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모 유형(초등교사를 위한 학부모 상담 길잡이 참고) | 부모와의 관계형성

2012.04.10 17:26

 

1. 자녀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교사가 아이를 미워한다고 여기는 학부모

2. 교사나 학교를 불신하고 부정적 태도를 보이는 학부모

3. 교사에게 폭언을 하거나 난동을 부리는 학부모

4. 자녀에게 무관심한 학부모

5. 자녀의 특수교육(치료) 권유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학부모

6. 자녀에게 지나친 간섭과 집착을 하는 학부모

7. 정신적 질환으로 자녀를 돌보지 않는 학부모

8. 자녀에게 권위가 없는 학부모

9. 촌지나 과다한 선물을 하는 학부모

10. 동료교사가 학부모인 경우

11. 학교보다 사교육을 중시하는 학부모/학교나 교사의 권위를 존중하지 않는 학부모

12. 교사에게 지나치게 친근하게 다가서는 학부모

 

----------------

초등교사를 위한 학부모상담 길잡이(김혜숙. 최동옥 공저, 학지사)란 책에서 나온 분류인데요,

제가 지금은 각 유형에 맞는 상담방법에 대해 자세히 말씀은 못드리는게 아쉽네요.

하지만, 적어도 제가 매년 학부모님들과 1인당, 평균 2시간 이상의 통화, 학급 구성원 절반 이상의 학부모와 면대면으로 평균 90분 이상 상담한 노하우로 볼 때 저 책을 미리 보았다면, 그동안 그렇게 학부모를 이해 못하거나, 교사와 학부모가 관점이 달라서 서로 평행선을 걷거나 불신하는 일은 훨씬 줄어들었을 거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나름대로 학부모들과 상담을 잘했다고 생각했는데, 역시 모든 것이 그렇듯 이론과 실천이 병행되고, 검증되고, 새롭게 통합되야 좋은 관계, 좋은 교육이 가능해지네요.   

 

--------------

*학부모 상담의 원리

1. 학부모와 교사는 아동의 성장을 위해서 함께 노력해야 할 동료이며 한 팀이다.

2. 부모의 불편한 심경을 이해하라.

3. 성공적인 학부모상담은 평소의 준비에 터에서  이루어진다.

4. 학부모내담자의 유형에 따라서 접근을 달리하라.

5. 아동과 부모의 특성 및 상황에 따라서 다양하게 접근하라.

6. 다룰 수 있는 문제로 만들고, 우선순위를 정하라.

7. 추수적 만남을 통해 학부모를 지원하라.

8. 주변 자원을 활용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