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 용어를 알자

  • 기자명 홍보영 
  •  입력 2013.05.02 11:22
  •  댓글 1

서술형 답안이 화두가 되고 융합형 교육이 늘어나면서 논술에 대한 관심이 다시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논술이라는 분야는 부모님들께서 매우 낯설게 느끼는 과목입니다. 학부모님 세대에는 논술과목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어린이경제신문에서는 부모님들을 위해서 논술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알 수 있도록 3회에 걸쳐서 논술에 대해서 알기 쉽게 소개합니다. <1. 논술용어 2. 논술의 종류  3. 논술문 쓰기 >

 

1. 논제  논술에서 물어보고자 하는 문제입니다. 즉 논술 문제를 줄여서 논제라고 말합니다. 논술에서 중요한 것은 논제를 정확히 파악하는 일입니다. 

 

2. 논지(논점)  다른 말로 하면 글의 취지입니다. 결국 글을 통해서 지은이가 말하고자 하는 바입니다. 예를 들어 “운동 좀 해라”라고 말하는 것은 꼭 운동선수가 되라는 말이 아니고 “살을 빼라”는 취지가 담겨 있는 것입니다.
 
3. 논증  논리적으로 자신의 주장을 내세우는 것을 말합니다. 논증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 연역논증  일반적인 원리로부터 구체적인 결론을 이끌어내는 논증방법입니다.

 

예)  모든 사람은 죽는다(일반적 원리)
      영이와 철수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영이도, 철수도 죽을 것이다.(구체적 결론)

 

▶ 귀납논증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사례를 통해서 일반적인 원리를 이끌어내는 논증방법입니다.

 

예) 영이는 죽었다. 철수도 죽었다.(구체적 사례)
     영이와 철수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모든 사람은 죽는다.(일반적 원리)

 

4. 논거  논증에 사용되는 근거를 말합니다. 사례가 될 수도, 전문가의 의견이 될 수도 있습니다. 사실논거는 '객관적인 사실의 근거'를, 소견논거는 '경험 혹은 자신의 생각이나, 전문가의 말을 인용한 근거'를 말합니다. 두 논거의 차이점은 객관적이냐 주관적이냐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5. 개요  개요는 쓰고자 하는 글의 주제, 주제문, 서론, 본론, 결론의 요점을 간략하게 정리해 놓은 글의 설계도를 뜻합니다. 글을 쓸 때 자기 생각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미리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복덕방 논술/중등논술자료 2022. 11. 22. 10:38

https://www.youtube.com/watch?v=t4HcFumB-Qs 

 

'논술 > 중등논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술 잘 쓰는 방법 (4가지 원칙)-맥북과안경  (0) 2022.11.22
논술 용어  (0) 2022.11.22
운수 좋은 날  (0) 2022.11.21
배따라기  (0) 2022.11.21
수난이대 해설-꽁스국어  (0) 2022.11.21

https://www.youtube.com/watch?v=HYiQyJHg7qU

'논술 > 중등논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술 용어  (0) 2022.11.22
복덕방  (0) 2022.11.22
배따라기  (0) 2022.11.21
수난이대 해설-꽁스국어  (0) 2022.11.21
수난이대<하근찬>  (1) 2022.11.21

https://www.youtube.com/watch?v=gP2jG0BTjuA 

 

'논술 > 중등논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덕방  (0) 2022.11.22
운수 좋은 날  (0) 2022.11.21
수난이대 해설-꽁스국어  (0) 2022.11.21
수난이대<하근찬>  (1) 2022.11.21
소설읽기-우동 한 그릇  (1) 2022.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