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왜 자기주도학습이 필요할까?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교육 선진국일수록, 세계적인 명문대일수록 매우 중요하게 평가하는 요소이다. 그것은 자기주도학습 능력이 단기적으로는 입시를 위해서지만 장기적으로는 성공의 방법을 배울 수 있고, 국제 사회, 미래 사회에 필요한 능력이기 때문이다.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갖는다는 것은 공부를 위해 필요한 시간 관리, 감정 관리, 스트레스 관리 능력을 갖는다는 것과 같다. 이런 능력 관리는 공부뿐 아니라 다른 일에서도 발휘된다. 때문에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개인적인 성공뿐 아니라 국제 사회, 미래 사회가 원하는 인재로 성장하는 밑거름이 된다.
2. 자기주도학습에도 도움이 필요하다
자기주도학습이라고 하면 다니던 학원이나 과외를 모두 끊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자기주도학습은 자신의 의도에 따라 공부를 하는 것이지 아무런 도움을 받지 않는다는 뜻은 아니다. 사교육도 자기주도 학습에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단 왜, 얼마 동안,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구체적으로 생각해야 한다.
3. 특별한 비법으로 한 번에 이룰 수 없다 자기주도학습은 공부의 방법을 모두 바꾸는 것이 아니라 질적인 차이를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갑자기 학원에 안 가거나 새 책을 사거나 하는 변화를 주어야 하는 것이 아니다. 지금 나의 일상, 내 숙제, 내가 해야 할 공부 의 토대 위에서 태도를 바꾸는 것부터 시작된다. 남보다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해서가 아니라, 최선을 다했다는 것을 자신이 느끼고, 스스로 정한 기준을 충실히 실천했다는 자기만족에서 다음 공부를 계속 이어 가게 만드는 자기주도학습 능력이 생긴다.
4. 바로 실천할 수 있는 공부 계획 4원칙
첫째, 시간 관리가 가장 중요하다. <시간 사용 기록표>를 만들면 자신이 하루를 어 떻게 보내는지 알 수 있다. 공부 시간을 늘리는 것보다 생각 없이 버리는 시간을 챙겨, 모든 시간을 의식적으로 소비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둘째, 공부는 양보다 질이다. 짧더라도 자신이 집중 가능한 시간만큼 토막 공부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각자 집중 가능 시간을 측정해 그 시간만큼만 토막 공부를 한 후 1~2분 정도의 간단한 휴식을 취한다. 이런 식으로 반복해보면 한 시간을 쭉 이어서 공부하는 것보다 10분짜리 공부를 6개 모은 것의 공부양이 훨씬 많다. 집중력은 근육과도 같다. 집중 시간을 조금씩 늘리는 연습을 하면 나중에는 아주 긴 시간 동안 집중해서 공부를 해낼 수있게 된다.
셋째, 계획을 세우고도 그대로 실천하지 못하는 이유는 쉬는 시간을 고려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평소 습관에 맞춰 학습 시간과 쉬는 시간을 적절하게 나눠야 공부 계획에 실패가 없다.
넷째, 자신의 공부 계획을 계속 수정한다. 계획했던 대로 실천이 잘 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는 실천하지 못한 이유를 간단히 메모하고, 비슷한 이유가 반복되면 계획을 수정한다. 계획했던 것 중 실천하지 못한 공부는 주말에 3시간 정도 시간을 할애해 해결한다. 밀린 공부가 없다면 주말은 열심히 노력한 자신에게 주는 선물인 셈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