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현대미술관에서는 초·중등교사를 대상으로 <교사워크숍>을 운영합니다.

디지털 환경에서 미술관교육의 동향 및 방향을 공유하며 동시대 미술을 이해하고 미술관 관련 직업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이론 강의와 작가워크숍, 미술관 직업별전문가의 만남을 준비하였습니다. 학교 현장에서 확장된 예술교육 경험의 기회를 마련하고 교과 연계 및 진로교육에 많이 활용이 될 수 있도록 관심있는 교사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개 요

교 육 명: 2021<교사워크숍> 프로그램

- 디지털 시대의 예술적 상상력

일 시: 2021. 8. 2.() ~ 8. 3.() 10:00~16:30

대 상: 전국 초·중등교사

내 용: 디지털 환경 및 기술사회에서 필요한 예술적 상상력과 유연한 사고를 키우기 위한 실시간 온라인 워크숍

신청기간: 2021. 7. 22.() ~ 26.() (5일간)

신청방법: 홈페이지 접수 (선착순 접수)

국립현대미술관 홈페이지 접속(http://mmca.go.kr) 교육 참여신청 청소년/교사 교사워크숍

교육방법: 온라인 플랫폼(Zoom) 활용 수업

참 가 비: 무료

문 의: 국립현대미술관 미술관교육과

(82일차 프로그램 02-2188-6095/83일차 프로그램02-3701-9607)

 

세부내용

일시 내용 강의자 수강인원
8.2.
()
10:00~
11:30
(90)
[강연1]
팬데믹 경험을 통한 디지털 시대 예술교육의 과제
- 온라인 교육 전환 동향과 디지털 미디어 활용 미술교육 이해하기
계보경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정책연구부장
50
11:30~
12:10
(40)
[진로탐색1]
기록물관리자(Archivist)를 만나다
- 미술관 현장 전문가와의 만남으로 미술자료 기록과 관리 이해하기
이지희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30
13:00~
15:00
(120)
[작가 워크숍1]
불규칙한 세상에서 규칙 발견하기
- 디지털 세계에서 느끼는 나의 감정을 패턴 및 오브제로 만들어 현실세계를 물질화시키는 워크숍
*개인 준비물 지참(색연필, 물감, 싸인펜 등 채색도구)
빠키 작가 20
15:00~
15:40
(40)
[진로탐색2] 보존전문가(Conservator)를 만나다
- 미술관 현장 전문가와의 만남으로 미술작품 보존과 수복 이해하기
범대건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30
15:50~
16:30
(40)
[미술관교육 워크숍1]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미술관교육1
-온라인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소장품 감상과 문화접근성 교육 사례공유
김유미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30
8.3.() 10:00~
11:30
(90)
[강연2]
불확실한 시대를 돌파하는 예술적 상상력
- 디지털 사회에서 예술적 상상력을 통한 사유와 세계 확장하기
오종우
성균관대학교 러시아어문학과
50
11:30~
12:10
(40)
[온라인 전시 투어]
<MMCA 이건희컬렉션 특별전: 한국미술명작>
- 20세기 초반에서 중반까지 한국 근대 작품 중심으로 전시된 작품을 키워드를 통해 온라인으로 전시 감상
변지연 교육 강사 100
13:00~
15:00
(120)
[작가 워크숍2]
관계 역전에서 발견하는 새로운 소통의 방식
- 관점의 전환을 통해 단순한 감상자에서 새로운 방식의 창작주체 경험하기
박관우 작가 20
15:00~
15:40
(40)
[진로탐색3] 전시기획자(Curator)를 만나다
- 미술관 현장 전문가와의 만남으로 전시 기획 이해하기
성용희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30
15:50~
16:30
(40)
[미술관교육 워크숍2]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미술관교육2
- 비대면 환경에서 학교연계 감상 교육자료 및 진로관련 교육 사례 공유
심효진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30

일정과 내용은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강의자 소개

성 명 소 속 경 력
계보경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정책연구부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 박사. 전 한국교육방송원 부설 멀티미디어교육지원센터 연구원. 공저 교수 메시지 설계, 스마트 교육혁명이 있다. 디지털 시대 미래 교육의 과제와 증강현실 콘텐츠 기반 수업의 학습과 효과, 비주얼 리터러시 등을 연구했다. 학교 및 수업 환경에서 디지털 기기 활용과 원격 수업의 질적 제고를 탐구하고 있다.
오종우 성균관대
러시아어
문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노어노문학과 러시아 문학 박사. 성균관대학교 티칭어워드 수상. 예술이 인류 역사에서 존속하는 이유를 탐구하며 미래 세대를 위한 예술의 쓸모를 연구한다. 기술 중심사회에서 인간다움을 위한 원동력으로 상상과 사유에 대해 탐색한예술적 상상력(2019, 어크로스)를 펴냈고 거장의 작품을 통해 예술적 모험으로 인도한예술 수업(2019, 어크로스)을 썼다. 러시아 거장들, 삶을 말하다, 체호프의 코미디와 진실, 대지의 숨, 러시아의 숨표들를 썼다.
빠키 작가 회화, 그래픽디자인, 사운드, 설치, 영상, 인터랙티브 미디어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서울, 암스테르담, 베를린, 태국, 뉴욕 등지에서 다수의 전시를 진행했으며 백남준아트센터, 국립한글박물관 등 국내 전시에서 작가의 상상을 유쾌한 시각적 언어로 선보여왔다. 최근에는 아르코예술극장에서 <리버런: 불완전한 몸의 경계>(2021) 공연을 선보였고, <규칙과 불규칙의 리듬>(2021) 전시를 통해 작품을 소개했다.
박관우 작가 홍익대학교에서 디지털미디어디자인 및 영국 RCA 조소 전공. 인공지능 시대 인간의 자의식을 관찰하고 새로운 기술을 통해서 인간과 비인간을 규정짓는 경계를 요량하는 작업을 선보이고 있다. 영국의 Ashurst Emerging Artist Prize, 현대자동차 제로원 크리에이터, 퍼블릭아트 2021뉴히어로 에 선정되었고 인사미술공간, 우민아트센터 전시 참여했다.

 

유의사항

- 원하는 프로그램별 개별 신청하여야 합니다. (중복 가능)

-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시행되는 교사워크숍은 자율연수적 성격으로 학점인정 및 NEIS등록이 되지 않습니다. 또한 확인증이 발급되지 않습니다.

- 신청 접수 후 완료 문자가 발송됩니다. 완료 문자를 받은 교사에 한해서만 참여가 가능합니다.

-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은 모두 기록 녹화됩니다. 교육시 캡쳐한 사진 및 영상은 미술관 발간자료 및 홍보, 연구 목적 등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문 의: 국립현대미술관 미술관교육과

(82일차 프로그램 02-2188-6095/83일차 프로그램02-3701-9607)

2021년 미로초 방과후학교 비대면 수업공개 

https://miro.gwe.es.kr/boardCnts/view.do?m=0201&boardID=36904&boardSeq=7876843&lev=0&action=view 

 

미로초등학교 홈페이지

알림마당 공지사항 - 2021년 미로초 방과후 학교 비대면 수업공개 인쇄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 유투브 인스타그램 공지사항 -->

miro.gwe.es.kr

과목명 유튜브 주소
방송댄스 (34, 56) https://youtu.be/4Oo24Y3QMqM
사물놀이(34, 56) https://youtu.be/9gmv7TuxBuw
스토리텔링영어(12, 34, 56) https://youtu.be/V7mryAiNBUQ
우쿨렐레(34, 56) https://youtu.be/DFiSj97MEvI
전래놀이(12, 34) https://youtu.be/hfW6qUIiB3E
창의미술(12) https://youtu.be/XbJ9CsOb1WU
코딩(34, 56) https://youtu.be/jAi3JQUIAWU
통통영어(12, 34, 56) https://youtu.be/GXxCnI1Wd6g
판화(56) https://youtu.be/DlIq-tZVHbU
하모니카(3, 4, 56) https://youtu.be/OCBhfdaInJQ

 

 

요청하신 페이지를 찾을수 없습니다

요청하신 페이지를 찾을수가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유효하지 않은 요청입니다. 요청하신 페이지가 변경이 되었거나 삭제되어 페이지를 찾을 수 없습니다. 입력하신 주소가 정확인지 다시 한번

miro.gwe.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