■ 로마에선 로마법으로=나는 한국 캐릭터계의 베이비 붐 세대야. 우비 소년, 마시마로, 졸라맨이 내 또래지. 우리나라에선 졸라맨보다 못한 넘버5였어. 그런데 외국 사람들은 내가 좋다고 난리야. 나라별 입맛대로 맞춰줬거든. 중국에선 내가 중국 캐릭터인 줄 알고 아예 ‘중궈와와’(중국인형)로 불러. 중국은 불법복제 천국이잖아. 그래서 헬로키티처럼 전용 매장을 만들었어. 그러면 다른 데서 파는 게 다 불법이 되어서 단속이 쉬워져. 지금 내 매장이 중국에 몇 곳쯤 될 것 같애? 200곳이야. 유럽에선 내가 독특한 동양애라고 좋아해. 미국 캐릭터엔 반감이 있거든. 유럽 여자애들은 내 ‘여성 파워’에 반해. 유럽에서만 1년에 180억원어치가 팔린대. 남미에서는 내 적극적인 성격이 자기네와 비슷하다고 좋아해. 내가 가루한테 먼저 달려드는 장면을 상품에 붙였더니 불티가 났어. 다른 캐릭터는 애들 물건에 붙는데 난 패션하고 잘 맞더라고. 지금은 밥솥에 미니오토바이에 별의별 물건에 다 붙지만. 나라마다 주력상품도 달라. 스페인, 물놀이 기구야. 영국, 10대용 화장품 세트가 인기지. 남미에서는 노래반주기가 잘 나가. ■ 키티, 미키는 내 스승들이야=헬로키티가 변변한 애니메이션 없이 34년 사랑받은 비결? 철저한 상품 관리야. 키티를 만든 산리오가 무지 깐깐하거든. 키티 상품은 살 만하다는 인식을 만들었어. 미키는 디즈니 것이니까 미디어 콘텐츠로 승부했지. 나? 둘 다 하려고. 내가 싸서 인기인 줄 알아? 키티보다 5~7% 더 비싸. 각 나라 제조사들이 상품을 디자인해오면 본사가 단계별로 확인해. 지난해엔 애니메이션 〈짜장소녀 뿌까〉로 115 나라에서 방송 탔어. 게임 〈뿌까 레이싱〉도 타이에서 팔렸다구. 사람들은 캐릭터가 우려먹기 좋다고 생각하는데, 쉽지 않거든! 변해야 살아. 1년에 두번씩 전 상품을 싹 새 단장해. 미디어 환경이 변하니 거기에도 맞추는 거야. 지금 닌텐도 디에스용 게임을 만들고 있고, 이번달엔 대구에 뿌까 놀이공간을 만든대. 사랑받는 것보다 이어가는 게 더 어렵더라고.
김소민 기자 prettyso@hani.co.kr 사진 부즈 제공
[한겨레 관련기사] |
'미술교과교육연구회 > 그림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래 동화 읽으니 창의·논리력 절로”(문화2008-01-30 ) (0) | 2008.03.09 |
---|---|
인물백과 누구일까요? (0) | 2008.03.09 |
동요 ‘햇볕은 쨍쨍’ 표절 의혹 -경향2007년 09월 18일 (0) | 2008.03.07 |
등산복시장 봄 기지개 “어린이 고객을 잡아라”(문화2008-02-29) (0) | 2008.03.07 |
`톡톡` 튀는 창의적인 그림책이 좋다(프레시안2006.4.18) (0) | 2006.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