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기업은 왜 사회에 좋은 일을 할까요?
NIE, 초등NIE, 기업, 사회, 사회공헌, 전략, 환경

기업의 사회공헌은 오늘날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 됐습니다. 기업에게 사회공헌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생존을 위한 필수 요소가 된 거죠. 기업은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 결과로 이윤을 얻는 영리조직입니다. 법을 어기지 않는 이상 이윤을 한껏 늘리려는 기업의 모든 활동은 법적으로 보장받죠.
하지만 기업의 성장과 빠른 산업화 과정을 겪어 온 많은 자본주의 국가에서는 눈부신 발전 뒤에 실업이나 빈곤의 심화, 환경 훼손 같은 어두운 그림자도 뒤따랐습니다. 물론 이런 문제들이 기업의 탓으로만 돌릴 일은 아니지만 사회 구성원인 기업이 이를 외면할 수는 없는 일입니다. 경제활동의 주체인 개인들의 몰락이 결코 기업에 유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건전한 경제활동 능력을 갖춘 개인이 늘어야 꾸준한 기업 활동도 가능합니다. 도움이 필요한 곳에 제때 알맞게 지원해 그들이 건전하게 소비하는 구매력을 회복할 수 있다면 다시 기업의 경제활동에 도움이 되는 바람직한 순환이 이뤄지게 됩니다.
기업의 사회공헌은 점차 확산되고 있는 사회적 문제들을 자신들의 일로 받아들이고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노력을 보이는 데에서 시작됩니다. 다행히 요즘엔 기업의 역량을 활용해 사회에 좋은 일을 하면서 경쟁력도 높이는 ‘전략적 사회공헌 활동’에 관심을 갖는 기업들이 부쩍 늘고 있습니다. 기업이 다양한 사회적 활동을 벌임으로써 개인들에게 인식된 기업의 명성은 개인들의 구매 결정에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될 수 있죠. 기업이 윤리적이고 정직한지 혹은 개인의 요구에 잘 반응하는지 가늠하는 개인의 인식이 기업에게는 큰 장점이 됩니다. 하지만 상업적인 이익만을 추구하는 기업 이미지는 기업에게 큰 단점으로 작용될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겁니다.
실제로 요즘 기업들은 기술 평준화, 짧아진 상품주기,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 변화, 광고비 상승 등으로 치열한 생존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개인들의 소비 충성도를 유지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죠. 변별력이 떨어진 상품의 물리적인 특성보다 사회적인 속성이 상품 구매에 큰 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맞은 겁니다. 이런 상황에서 기업은 이미지를 바꿔 소비 충성도를 유지할 수 있죠. <아하경제 109호 1면 참조>

[자료2] 기업의 ㉠에도 특색이 있다
기업 경영에서 사회적 책임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늘고 있습니다. 기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좋은 제품을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회적 문제 해결에 참여해 소비자의 신뢰를 얻는 것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사회공헌 활동이 기업경쟁력의 원천으로 인식되면서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에 쏟는 관심과 참여도 꾸준히 늘고 있죠. 사회공헌 활동을 전략적으로 활용해 기업의 꾸준한 성장을 가능케 하려는 움직임입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에서 발간한 ‘20 10 사회공헌백서’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 지출 금액은 2008년 2조1천601억 원에서 2009년 2조6천518억 원, 2010년 2조8천735억 원으로 매년 늘고 있습니다.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0.24%로 미국(0.11%)이나 일본(0.09%)보다 높은 편이죠.
기업의 전략적 사회공헌 활동은 기업이 받는 경제적 혜택과 사회적 혜택, 즉 수혜자의 만족도나 사회 문제 해결 정도에 따라 공유가치형, 시장창조형, 문제해결형, 후원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기업은 이런 네 가지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특성과 상황에 따라 직접 운영하거나 외부의 비영리 조직이나 사회단체에 대행하는 방식으로 사회공헌 활동에 참여합니다.
국내 기업의 대표적인 사회공헌 사례로 꼽히는 ‘1사1촌 운동’ ‘다문화가정 지원’ ‘사랑의 집짓기, 집수리’ ‘환경 캠페인’ 등에서 이런 인식은 고스란히 묻어납니다. 1사1촌 운동은 2003년부터 농촌과 도시의 교류 활성화를 위해 시작된 사업이죠. 기업 한 곳과 마을 하나가 결연해 일손 돕기, 농산물 직거래, 농촌 체험과 관광, 마을 가꾸기 같은 다양한 교류활동을 펼쳐 기업은 이미지를 높이고 마을은 지역 농산물의 브랜드 가치를 높여 서로 도움이 되는 상생운동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아하경제 109호 3면 참조>
[예시문제]
1. 에 들어갈 용어를 써 보세요.
2. [자료1]에서 ‘기업’의 뜻을 찾아 써 보세요.
3. 기업의 사회공헌을 설명한 것으로 바른 것을 고르세요.
□ 경제활동의 주체인 개인들의 몰락은 기업 활동에 유리하지 않다.
□ 건전한 경제활동 능력을 갖춘 개인이 늘어야 꾸준한 기업 활동도 가능하다.
□ 기업이 사회의 선량한 구성원으로서 책임을 보여줄 때 기업이 얻는 부정적인 효과가 크다.
□ 기업이 사회적 문제 해결에 참여해 소비자의 신뢰를 얻는 것도 중요해지고 있다.
□ 국내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 지출 금액은 2010년 2조8천735억 원으로 매년 줄고 있다.
□ 기업이 사회공헌 활동에 쏟는 관심과 참여도가 꾸준히 늘고 있다.
4. [자료1, 2]에서 ‘기업의 전략적 사회 공헌 활동’의 의미와 유형을 써 보세요.
※ 경제 서술형
여러분이 기업인이라면 사회공헌 활동으로 무엇을 하고 싶은지 써 보세요.
[예시답안]
1. 사회공헌
2.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 결과로 이윤을 얻는 영리조직
3. -경제활동의 주체인 개인들의 몰락은 기업의 활동에 유리하지 않다.
-건전한 경제활동 능력을 갖춘 개인이 늘어야 꾸준한 기업 활동도 가능하다.
-기업이 사회적 문제 해결에 참여해 소비자의 신뢰를 얻는 것도 중요해지고 있다.
-기업이 사회공헌 활동에 쏟는 관심과 참여도가 꾸준히 늘고 있다.
4. 기업의 역량을 활용해 사회에 좋은 일을 하면서 경쟁력도 높이는 것으로 기업이 받는 경제적 혜택과 사회적 혜택, 즉 수혜자의 만족도나 사회 문제 해결 정도에 따라 공유가치형, 시장창조형, 문제해결형, 후원형으로 나눌 수 있다.
[경제 서술형]
고아원과 자매결연으로 매월 1회씩 봉사활동을 하고 우리 기업의 물건을 한 개 팔 때마다 10원씩 적립해 고아원 적립기금을 마련해 고아원의 어린이들이 어른이 될 때까지 지원하고 싶습니다.
< 한국초등경제교육연구회 / info@ahaeconomy.com > 2012-02-20 15:37
'논술 > 초등논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솝 우화로 배우는 눈높이 논술] 30. 두려운 것은 매한가지-소년한국2014.10.26 (0) | 2014.11.02 |
---|---|
적선지가 필유여경(積善之家必有餘慶)-소년한국2013.11.3 (0) | 2013.11.05 |
게임은 중독성이 가장 큰 문제랍니다-아하경제2012.11.24 (0) | 2013.01.12 |
돈이 돈을 낳아요!-아하경제 2012-12-24 (0) | 2013.01.12 |
올해 가장 기억에 남는 경제 이슈는?-아하경제2013-01-02 (0) | 2013.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