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중앙일보 2005.10.03 04:18:49]
최근 조기 영어 교육 등으로 아이들의 언어 습득 부담이 늘어난 데다, 컴퓨터 게임 등으로 대화가 단절된 사례가 많아지면서 말더듬이가 늘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정보문화진흥원에 따르면 약 208만 명의 청소년이 인터넷 중독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2004년 서울대병원 언어치료실에 온 1623명의 환자 가운데 20% 정도인 325명이 말을 더듬는 증상을 보였다. 이는 2000년보다 두 배 정도 늘어난 수치다.
이화여대 심현섭(언어병리학) 교수는 "현재 국내 인구의 1%가량인 40만여 명이 말더듬이인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들은 정상적인 사회 활동에 어려움을 겪으며, 심할 경우 대인기피증에 시달리거나 자살을 기도하는 등의 증상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대를 졸업한 김모(31)씨는 지난 20여 년을 말더듬이로 살았다. 대학 졸업 후, 심하게 말을 더듬어 취직에 연거푸 실패하자 3년 전부터 집안에 틀어박혀 술만 마셨다. 김씨는 결국 알코올 중독에 정신이상 증세를 보여 최근 정신병원을 찾았다.
언어치료 전문가들은 "부모 가운데 한 명이 말더듬이일 경우 자녀도 말더듬이가 될 확률이 높지만, 과도한 스트레스 등 환경적 요인도 무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말더듬증은 주로 2~7세 때 발생하고, 4세 이전에 30~80%는 자연 치료된다. 그러나 약 10%는 성인이 돼서도 완치가 어렵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말더듬증 치료를 전문으로 하는 신 언어임상연구소 신문자 소장은 "아직 말이 서툰 아이들이 과도한 외국어 공부에 시달리는 등의 이유로 말더듬이가 점차 늘고 있다"며 "말을 더듬는 아이에게 말을 하도록 재촉하지 말고 가족의 대화 시간을 늘리면 말더듬증 회복에 도움이 된다"고 충고했다. 가능하면 서로 천천히 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줘야 한다는 것이다.
'뉴스.기타 > 교육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조기 교육의 문제점(2004-08-04 ) (1) | 2006.05.17 |
---|---|
취학전 아동 학습스트레스로 (매일경제 2003-07-29 ) (0) | 2006.05.17 |
조기 영어교육 뇌발달 지장(인터넷 신문 TV리포트2005-04-18 ) (0) | 2006.05.17 |
‘스승의 날’ 첫 제안 주인공 (경향2006년 05월 15일) (0) | 2006.05.15 |
학원 중간에 그만둬도 수강료 되돌려 받는다(파이낸셜2006-05-15 ) (0) | 2006.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