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책의 그림읽기

 

발제일 : 2008년 3월 27일

발제자 : 박 혜 란

 

3. 그림책의 그림 자세히 보기

 

그림읽기? - 그림은 보는 것이 아닌 읽는 것

이 표현은 직관과 우연의 영역(미술에 타고난 재능)이 아닌 보다 지적인 영역의

기능과 관련된 것이며, 누구나 배울 수 있다는 생각을 갖게 해 주는 용어.

 

그림을 왜 읽어야 하는가? - 그림도 자의적인 특성을 지닌 기호이기 때문.

 

퍼스의 분류

- 도 상 : 사진이나 그림과 같이 해당 대상체와 닮은 것

예) 중국의 한자, 이모콘티

- 지 표 : 인과성, 인접성을 통해 다른 것을 대신하는 것

예) 일기예보에서 비와 흐림을 우산과 구름으로 표현

- 상징기호 : 특정한 이유없이 사물을 대신하는 기호

예) 사과, apple 등의 단어, 대부분의 언어

 

그림책의 독자는 그림책의 그림이 대상의 속성을 그대로 재현하기 때문에 그 의미를 저절로 아는

것이 아니라, 이미 그림작가와 독자 사이에 그 대상에 대한 공통된 코드가 존재하기 때문에 그림

의 이미를 읽을 수 있는 것이다, 즉 독자가 그림책의 그림을 읽는다는 것은 그림작가가 선정한 의

도를 읽는 것이다.

그림이 의미를 갖게 되는 것은 글과 결합하거나, 전체 이야기와 연결될 때이다.

그림도 다른 기호들과 마찬가지로 기표와 기의의 결합에 의해서 의미가 만들어진다.

이때 그림은 기표가 되고 작가의 의도는 기의가 된다.

그림책의 그림의 의미 작용 과정을 기표와 기의의 차원에서 살펴보면

 

1단계 잠재적 의미 - 한 장면의 그림이 잠재적인 의미는 가지고 있지만, 그 해석은 다양하게

열려 있는 것으로 그림작가의 원래 의도와 독자가 해석한 의미가 전혀

다를 수도 있다. 이때 한 장면의 그림은 기표로서의 기능을 할 뿐이다.

2단계 명시적 의미 - 그림이 그림작가의 의도에 어느 정도 구속되도록 해주는 것이 그 장면과

관련된 글이나 전체 이야기인 맥락이다.

이때 그림은 기표가 되고 작가의 의도는 기의가 된다.

3단계 공시적 의미 - 글과 그림을 보고 독자가 자기 나름대로의 의미를 만들어 내는 단계.

4단계 효과적 의미 - 그림작가와 독자의 의미가 모두 포함된 하나의 기표가 만들어 지고,

감동이라는 효과를 얻게 된다.

5단계 존재적 의미 - 이 모든 의미가 포함한 것이 또 하나의 기표가 되어 그림이 존재한다라는

의미가 남는것.

 

1. 그림책의 기본요소 - 선, 모양과 형태, 색, 재질감, 공간

 

[1] 선

- 선은 많은 점들이 모여 이루어진다. 그래서 움직이는 점으로 정의되기도 한다.

 

(1) 특징선 - 행동을 보여주거나 감정과 느낌을 담은 선으로 분노, 좌절, 게으름, 조용함,

혼란스러움 등의 다양한 느낌을 줄 수도 있다.

현덕 글/이형진 그림 <고양이> - 아이들은 검은 선으로, 고양이와 뒷 배경은

회색이나 백색 선으로 표현.

권정생 글/ 정승각 그림 <오소리네 꽃밭> - 붓과 먹으로 그려서 작가의 강

한 필력을 느끼게 해주는 작품.

 

(2) 직선과 곡선 - 직선은 분명하고 딱딱한 느낌. 곡선은 자유롭고 개방적인 느낌을 표현

직선 - 수평선, 수직선, 대각선이 있다.

수평선은 편안함, 균형, 고요함을 느끼게 해 준다.

수직선은 성장, 엄격함, 안정감, 감금, 강함을 느끼게 해 준다.

대각선은 힘과 불균형 또는 긴장감을 느끼게 해 준다.

 

레이첼 이사도라 <벤의 트럼펫> - 대각선을 사용 좌절한 벤의 감정을 표현

폴 고블 <야생마를 사랑한 소녀> - 움직임을 표현하기 위해 곡선을 사용

긴장감과 힘을 느끼도록 대갹선을 사용.

로이드 모스와 마조리 프리스먼 <칭!칭!칭!바이올린> - 글과 그림을 곡선으 로 배치하여 글과 그림 모두에서 리듬감을 표현한 작품.

 

(3) 외곽선 - 대상의 윤곽을 따라 그린 선.

 

한밍퐁 호 글/ 홀리 미드 그림 <쉿> - 콜라주기법을 사용 등장인물의 윤곽

을 표현하기 위해 빨간색의 굵은 선이 사용된 작품.

프랭크 애쉬 <moonbear시리즈> - 외곽선을 대상보다 옅은 색으나 보색으로

처리하여 경쾌한 분위기를 살린 작품.

이엘라 마리와 엔조 마리 <사과와 나비> - 나비가 꽃이 핀 사과나무로 날아

가는 장면에서 나비의 날개를 곡선으로 표현하고 사과꽃은 연녹색의

외곽선으로 그린 작품.

 

(4) 음영선 - 평행하게 같은 방향으로 그린 선으로, 명암을 표현하거나 질감을 살리는데

사용.

에드워드 리어 <네 아이들의 세계일주> - 음영선으로 그림에 재질감을 부여

그림에 생명력을 주어 살아 숨쉬는 것 같은 느낌을 주는 작품.

아서 가이서트 <노아의 방주> - 음영선과 교차음영선을 사용한 작품.

앤터니 브라운 <고릴라> - 음영선과 교차음영선을 효과적으로 사용한 작품.

 

 

[2] 모양과 형태

 

(1) 모양 - 평평한 것으로 보이는 형상으로 그림책은 입체감을 빼고 평면적 이차원 모양을

사용하여 만즐어진 것들이 많다.

 

콜라주 기법 - 평면적 모양을 나타내는 대표적 기법

레오 리오니 <아주 신기한 알>

심스 태백 <옛날 옛날에 파리 한 마리를 꿀꺽 삼킨 할머니가 살았는데요>

판화 기법 - 이차원적이며 평면적인 특징을 강조

버나 알디마 글/ 레오 딜런, 다이앤 딜런 그림

<모기는 왜 귓가에서 앵앵거릴까?>

블레즈 상드라르, 미샤 브라운 <그림자>

종이 오리기로 입체감까지 잘 나타낸 그림책

스티브 젠킨스, 브렌다 기버슨 <열대우림>

거미줄에 아름다운 모양을 만들어 낸

권윤덕 <시리동동 거미동동>

 

 

(2) 형태 - 모양과 반대로 그림의 삼차원적인 특징을 더욱 부각시킨 작품

 

크리스 반 알스버그 <주만지> <압둘 가사지의 정원>

- 무채색만으로 삼차원적인 형태를 구현한 작품.

크리스 반 알스버그 <북극열차> - 입체적이고 환상적인 작품.

 

 

[3] 색

그림의 가장 기본적인 특성 중 하나로, 그림의 분위기를 만들어 준다.

기본적인 색 용어

-원색, 명도, 채도, 삼원색, 이차색, 삼차색, 보색, 유사색, 단색, 따뜻한 색, 차가운 색.

(1) 명도와 채도

 

명도 : 색의 밝기나 어두운 정도로 검은색은 명도가 가장 낮고

흰색은 명도가 가장 높다.

우울한 소재에는 낮은 명도의 색을, 행복한 소재에는 높은 명도의 색을 사용.

낮은 명도의 색상이 주로 사용된 그림책

 

피터 시스 <티벳>

크리스 반 알스버그 <북극열차>

 

명도 대비를 효과적으로 사용한 그림책

다브 필키 <신문 배달 소년>

엘리사 바통 글/ 테드 르윈 그림 <가로등 커는 아이, 페페>

 

채도 : 색의 맑은 정도, 즉 맑고 투명한지를 가리키는 강도와 순도

 

높은 채도를 사용 밝고 경쾌한 느낌을 주는 작품

마샤 브라운 <그림자>

 

높은 채도의 색감이 뛰어난 작품

크리스토퍼 마이어스 <새를 부르는 아이>

 

낮은 채도를 사용 부드럽고 우아한 느낌을 주는 작품

마샤 브라운 <신데렐라>

 

 

(2) 무채색과 유채색

 

무채색 - 다양한 색이 사용된 그림에 비해 조금 더 차분한 느낌을 주고

미묘한 색의 변화를 느끼게 함.

크리스 반 알스버그 <압둘 가사지의 정원>

앨런 세이 <할아버지의 긴 여행>

 

유채색 - 즐겁고 밝은 분위기를 표현할 때

 

도날드 크루 <퍼레이드> <화물열차>

에드 영 <일곱마리 눈먼 생쥐>

 

 

 

 

 

(3) 따뜻한 색과 차가운 색

 

따뜻한 색

베라 윌리암스 <엄마의 의자> - 붉은 색 계열의 따뜻한 색을 사용

가슴 뭉클한 가족 간의 사랑을 그린 작품

 

차가운 색

다브 필키 <신문 배달 소년> - 새벽의 어두움과 냉랭함을 표현

패트릭 벤슨 <아기부엉이들> - 엄마가 오기를 기다리며 나무 위에 앉아

있는 장면에서 푸르스름한 색을 첨가 아기부엉이들의 두려운

마음을 표현

 

 

[4] 재질감

 

재질감이란 실제로 그것을 만졌을 때 그 표면의 느낌에 대한 시각적 인상.

즉 그림이 매끄러워 보이거나 오돌토돌하고 거칠거칠해 보여 직접 만지지 않아도

감촉이 느낄수 있는 표현

재질감을 느낄 수 있는 작품

 

모리스 샌닥 <괴물들이 사는 나라>

앨리스 제이 <이 그림은...>

 

 

[5] 공간

 

(1) 공간 - 대상과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영역.

중심대상은 대개 앞에 배치 이곳을 +공간

그 대상을 둘러싸고 있는 뒷배경을 -공간

제인 욜렌, 존 쇤헤르 <부엉이와 보름달>

(2) 삼차원의 효과 - 이차원적인 평면 위에 삼차원의 공간을 만들기 위한 방법

1. 사물들을 겹쳐 한 사물이 다른 것보다 더 가깝게 있음을 표현

 

2. 가까이 있는 사물을 더욱 크게, 멀리 있는 사물을 작게 표현

 

3. 가까이 있는 사물은 낮게, 멀리 있는 사물은 높게 배치

 

4. 가까이 있는 사물을 더 진하게, 멀리 있는 사물은 더 밝은 색상으로 표현

버나 알디마 글/ 레오 딜런, 다이앤 딜런 그림

<모기는 왜 귓가에서 앵앵거릴까?> - 삼차원 공간을 창조하기 위해 여러

식물과 동물을 겹쳐 보여주는 방법을 사용.

 

 

2. 그림의 구성 원리 - 그림의 요소를 사용하고 배열하는 방식을 말함.

디자인의 원리라고도 함.

- 조화와 통일감, 다양성과 대비, 균형, 움직임, 우세

 

[1] 조화와 통일감

통일감을 얻기 위한 방법은 반복으로 색, 형태, 방향, 각도,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을

반복함으로써 여러 부분을 연결시키는 조화로움을 얻게 된다.

 

마그누스 엔첸스베르거, 크리스틴 라인스 <달과 조개>

- 배경은 흑백으로, 중심되는 사물은 컬러로 표현. 편집과 그림기법의 반복에

의한 통일감.

류재수 <노란우산> - 다른 색의 우산이 첨가되는 패턴의 반복

 

 

유사한 색과 형태를 사용해 통일감을 나타낸 작품

 

앤터니 브라운 <동물원> - 철조망의 색조가 기린 뒤쪽의 건물 내부의 색조와 흡사

전체적으로 강한 통일감을 줌

 

[2] 다양성과 대비

다양성 - 다양한 크기의 사물, 다양한 색상과 재질감을 사용하여 작품에 흥미와 재미

더하여 준다.

 

대 비 - 사용되는 요소나 사물에 크고 극명한 차이를 둠으로써 얻어진다.

 

브라이언 와일드스미스 <달님이 본 것은?> - 다채로운 색상이 인상적이며 작품

전체에서 대비의 효과가 잘 드러난 작품

 

[3] 균형

 

그림의 요소들이 잘 배열되고 그 결과 예술작품 자체가 안정감 있게 보일 때 균형감이

나타난다.

 

(1) 대칭 - 형식적 균형

그림이나 대상의 양쪽 면은 동일하거나 거의 같다.

 

앤 조나스 <기묘한 왕복 여행> - 책을 바로 볼 때와 거꾸로 돌리고 보았을 때 모두

이야기가 되도록 그려진 작품.

(2) 비대칭 - 비형식적 균형

그림이나 대상의 양쪽 면이 다르지만 균형감을 느끼게 해 준다.

<할아버지의 긴 여행>

 

(3) 방사상 균형- 중심에 있는 한 대상의 주변을 에워싸고 있는 모양의 디자인.

형태나 선이 중심점으로부터 퍼져 나가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피터 시스 <갈릴레오 갈릴레이>

 

[4] 움직임

 

그림은 행동이 일어나고 있다는 ‘환영’을 주어 움직임을 만듬.

 

(1) 반복 - 규칙적, 불규칙적인 패턴으로 반복되면, 작품의 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으로

움직이는 느낌을 갖게 된다.

 

 

폴 고블 <야생마를 사랑한 소녀>

김은하 글/ 김재홍 그림 <고향으로>

(2) 불완전한 행동 - 행동이 덜 끝난 순간을 묘사. 독자들이 그 행동을 끝내는 상상을

하도록 만들기도 한다.

에즈라 잭 키츠 <눈 오는 날>

패트 허친스 <바람이 불었어>

 

(3) 직선적 연속성 - 연속 동작 중 한 순간을 포착하여 그리고 독자들이 그 장면에서

일어나는 움직임을 연상하도록 한다.

 

앤터니 브라운 <터널>

권정생 글/ 김용철 그림 <훨훨 간다>

 

(4) 연속 그림 - 움직임의 효과를 가장 간단하게 표현하는 방법

인물이 연결된 행동을 하고 있는 순간순간을 그려 움직임을 나타냄.

 

패트리샤 리 고흐, 이치카와 사토미 <꼬마 발레리나 타냐>

그림형제 글/ 펠리스 호프만 그림 <일곱마리 까마귀>

 

 

시간의 흐름을 연속 촬영한 것과 같이 표현한 작품

데이비드 위즈너 <이상한 화요일>

몰리 뱅 <회색 아줌마와 딸기 도둑>

모리스 샌닥 <깊은 밤 부엌에서>

 

 

[5] 우세

 

(1) 크기와 색

크기, 명도, 색, 재질감, 형태, 위치의 대비는 어떤 대상이나 요소를 더욱 우세해

보이게 한다.

 

레인 스미스 <꼬마와 커다란 고양이> - 고양이의 크기를 주인공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그린 작품.

존 버닝햄 <셜리야 욕조 밖으로 나와> - 크기와 색의 우세를 이용한 작품.

 

 

(2) 중심점

우세의 효과를 위해 수렴선을 두거나 중심점을 두어 시선을 이끔.

 

마가렛 호지 글/ 트리나 산트 하이먼 그림 <성 조지의 용>

 

(3) 예상치 못했던 변화

대상물들을 함께 모아 그 안에서 기이하거나 예상 못한 변화를 주는 방법

 

피터 시스 <갈릴레오 갈릴레이>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