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학과종류, 전공선택, 자격증, 진로]
PD? 기자? 신문방송학과(신방과)를 해부해보자.
(주요대학 학과, 취업현황첨부)
1. 신문방송학과를 바라보는 시각., 주요학과, 학과 배치표
'언론'은 제 4의 권력이라고 불릴 정도로 우리 사회에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모든 사람은 항상 언론에 노출되어 있으며 언론을 통해 세상의 정보를 얻고 있다. 신문방송학은 '언론학(커뮤니케이션학)'이라고도 불리는데, 오늘은 제4의 권력을 공부 하는 '신문방송학'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청솔 학원배치표. 대부분의 신방과는 배치표상 점수가높은 편이다.
'언론정보학', '신방과'', 신문방송학과' 라고 불리우는 이 학과는 많은 사람들이 지원을 희망하는 인기 학과이다. 입시 학원 배치표를 봐도 신문방송학과는 거의 모든 대학에서 입학 점수가 높은 학과이며 높은 경쟁률을 자랑한다. 어떻게 신문방송학과는 이렇게 인기가 있게 되었을까?
한번은 신문방송학과를 가고 싶어 하는 과외하는 학생들에게 '너희들 왜 신방과 가고 싶냐?' 라고 물은적이 있다. 돌아온 대답은
'남자셋 여자셋을 보니까 완전 신방과 학생들의 생활은 뭔가 고리타분 하지 않고 자유롭고 창조적이며, 낭만적 일 것 같아요, 저는 그런 대학 생활을 꿈꿔요'
'앉아서 책만 보지 않고 나서서 활동적이게 여러가지를 배울 것 같아요'
'신방과 나오면PD가 된다고 하는데 저는 반드시 PD가되서 연예인들 많이 만나고 싶어요'
'신방과 나와야 해설위원 할 수 있다는데 저는 축구를 좋아 하는 데 서형욱 해설위원과 같은 축구 해설위원이 되고 싶어요"라는 짧지만 여러가지 대답들이 쏟아져 나왔다.
한편으론 '와 벌써부터다들 꿈을 가지고 있으니 멋있구나' 라는 생각이 들면서도 '이들이 정보의 부족으로약간의 환상을 가지고 있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신방과를 희망하는 대부분 학생들의 주요 이유는 귀엽게도 '연예인' 때문이었다.
사진은 인기 걸 그룹 '소녀시대'
물론 이들이 바라보는 신문방송학과에 대한 시각은 전혀 틀린 것은 아니다. 신문방송학과는 '소통'을 배우는 학문이다. 소통이란 개개인의 자유로운 생각을 전제로 한다. 고로 신방과 학생들은 창조적이며, 활동적이며 다소 개방적인 것은 사실이다. 신문방송학과에 입학하면, 시험시간에도 답안지에 글을 쓰는 시험을 보는 것이 아니라 자유롭게 생각을 표현하는 프리젠테이션을 하는 경우가 많으며, 홀로 수업에 참여 하기 보다는 거진다 거진 조별 수업이라 함께 나서서 활동적으로 작업(촬영)을하고 소통하는 시간을 많이 갖는다.
2. 그러나 '신방과'에 대한 지나친 환상은 버려라
신문방송학과 학생으로서 말하건데, 사실 내가 입학하기전에 생각했던 신방과와 지금 현실로 느끼는 신문방송학과는 많이 다르다. 인생의 선배, 전공 선택을 미리한 선배로서 진로의 선택이 정말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일중 하나 임을 생각 할 때 진지하게고심하여 선택하라고 이야기하고 싶다.
프로그램 기획 및 촬영 수업이 신방과 수업의 전부라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여기서 기억해야할 것은 대학이란 특정한 직업을 배출하기 위해 만들어진'취업사관학교'가 아니라, 학문을 연구 하는 상아탑이라는 사실이다. 게다가 신문방송학은 '예체능 계열' 이 아닌 인문분야 사회과학 학문이다. 물론 머리를 쥐어짜내 프로그램 기획을 하고 기획안을 토대로 멋진 영상 장비를 들고 촬영, 편집하여 하나의 창작물을 만들어 내는것도 배우기도 하며, 방송을 진행하는아나운서나 해설위원이 되기 위해필요한 화법을 배우기도하고, 보도사진 기자가 되는데 필요한'보도사진제작' 대해서도 배우기도 한다. 그러나신문방송학은 본래 사회과학학문의 일종으로서 커뮤니케이션이라는 현상, 즉 대중의 의사소통에 관련된 제반 사항과 그에 따른 다양한 현상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라는 것이다. 고로 신방과에서는 커뮤니케이션이라는 다소 광범위한 현상을 이론적으로 공부 하는 시간도 많으며 방송 화법이나 프로그램 기획과 같은다소 지엽적인실무 공부 또한수업의 일부일 뿐이다. 신방과가 4년 내내 멋진 촬영 장비를 들고 프로그램 기획, 제작하며 방송 실무만 배우는학과라고 생각하는 학생은여기서 그것은 아니라고 이야기해 주고 싶다.전문적인 프로그램 제작이나, 방송 실무만을 배울 사람은 차라리 '방송아카데미'를 가는 것이 현명할 것이다.
신문방송학은 '커뮤니케이션'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학문이다.
고로 '언론인'이 되기 위해 신문방송학과를 진학한 학생은'장밋빛환상'은 일치감치 깨는 것이 좋다. 오히려 신문방송학은 고리타분 할 수도 있으며 심도 높은 사회과학적인 지식을 요구하는 학문이기 때문이다.
3. 교육 내용
신문방송학과에서는 단편적인 기술이 아닌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와 미디어 활용 및 실무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다양한 경험과 배움의 기회를 동시에 제공하게 된다.
신문방송학과의 4년간 커리큘럼(학교 마다 다름)
1학년 커뮤니케이션학개론, 미디어컨텐츠론, 공연영상학개론 뉴미디어와사회, 언론저널리즘론
2학년 매스컴이론,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휴먼커뮤니케이션, 방송화법(1), 언론문장실습(1), 신문디자인편집실습, International Reporting, 커뮤니케이션이론, 뉴미디어콘텐츠와문화, Understanding Media Contents, 디지털콘텐츠법과윤리, 콘텐츠제작실습초급 미디어수용자론, 미디어경제의이해, 방송화법(2), 언론문장실습(2), 신문제작실습, 방송영상제작초급, 디자인의이해와활용, 영상커뮤니케이션론, 미디어와테크놀로지, 콘텐츠제작실습중급, 매체미학
3학년 국제커뮤니케이션론, 언론사상사, 온라인저널리즘론, 언론윤리법제론, 방송영상제작중급, 초급보도사진제작, 비판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인터페이스, 뉴미디어심리학, 양적연구방법, 미디어콘텐츠기획론, 미디어스토리텔링 탐사보도론, 온라인뉴스서비스, 방송영상제작고급, 중급보도사진제작, 모바일커뮤니케이션, 질적연구방법, 디지털콘텐츠산업론, 애니메이션제작실습, 뉴미디어사회학
4학년 방송편성기획론, 매체산업론, 디지털미디어정책론, 콘텐츠프리젠테이션 여론과대중매체, 언론현장실습, 수용자복지론, 미래사회와문화산업
주요 교과목 설명(학교 마다 다름)
- [매스컴원론] 매스커뮤니케이션의 본질, 사회적 기능과 효과에 관한 기초이론, 미래 정보사회의 미디어전망 등을 소개하고 현대사회와 매스커뮤니케이션과의 관계에 대해 배웁니다.
- [방송원론] 전자미디어로서의 방송의 본질과 특성, 방송메커니즘, 그리고 미디어 환경변화 전반에 대해 역사, 기술, 프로그램, 윤리법제, 경제 등 다양한 측면에서 배웁니다.
- [취재보도론] 뉴스란 무엇이며 뉴스를 어떻게 취재하고 보도해야 되는가를 이론적으로 접근하고 구체적인 기사작성법에 대해 기사구조를 중심으로 배웁니다.
- [디지털콘텐츠법과윤리] 저작권, 저작인접권과 같은 하나의 콘텐츠를 작성함으로서 부여 되는 권리를 알아 보고, 관련법에 대한 지식, 그에 걸맞는 윤리 의식에 대해서 배웁니다.
- [방송제작론] 방송 프로그램 제작 과정, 제작기술 및 제작 연출 기법 등에 관한 기초적인 이론과 지식을 이해하는데 중점을 두고 프로그램 장르별 제작기획 설계방법에 대해 배웁니다.
- [홍보론] 홍보의 의미와 목적, 그리고 발전과정을 검토하고 각 조직체의 홍보활동에 대한 다양한 사례분석을 통해 홍보 커뮤니케이션 현상의 특성에 대해 배웁니다.
4. '신문방송학과' 학생들의 진로(다양한 분야로 진출한다)
시장 및 여론조사전문가 광고 및 홍보전문가 구성작가 기자 아나운서 광고기획자 방송연출가 비디오저널리스트(VJ) 영화시나리오작가 광고PD 뉴스캐스터 방송기자 사보기자 시엠플래너 신문기자 음악홍보담당자 전문엠씨(MC) 행사기획자 |
신문방송학과는 신문·방송 기자, 방송제작 프로듀서, 광고·홍보 전문가를 양성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안목을 교육하는데 주력하는 데 매스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중요한 사회적 현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에 교육목표를 두고 있다.
그러나 주의 할점은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한다고 해서 모든 사람이 PD나 기자가 되는 것도 아니며,졸업한 모든 사람이PD나 기자 이외에할 것이 없는 것은 아니다. 본인의 선배 또한CJ 미디어를 비롯한 각종 미디어 기업, 대기업 홍보부에 진출해 있으며 진출 분야 또한 협소 하지 않고 다양하다.
'언론고시'라고 불리우는방송사, 신문사 공채 시험은 '전공불문'으로 능력있는 사람들을 채용하고 있는데, 물론 신문방송학과 출신들이 언론에 대한 총체적인 제반 사항을 배우기 때문에 당연히 관련분야에서 일하기 유리하기는 하나 다른 학과를 나온 다고 해서 절대 '길'이 없는 것은 아니니 명심했으면 좋겠고, 신방과를 나오면 다른 일을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 또한 이 글을 보고 절대 아니라는 사실을 각인 했으면 좋겠다.
많은 교수님들이 '언론학'은 전공하는 사람들은 저널리스트를 넘어 '스페셜리스트'가 되어여 한다고 이야기한다. 이 말인 즉, 언론학을 전공하는 사람들은 '글쓰기 능력, 기획, 촬영 능력'을 넘어 한 분야의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는 이야기이다. 사실 언론학을 전공하는 사람들은 사회 이슈에 관심이 많으며 그 이슈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올바른 정의를 사회에 여과하여 전파할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그러한 사람들은 당연히 한 분야의 전문가 여야 하며 일반인들 보다는 확실히 뛰어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단지 글쓰에 능통한 사람은 '소설가'가 되어야 하며, 단지 촬영 기술이 뛰어난 사람은 '전문 촬영 감독'이 되어야 한다.
신문방송학은 단편 기술을 넘어 언론에 대한 총체적인 지식을 탐구 하는 학문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다른 전공을 복수전공을 하여, 저널리스트이자, 그 분야의 스페셜리스트로서 언론인이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5. PD나 기자가 되기 위해선 언론 고시를 치뤄야 한다.
PD는 '한 프로그램의 기획자, CEO' 로서 다양한 일을 하는 '멀티 플레이어'이다. PD도 종류에 따라 여러가지로 나뉘나 책임 프로듀서의 경우 프로그램의 기획, 예산편성, 집행, 스탭(출연진, 촬영, 조명, 분장 등등)섭외까지 도 맡아 할 정도로 굉장히 많은 일들을 한다. 혹자는 PD가 방송 촬영을 하는 사람이라고 생각 할 수도 있으나, 방송 촬영을 담당하는 사람은 PD가 섭외한 촬영 감독이다. PD는 사회를 날카롭게 바라보는 식견이 있어야 하며, 모든 분야에 능통해야 하며, 다부진 체력을 요구한다.
PD는다부진 체력 또한 가져야 한다. 사진은 아마존의 눈물 中
프로듀서나 기자가 되기 위해서는 '방송사, 신문사 공채나 특채 시험'을 통해야 한다. 지원 자격은 전공 불문이며 공중파 3사의 경우 대개 1년에 1번 정도 공채 시험을 치룬다. 1차는 대개 서류 전형으로 대체 되는데 KBS의 경우 이때 한국어능력시험 점수와 외국어 점수 제출이 요구된다. 영어 뿐만 아니라 제2외국어에 능통하면 유리하다. 2차는 상식, 논술 시험을 치루게 되며, 각 언론사 마다 다르나 대개 4-5차 까지 진행될 정도로 수 많은 경쟁률을 뚫고 입사 하기가 상당히 어려우므로 언론사를 준비 하는 신방과 학생들은 거의 대학교 2학년때 부터 언론사 입사 시험 준비에 돌입한다.
이정민 아나운서의 사원증 사진. 사람들은 정말 힘든 여정 끝에 방송사에 입사 한다.
언론사에서 워낙 적은 인원수를 뽑고 지원자는 많기 때문에 입사 시험이 어려워 어느새 '고시(高試)'라는 말까지 붙어 '언론고시'라고 불리우는 데 이는 국가고시(행정고시, 외무고시)에 필적할 정도로 어렵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여담으로는 사법고시 또한 원래 명칭은 '고시'가 아니라 사범 시험이다.
2년만에 공채를 뽑았다는 SBS. SBS는 정말 들어 가기 힘들다고 소문이 나있는 데 2년만에 뽑은 공개채용에서아나운서는 단지 3명, 기자는 단지 6명, 제작PD는 단지 9명을 뽑았다. 경쟁률은 정말 상상을 초월한다. 이번에우리 신문방송학과선배가 1000대1의 경쟁률을 뚫고 SBS기자로 합격하였다.
6. 주요대학과 사회 진출 현황
언론인[기자직(차장급 이상), 비기자직(부장급 이상)]
1. 서울대학교 : 757건 2. 고려대학교 : 524건
3. 중앙대학교 : 400건 4. 연세대학교 : 360건
5. 성균관대 : 276건6. 동국대학교 : 213건
7. 한양대학교 : 184건 8. 한국외국어대학교 : 178건
9. 경희대학교 : 159건 10. 건국대학교 : 146건
11. 전남대학교 : 145건 12. 부산대학교 : 133건
13. 경북대학교 : 118건 14. 조선대학교 : 114건
15. 동아대학교 : 113건 ...17. 서강대학교 : 80건
24. 이화여자대학교 : 32건
졸업생의 사회진출 현황 [광고인배출 순위]
<표1> | 광고인 배출 상위 10개 대학 | <단위:명> |
순 위 | 대 학 | 배출인원 |
1 | 중앙대 | 299 |
2 | 고려대 | 241 |
3 | 홍익대 | 239 |
4 | 한양대 | 193 |
5 | 서울대 |
카피라이터 CF감독 AE CM플래너를 비롯 순수한 의미의 광고인뿐만 아니라 광고영업 및 관리담당자까지 조사대상에 포함한 제일기획의「광고인명록」 집계결과, 중앙대는 총 2백99명(11.3%)의 동문을 배출해 국내 최고의 광고메카임을 증명했다. 또 고려대는 2백41명(9.1%)을 배출, 2위를 기록했고 홍익대는 2백39명(9.0%)으로 3위를 차지했다.
그뒤를 이어 한양대가 1백93명(7.3%), 서울대 1백62명(6.1%), 연세대 1백55명(5.9%), 성균관대 1백50명(5.7%), 서강대 1백4명(3.9%) 순이며 상위 10개 대학 동문의 수가 전체 광고업계의 64.7퍼센트를 점하고 있다.
국내 10대 +광고대행사 진출 상위 10개 대학
<표2> | 국내 10대 +광고대행사 진출 상위 10개 대학 | ||||||||
제일기획 | LG애드 | 금강기획 | 대홍기획 | 코래드 | 오리콤 | 동방기획 | 한컴 | MBC 애드컴 | 서울 광고기획 |
고려대 (29) | 고려대 (17) | 중앙대 (20) | 고려대 (16) | 고려대 (16) | 고려대 (16) | 중앙대 (14) | 고려대 (10) | 중앙대 (7) | 연세대 (8) |
홍익대 (28) | 중앙대 (15) | 서울대 (15) | 중앙대 (10) | 중앙대 (12) | 연세대 (14) | 한양대 (9) | 홍익대 (9) | 홍익대 (7) | 중앙대 (5) |
서울대 (24) | 한양대 (10) | 한양대 (13) | 성균관대 (7) | 성균관대 (6) | 한양대 (14) | 동국대 (8) | 한양대 (5) | 한양대 (6) | 한국외대 (4) |
성균관대 (23) | 성균관대 (10) | 고려대 (12) | 한양대 (7) | 연세대 (5) | 홍익대 (14) | 고려대 (5) | 서강대 (4) | 건국대 (4) | 고려대 (3) |
연세대 (21) | 서강대 (9) | 경희대 (10) | 홍익대 (7) | 홍익대 (5) | 서울대 (10) | 성균관대 (5) | 연세대 (3) | 동국대 (4) | 건국대경희대 국민대 동국대 부산산업대 서강대 서울대성균관대 연세대 영남대 이화여대 한양대 각 1명 |
중앙대 (20) | 연세대 (9) | 홍익대 (10) | 경희대 (6) | 동국대 (4) | 중앙대 (10) | 홍익대 (5) | 한국외대 (3) | 서강대 (4) | |
한국외대 (18) | 홍익대 (8) | 성균관대 (7) | 동국대 (6) | 경북대 (3) | 국민대 (7) | 국민대 (4) | 중앙대 (3) | 성균관대 (4) | |
서강대 (17) | 영남대 (6) | 한국외대 (6) | 서울대 (6) | 서강대 (3) | 성균관대 (5) | 서강대 (4) | 한양대 (2) | 연세대 (3) | |
국민대 (11) | 계명대 (5) | 건국대 (5) | 목원대 (5) | 단국대 (2) | 동국대 (4) | 계명대 (3) | 경희대 (2) | 고려대 (2) | |
한양대 (10) | 경희대 (4) | 서강대 (5) | 연세대 (10) | 서울대 (2) | 경기대 (2) | 경희대 (2) | 서울대 (2) | 인하대 (2) |
졸업생 사회진출 현황 「방송인」
전체 조사대상자인 총 1천68명 중 1백24명(11.61%)을 배출한 고려대는 종합순위 1위를 기록하고 있다. 2위는 서울대로 총 1백14명(10.67%)의 +방송인을 배출했고 3위는 98명(9.18%)을 배출한 중앙대이다.이밖에 89명(8.33%)을 배출한 한양대가 4위, 76명(7.12%)을 배출한 연세대는 5위, 68명(6.37%)을 배출한 성균관대가 6위를 기록하고 있다. <표1 참조>
방송사별 대학분포현황 상위 15개 대학
<표2> | 방송사별 대학분포현황 상위 15개 대학 | ||||
순위/방송사 | KBS | MBC | SBS | EBS | CBS |
1 | 고려대 53 | 고려대 49 | 서울대 19 | 중앙대 7 | 서울대 3 |
2 | 서울대 49 | 중앙대 40 | 고려대 16 | 한양대 4 | 성균관대 3 |
3 | 중앙대 44 | 한양대 39 | 성균관대 8 | 서울대 3 | 건국대 3 |
4 | 한양대 35 | 서울대 38 | 한양대 8 | 성균관대 3 | 연세대 3 |
5 | 연세대 28 | 연세대 31 | 연세대 7 | 방송대 3 | 중앙대 3 |
6 | 성균관대 26 | 성균관대 27 | 한국외대 6 | 고려대 3 | 감리교 2 |
7 | 동국대 18 | 동국대 19 | 동국대 4 | 광운대 2 | 경희대 2 |
8 | 경희대 16 | 경희대 18 | 중앙대 3 | 영남대 1 | 총신대 2 |
9 | 한국외대 12 | 부산대 17 | 경희대 3 | 경희대 1 | 숭실대 2 |
10 | 전북대 10 | 동아대 14 | 서강대 2 | 원주대 1 | 동국대 2 |
11 | 부산대 9 | 광운대 14 | 명지대 2 | 국민대 1 | 전남대 2 |
12 | 건국대 8 | 영남대 12 | 영남대 1 | 연세대 1 | 고려대 2 |
13 | 동아대 8 | 건국대 11 | 시립대 1 | 이화여대 1 | 조선대 2 |
14 | 서강대 7 | 제주대 11 | 체육대 1 | 서울교대 1 | 동아대 2 |
15 | 조선대 5 | 전북대 10 | 강원대 1 | 청주교대 1 | 경북개방 1 |
기타 | 52 | 125 | 4 | 1 | 16 |
서울대가 부동의 1위 자리를 고려대에게 넘겨준 것. 그러나 신문분야에선 서울대가 총 3백42명을 배출해 전체 16.66%를 점유, 2위였던 고려대(2백12명, +10.33%)보다 6.33% 앞섰던 반면 방송부문에서 두 대학간 차이가 0.84%로 +근소하다 <본지 233호 참조>. 이와 관련 관계자들은 서울대는 다른 대학과 달리 「신문방송학과」가 아닌 「신문학과」가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 일반적으로 언론계 진출이 활발한 이 학과 학생들이 주로 배우는 학문분야가 방송보다 신문에 치우치는 만큼 신문분야의 진출이 활발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라고 풀이한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같은 대학 다른 학과학생들에게도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이라고 말한다.
졸업생의 사회진출 현황 (신문 기자)
서울대 출신의 언론인은 전체 조사대상자인 총 2천53명 중 3백42명으로 16.66%를 점유하고 있다. 2위는 2백12명이 진출한 고려대(10.33%), 3위는 1백52명의 중앙대(7.40%), 4위는 1백20명의 성균관대(5.85%) 그리고 5위는 1백18명의 연세대(5.75%) 순이다.
이처럼 전국 종합일간지와 통신사로 진출한 각 대학별 언론인 분포현황을 살펴보면 1위부터 10위까지의 상위권은 소위 메이저 대학으로 일컬어지는 수도권 소재의 대학들이 점유하고 있는 반면 11위부터 20위까지는 전남대 경북대 영남대 제주대 충남대 등 지방 국 · 사립대학 졸업자들이 골고루 분표돼 있는 것으로 집계된다.
신문기자 출신대학 분포 상위 20개 대학
<표1> | 신문기자 출신대학 분포 상위 20개 대학 | ||
순위 | 대학명 | 배출인원(명) | 비율(%) |
1 | 서울대 | 342 | 16.66 |
2 | 고려대 | 212 | 10.33 |
3 | 중앙대 | 152 | 7.40 |
4 | 성균관대 | 120 | 5.85 |
5 | 연세대 | 118 | 5.75 |
6 | 한양대 | 90 | 4.38 |
7 | 한국외대 | 71 | 3.46 |
7 | 경희대 | 71 | 3.46 |
9 | 부산대 | 62 | 30.2 |
10 | 동국대 | 61 | 2.97 |
11 | 전남대 | 58 | 2.83 |
12 | 조선대 | 55 | 2.68 |
13 | 건국대 | 51 | 2.48 |
13 | 경북대 | 51 | 2.48 |
15 | 동아대 | 46 | 2.24 |
16 | 영남대 | 43 | 2.09 |
17 | 충남대 | 32 | 1.56 |
18 | 국민대 | 28 | 1.36 |
18 | 제주대 | 28 | 1.36 |
20 | 강원대 | 26 | 1.27 |
신문방송학과 출신 언론사 현직 간부 중앙대 '최다' 취재팀은 한국언론재단에서 발간하는 신문방송연감에 수록된 언론인 3천30명의 출신 학부를 처음으로 조사.분류했다. 신문.방송 업계의 현직 간부(일간지.지상파 방송사의 경우 차장급 이상)들이다. 그중 신문방송학과 출신만 따지면 역사가 가장 오래된 중앙대가 56명으로 가장 많은 간부급 언론인을 배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고려대(47명).한양대(35).경희대(29).성균관대(22).연세대(18).서강대(17) 순이었다. 서울대는 8위였다. 또 전직 언론인까지 포함해 3천6백84명의 언론인을 출신 학과별로 분류했더니, 정치외교학과 졸업생이 3백67명으로 신문방송학과(3백1명)보다 많았다.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237109 ⓒ중앙일보 기사 |
7. 관련 자격증
신문방송학과에 관련된 자격으로는 [ 무대음향전문인, 무대조명전문인, 무대기계전무인, 방송통신산업기사, 사진기능사, 방송영상기사, 방송통신산업기사, 시각디자인기사, 제품디자인기사, 항공사진기능사, 영사산업기사 ] 등이 있다.
8. 신문방송학과 전공 해부를 마치며
학과 종류, 전공선택, 관련 자격증, 신문방송학과, 진로, 중앙대 신방과, 연세대 신방과, 신문방송학, 언론정보학과, 주요
앞서 언급했듯이 신문방송학은 단편 기술을 넘어 언론에 대한 총체적인 지식을 탐구 하는 학문이다. 사회 이슈를 분석, 정의에 입각하여 올바른 여론과 사회적 아젠다(AGENDA)를형성하여 세상과 세상을 이어주는 창이 되고 싶은 사람.미지의 세계를 탐험하며 알려지지 않은 진귀한 정보를발굴 하여 세상 사람들에게 동기부여 주는 가슴 떨리는 삶을 살고싶은 사람. 이러한 사람들은 신문방송학과에 진학하여 언론인을 꿈꾸는 것이 어떨까?
여기서 신문방송학과 전공 해부를 마친다.
앞으로 전공선택, 진로 관련 포스팅 스케쥴을 보시려면 -----------> 클릭
기사 출처(허가)
중앙일보(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237109)
한국대학신문(http://www.unn.net/news/detail.asp?nsCode=1644)
사진 및 자료 출처
Communication Theories (by Dornald Jack)
이정민 아나운서 미니홈피
MBC 아마존의 눈물(http://www.imbc.com/broad/tv/culture/amazon/)
뉴욕타임즈(www.nyt.com)
SM엔터테인먼트(http://fanclub.smtown.com)
청솔학원배치표(http://www.cheongsol.co.kr/)
'논술 > 입시.입학사정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과정보- [중앙대/신문방송학과] (0) | 2011.07.07 |
---|---|
중앙대신방과 수능100%전형 예상점수 (0) | 2011.06.21 |
동아리는 나의 미래, 스펙 쌓고 꿈 키워요!-아하경제 2011-06-13 (0) | 2011.06.14 |
서울여대·성균관대·성신여대-서울2011-06-14 (0) | 2011.06.13 |
2011 아시아 대학평가] 성균관대·경희대·중앙대 `약진-조선2011.05.23 (0) | 2011.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