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중앙대영어전형] 신문방송학과 국내대학 / 학교정보[대학이상]

2011/06/24 11:56

복사 http://blog.naver.com/gracejks/30111630757

우리나라 최초의 역사와 전통을 지닌 미래지향적 언론인, 방송인들의 산 신문방송학부

1958년 우리나라 최초로 설립된 신문방송학부는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중앙대학교의 명문 학부입니다. 2007년에 학과에서 학부로 승격되어 입학정원이 30명에서 60명으로 대폭 증원되었고, 학부 산하에 두 개의 전공, 즉 언론저널리즘전공과 미디어콘텐츠전공을 각각 설립하였습니다. 그 후 우수한 입학생들이 대거 본 학부에 진학하게 되었고, 졸업생들 역시 쾌적한 실습환경과 체계적이고 다양한 교육과정을 이수한 후 언론계와 학계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Objectives of education

창의력과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이미지와 상상력 기반 커리큘럼의 운영과 공동의 협력학습시스템을 활성화하는 것을 교육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미래지향적인 언론인 및 방송인 양성을 위하여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현상과 구조, 그리고 미디어 문화에 대한 이해와 분석 능력을 키우기 위해 관련 이론과 연구 방법 정립을 꾀하며, 학제간 연구(연극영화학, 사회학, 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법학, 언어학 등)와 교류를 통해 지식의 영역과 시각을 넓힐 수 있도록 합니다.


In future

급변하는 사회 환경에 따라 현대 사회의 구성원들은 미디어의 역할에 대해 매우 주목하고 있습니다. 그에 맞춰 신문방송 계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신문방송 계열 전공자에 대한 사회적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방송사(지상파, 케이블, 위성·디지털방송사, 각 기업체 사내방송국 등), 신문사, 잡지사, 출판계, 인터넷 포털사, 광고대행사, 제작사(광고기획사, 독립제작사 등), 기업(콘텐츠 개발, 홍보, 광고), 국회(사무처, 정당), 각종 미디어 및 언론 연구기관 및 위원회(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전파진흥원,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등), 학계(대학원, 교수 등) 등


Curriculums

2009학년도 신입생부터는 전공필수제도가 생겨남에 따라 각 전공(언론저널리즘전공, 미디어콘텐츠전공)마다 전공필수 영역으로 지정된 6개의 교과목(18학점) 중에서 3과목(9학점) 이상을 선택하여 반드시 이수하여야 합니다. 또한 영어강의 의무이수제 시행에 따라 전공(전공기초 포함)에 개설된 영어강의를 반드시 3강좌 이상 이수하여야 합니다. 매스컴이론,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휴먼커뮤니케이션, 방송화법(1), 언론문장실습(1), 신문디자인편집실습, International Reporting, 커뮤니케이션이론, 뉴미디어콘텐츠와문화, Understanding Media Contents, 디지털콘텐츠법과윤리, 콘텐츠제작실습초급, 미디어수용자론, 미디어경제의이해, 방송화법(2), 언론문장실습(2), 신문제작실습, 방송영상제작초급, 디자인의이해와활용, 영상커뮤니케이션론, 미디어와테크놀로지, 콘텐츠제작실습중급, 매체미학, 국제커뮤니케이션론, 언론사상사, 온라인저널리즘론, 언론윤리법제론, 방송영상제작중급, 초급보도사진제작, 비판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인터페이스, 뉴미디어심리학, 양적연구방법, 미디어콘텐츠기획론, 미디어스토리텔링, 탐사보도론, 온라인뉴스서비스, 방송영상제작고급, 중급보도사진제작, 모바일커뮤니케이션, 질적연구방법, 디지털콘텐츠산업론, 애니메이션제작실습, 뉴미디어사회학, 방송편성기획론, 매체산업론, 디지털미디어정책론, 콘텐츠프리젠테이션, 여론과대중매체, 언론현장실습, 수용자복지론, 미래사회와문화산업


Special Point

언론저널리즘전공 언론문화와 저널리즘이론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신문·방송·영상제작, 온라인 저널리즘 제작 실습 참여 등을 통해 순차적인 교육단계를 거쳐 언론 전문가 및 언론인의 자질과 능력을 습득하도록 합니다. 특히 전통적인 대중매체뿐만 아니라 디지털 미디어시대의 저널리즘을 선도할 수 있도록 합니다. 미디어콘텐츠전공 미디어를 구성하는 콘텐츠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실제적 지식을 습득하는데 목표를 둡니다. 특히 급변하는 미디어 상황에 적합한 콘텐츠 설계 및 개발 능력을 함양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 전공에서는 TV와 신문 등의 대중매체 콘텐츠 뿐 아니라 인터넷과 모바일 미디어 같은 뉴미디어에 적합한 디지털콘텐츠의 중요 개념 및 특성에 대한 이해와 제작능력을 습득하도록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