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제6회 광주비엔날레] 볼만한 작품들 '버릴 것 없는' 잡동사니 모아 中현대사 한눈에 '보디 옵푸스케터스' 모니터로 불상에 깃든 사유 관찰 | |||||||||||||||||
이번 광주비엔날레에서는 중국 작가 송동(40)의 ‘버릴 것 없는’과 한국계 미국인 마이클 주의 ‘보디 옵푸스케터스’가 대상 공동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버릴 것 없는’은 작가의 어머니가 30여 년간 모아온 다양한 물건들을 정리하고 분류해서 늘어놓은 대형 설치작품으로, 그 자체가 개인사의 요약이자 중국 현대사의 축약본이다. ‘보디 옵푸스케터스’는 불상(반가사유상)과 모니터 설치작품으로, 모니터로 불상의 여러 부분을 보여줌으로써 반가사유상에 깃든 사유를 공간으로 확장시키고 있다. 아시아 작가들은 자국의 기억을 여러 방식으로 드러내고 있다. 예컨대 라오스 출신인 봉 파오파니트의 ‘네온 라이스 필드’는 밭고랑 모양으로 길게 쌀을 쌓고 각 이랑의 골에 네온으로 선을 질러 세련된 추상 조형을 설치했다. 동서가 상호침투하는 지구촌의 오늘을 다루는 작품 가운데는 첨단 기술을 활용한 것들이 많다. 인공위성으로 세계에서 가장 푸른 하늘을 찾아내 실시간으로 사각 스크린에 보여주는 ‘가장 푸른 하늘’(리즈 아우토제나 & 조슈아 포트웨이)이 대표적인 작품이다. 전시장 안팎에서 등에 커다란 생수통을 매고 돌아다니는 흰옷 차림의 사람들을 보면 따라가보라. 그들은 하늘이 뻥 뚫린 감옥 같은 공간에서 열심히 물을 마신 뒤 빈 병에 소변을 담아서 빈틈없이 늘어놓는다. 코카콜라와 펩시의 생수병 2만6,000개를 보름 동안 설치하는 작업이 끝나면, 병 뚜껑이 그리는 베트남 국기의 노란 별이 성조기의 흰 별로 바뀐다. 글로벌기업으로 대표되는 미국의 세계화 압력에 대한 시각적 저항이라고 하겠다. 냄새를 전시한 작가도 있다. 시셀 톨라스는 광주 남자들의 땀 냄새를 채집해서 ‘공포 5’라는 작품을 만들었다. 왜 공포인지는 분명치 않지만, 벽을 만지면 땀 냄새가 진동한다. 이밖에 검은 실을 거미줄처럼 쳐서 어두운 숲을 만들고 그 안에 피아노를 가둔 일본 작가 시하루 시오타의 ‘침묵 속에서’, 관객이 이마에 센서를 붙이고 의자에 앉으면 그의 뇌파에 따라 바닥 영상에서 연꽃이 피고 물고기가 헤엄치게 만든 중국 작가 슈만 린의 ‘내공’은 조용한 성찰의 시간을 제공하는 작품이다. | |||||||||||||||||
입력시간 : 2006/09/08 19:08 |
'미술교과교육연구회 > 그림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잡학사전 (0) | 2006.09.21 |
---|---|
[제6회 광주비엔날레] 아시아 미술의 힘을 세계 강타할 열풍으로(한국일보) (0) | 2006.09.10 |
몸으로 숫자쓰기 (0) | 2006.09.10 |
예쁜 떡 (0) | 2006.09.10 |
위작 시비로 ''쓸쓸한 이중섭 50주기(한국''2006/09/04) (0) | 2006.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