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논술] <132> 교과서로 논술잡자 - 사이버 윤리와 이데올로기
인터넷 역기능 줄이고 순기능 강화할 방안은?

논제와 제시문


[논제1] 제시문 (가)에서 지적하고 있는 인터넷의 발달로 인한 장점을 200자 내외로 요약하시오.

[논제2] 제시문 (다)에서 논의된 '사이버 윤리'를 제시문 (나)의 '매체 언어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에서 지적하고, 모든 제시문을 참고하여 인터넷의 순기능을 강화하는 방안에 대해 논술하시오. (1000±100자)


[가] Due to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such as satellite communication and the Internet, people in the 21st century are better informed about world events than ever before. We no longer have to wait until we watch the evening news hour or read the evening newspaper to find out about the day's events. Instead, we can get updates on the latest breaking news stories the moment they happen via 24-hour cable TV broadcasts and Internet news sources. You can even subscribe to services that send breaking news directly to your e-mail address or cell phone. In addition, news coverage is no longer limited by geography and distance. Modern Internet and satellite technology allows broadcasters to send video and audio reports around the world, so events that were once local now have a global audience.


[나] 신문이나 방송, 인터넷과 같은 매체 언어는 사건에 대한 인지 작용과 정보 전달 과정에서 이데올로기가 개입되는 경우가 많다. "경찰이 비무장 군중에게 약 40초 간 총격, 5명 사살, 뒤이어 군중이 경찰을 수 시간 동안 포위하자 다시 6명 사살." 이 기사는 1975년 아프리카 짐바브웨의 솔즈버리에서 일어났던 사건에 대한 보도 내용이다. 사건 자체에 대한 정보 전달에 치중하고 있을 뿐 인지적 해석을 가하지 않아 이데올로기가 개입되지 않은 보도 사례이다.

반면 다음 사례들은 동일한 사건에 대한 보도에 있어 이데올로기가 개입된 경우이다. "소요흑인들 경찰에 의해 사살, ANC 지도자들 회동 중에-금일 오후 솔즈버리시의 아프리카 거주 고원 구역에서 로디지아 경찰이 약 2천명의 소요 군중에게 발포하여 아프리카인 11명이 사살되고 15명이 부상을 입었다."(A신문), "솔즈버리 소요 현장에서 경찰 총격으로 11명 사망-오늘 솔즈버리시의 교외의 고원 아프리카 흑인 구역에서 소요 진압 경찰이 아프리카인 시위대에 발포하여 11명을 사살하고 다른 15명에게 부상을 입혔다."(B신문)

두 신문 모두 사건을 '소요'라는 어휘를 사용하여 표현하고 있다. 여기서 '소요'란 경찰의 행동이 요청되는 치안 교란으로 정의되기 때문에 이를 사용함으로써 은연중에 경찰의 무장 개입과 양민 살해를 합리화시키고 있다. 특히 A신문은 '소요'를 '흑인들'과 붙여 표기함으로써 총격 사건의 배경 및 상황을 피격자의 책임으로 돌리는 교묘함을 보이고 있다. 결국 두 신문은 이 사건이 흑인들의 소요를 배경으로 해서 발생한 것으로 규정하는 이데올로기적 방향성을 드러내고 있다.

-방성원, 매체언어와 이데올로기


[다] 얼마 전 초등학생과 중학생들이 인터넷 카페나 블로그를 통해 인기 연예인의 얼굴을 포르노 영화의 장면에 합성한 사진을 유포한 사실이 밝혀져 큰 충격을 주었다. 단지 자신들이 운영하는 카페나 블로그의 방문 조회 수를 높이기 위한 것이 이유였다지만, 그들의 어이없는 행동은 인터넷의 역기능이 이미 어른과 아이를 구분하지 않고 우리 사회 구석구석에 퍼져 있음을 적나라하게 보여 주었다.

음란물 유통, 사이버 명예 훼손, 게임 중독 등 인터넷 관련 범죄와 사고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이로 인한 피해는 이미 위험 수위를 넘어섰다.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세상은 우리에게 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편리한 삶을 맛보게 해 준 동시에 적절히 대처하지 않으면 우리의 몸과 마음을 피폐하게 만들 수도 있다는 경고를 보내오고 있다.

사실 인터넷 세상의 저질화, 불건전화는 어제 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우리는 그 동안 세계 최고의 정보 통신 인프라 구축, 초일류 정보 통신 강국 실현이라는 명분에만 매달려 이에 걸맞은 법과 제도의 정비 등 인프라 조성에는 소홀했다. 또한 돈이 된다면 무엇이든지 하는 일부 몰지각한 인터넷 사업자들은 청소년에게까지도 온갖 수단을 동원해 무분별한 악성 소비를 부추겼다. "내 아이는 괜찮겠지." 하는 부모들의 근거 없는 믿음도 인터넷의 유해 정보 유통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기회를 스스로 놓치게 했다. 결국 인터넷 공간의 혼탁화는 누구의 탓도 아닌 바로 우리 자신의 잘못에서 비롯되었다. 이로 인해 우리 아이들과 우리 모두의 미래는 결코 안전하지 못하게 된 것이 현실이다. -신문 칼럼


제시문 분석

 제시문 (가)는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저녁 뉴스 시간이나 일간지를 기다릴 필요가 없이 케이블 TV와 인터넷을 통해 최신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최신 정보를 빨리 접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또한 뉴스 범위가 전 세계로 확대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술의 발달 즉, 인터넷의 발달이 세계를 하나로 묶고 있다는 내용이다. 전체를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위성 통신, 인터넷과 같은 새로운 기술의 발달로 인해 21세기의 사람들은 세계에서 일어나는 사건에 대해 이전보다도 더 잘 알게 된다. 우리는 현재 사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저녁 뉴스를 보거나 석간신문을 읽을 때까지 더 이상 기다릴 필요가 없다. 그 대신에 최근 속보 기사들에 관한 사건이 터지자마자 24시간 동안 방송하는 케이블 TV와 인터넷 뉴스 출처를 통해서 그 기사들에 관한 최신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뉴스 취재 범위가 지리와 거리에 의해 더 이상 제약을 받지 않는다. 최신 인터넷과 위성 기술을 통해서 방송을 하는 사람들은 전 세계적으로 비디오와 오디오 보고서를 보낼 수 있어서, 한 때는 해당 지역에 한정되었던 사건들이 이제는 전 세계적으로 시청자를 확보하고 있다."
 제시문 (나)는 대중 매체가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오늘날의 상황에서 매체 언어가 이데올로기의 개입을 통해 현실 세계를 왜곡하는 상황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보여주고 있는 글이다. 매체 언어에 대한 비판적 수용 태도가 필요함을 은연중에 드러내고 있다.
 제시문 (다)는 인터넷이 오늘날 우리의 삶을 편리하게 해 준 이기(利器)이지만 동시에 음란물 유통, 사이버 명예 훼손, 게임 중독 등 인터넷 관련 범죄들은 계속 증가하는 문제점을 지닌 매체임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인터넷 공간의 혼탁화가 우리 자신의 잘못에서 비롯되었음을 환기시키며 대책을 강구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논제 분석


 [논제1]은 제시문 (가)가 지닌 논의의 핵심을 찾아내어 요약할 것을 주문한다. 핵심은 인터넷과 위성 기술의 발달이 가져온 편리함이다. 제시문 (가)에 드러난 인터넷의 장점, 즉 순기능을 잘 파악해두어야만 제시문 (나), (다)와의 연관성 하에서 [문제2]를 자연스럽게 해결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제시문 분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영어 지문을 번역하고 다시 요약하는 것이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겠다. 하지만 요약을 할 때 유의할 것은 글의 핵심적 내용을 자신의 언어로 재구성할 수 있어야 하며, 자신의 주관적 생각이나 판단을 섣부르게 개입시켜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즉 요약이란 글의 중요한 부분과 덜 중요한 부분을 가려내어 이를 자신의 방식으로 재구성해 표현하는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주어진 텍스트를 요약할 때에는 논의하고 있는 주제, 즉 현안 문제를 다루어야 하고, 논의의 중심이 되는 용어나 개념이 드러나야 한다, 또한 현안 문제에 대한 글쓴이의 주장이나 해결책이 포함되어야 하고, 글쓴이가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제시하는 근거가 반드시 들어가야 한다.
 [논제2]는 ①제시문 (다)의 인터넷 관련 범죄들을 제시문 (나)의 매체 언어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에서 지적하고, ②인터넷의 순기능을 강화하는 방안을 모든 제시문을 참고하여 논술하라는 문제이다. 먼저 (다)에서 지적하는 인터넷 관련 범죄들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야 하는데, 그것은 음란물 유통, 사이버 명예 훼손, 게임 중독 등이다. 특히 이러한 문제는 누구의 탓도 아닌 바로 우리 자신의 잘못에서 비롯되었음을 찾아내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사이버 상의 문제점이 이데올로기에 바탕을 둔 매체 언어의 속성임을 제시문 (나)와 관련지어 논의할 수 있어야 한다. 이데올로기가 개입됨에 따라 각기 다른 매체 언어가 사용됨을 지적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 다음에 수험자는 제시문 (가)에서 논의한 인터넷의 순기능, (나)와 (다)에서의 인터넷의 역기능을 참고하여 인터넷의 순기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글을 써야 한다.
 즉, 인터넷이 가져온 장점을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상에서 사이버 윤리를 지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 보고, 매체 언어에 이데올로기가 담겨 있을 수 있으므로 정보를 비판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함을 논의해도 된다. 해결방안을 위한 상투적인 접근보다는 구체적인 대안 모색이 필요하다.


주제 관련 심화 학습


·이데올로기
 이데올로기는 자연·인간·사회의 총체에 관해서 사람들이 품고 있는 의식 형태를 의미한다. 광의로는 관념 및 그 산물로서의 사회 제도 전반이 포함되지만, 사적 유물론의 용어로는 사상, 종교 등의 관념만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일상적·자연 발생적인 사회의식으로서의 사회 심리에 대응하여 이데올로기가 파악될 때는 자각적으로 체계화된 사회의식을 가리킨다. 일상어로서는 막연히 주의(主義)나 주장 일반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사이버 공동체
 인터넷이 확산되고 이용자 수가 많아지면서 블로그나 개인 홈페이지와 같은 1인 미디어에서부터 사이버 공동체까지 다양한 형태의 사이버 공간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특히 사이버 공동체는 PC 통신망이나 인터넷 상에서 컴퓨터로 연결된 사람들이 공간적인 거리를 극복하고 가상 공동체를 구성한 것이다. 다양한 사람들이 공통의 관심사나 주제, 그 밖의 다양한 사회 현상들을 나누고 토론함으로써 서로 간의 유대감을 형성하고 상호 작용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가상공간에 너무 몰두하다 보면 현실과의 경계가 불분명해지는 문제를 낳기도 한다.
 
·바람직한 인터넷 문화의 정착 방안
 ①기관의 설립
 바람직한 인터넷 문화를 정착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사용의 순기능을 돕고 역기능에 대처할 수 있는 국가 기관의 규제가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이러한 기관으로 정보통신윤리위원회와 언론중재위원회가 있다. 정보통신부 소속인 정보통신윤리위원회는 유통되기 전 단계의 정보를 검토하고, 현대 유통되고 있는 정보들이 과연 적절한 것인지를 감시하여 이를 규제한다. 이를 위해 불건전 정보 신고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해외 불건전 사이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놓고 있다. 또한 정보통신 윤리 확산을 위해 정보 통신 윤리 캠페인을 전개하고, 정보통신 윤리 교육을 지원하는 등 바람직한 인터넷 사용 문화를 유도하고 있다.
 언론중재위원회는 원래 정기 간행물이나 방송의 보도로 피해를 입은 개인, 단체 등을 사후적으로 구제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이었다. 1981년 설립된 이래 신문, 잡지 등의 인쇄 매체와 방송 매체만을 중재 대상으로 삼아오다가 2005년 7월 법적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인터넷 신문까지도 조정 중재 대상에 포함시키게 되었다. 주요 활동은 정정 보도, 반론 보도 청구에 대한 중재이며, 미디어의 내용을 심의하여 명예훼손이나 사생활 침해, 사회 질서 및 공공윤리의 침해 우려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시정을 권고하기도 한다.
 ②법률의 제정
 대표적인 예가 인터넷 실명제이다. 이 제도는 인터넷의 역기능을 해소하여 사이버 세계의 신뢰도를 높이고 책임 있는 글쓰기를 통해 올바른 여론을 형성하자는 취지에서 제기되었다. 이러한 취지에 따라 정부에서는 인터넷 주소 자원관리법 등을 통해 2002년 이후 공공기관이나 인터넷 포털 사이트 등의 게시판에 글을 올릴 때는 본인 확인을 거치도록 하는 인터넷 실명제의 도입을 추진해 왔다. 그 결과로서 인터넷 실명제가 법률을 통해 명확하게 규정된 것이 바로 2004년 3월 개정 공포된 '공직선거 및 선거부정 방지법'이다. 이는 국회의원총선거에 대비한 조치로, 익명성을 악용해 인터넷 공간에서 불법 선거운동이 벌어지는 사태를 막아보자는 의도에서 시행되었다. 그러나 이 제도가 시행되자 표현의 자유에 대한 침해와 주민등록 정보 노출에 따른 개인 인권 침해 등의 문제점이 논란이 되기도 했다.
 ③의식 개혁
 인간이 사회에서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살아가는 데 있어서 에티켓을 지키는 것이 당연하듯, 인터넷상에서는 네티켓(Netiquette, 네트워크(network)와 에티켓(etiquette)의 합성어로 네티즌들이 지켜야 할 도리·예의)을 지켜야 한다. 정부가 올바른 네티켓 문화의 정착을 위해 인터넷 실명제, 사이버 수사대 등 다양한 방법으로 법적 규제를 하고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네티켓을 확고히 정착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람들 간에 네티켓의 필요성에 대한 정서적 공감대가 폭넓게 형성되는 것이 필요하다. 네티켓은 우리가 현실 세계에서 얼굴을 직접 마주보고 상대를 대할 때처럼 가상공간의 만남에서도 각자 최소한의 예절을 지키고자 할 때 비로소 자율적인 규범으로 내면화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우리 사회를 건강한 미디어로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해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정보 지식을 올바르게 이용할 줄 아는 정보 윤리 의식을 함양하는 일이다.
 인터넷 이용자들의 자기 정화 노력이 국가적 차원의 기관 설립 및 법률 제정과 함께 이루어질 때, 우리는 미디어로서의 인터넷이 갖는 효과를 극대화하고, 바람직한 인터넷 문화를 확산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다.
 
·퍼블릭 액세스(public access)
 '대중 접근 채널'이라는 뜻으로 공영 방송이나 케이블 텔레비전, 유선방송, 인터넷 방송 등 개방된 채널을 통해 시청자가 직접 방송 제작에 참여하고, 이를 보장하는 일체의 구조 또는 접근 방식을 뜻한다. 퍼블릭 액세스 프로그램은 시청자들이 직접 6㎜ 디지털 카메라나 8㎜ VHS 카메라로 제작한 프로그램을 지상파, 케이블 TV, 위성 방송 등 방송 매체를 통해 방영한다는 점에서 그동안 KBS, MBC, SBS 등 지상파 방송사들이 제작해 온 시청자 평가 프로그램과는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다. 퍼블릭 액세스는 1960년대 말 캐나다 국가 영화 진흥국이 국가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지역 주민 스스로가 자신들의 가난에 관한 문제점을 비디오를 통해 해결할 수 있도록 한 데서 유래하였다. 퍼블릭 액세스는 표현의 자유를 확보하고 사회적 이슈나 공동체의 각종 현안들에 대한 다양한 사고를 공유하여 문제 해결에 접근할 수 있어서 현재 미국·독일 등의 선진국에서는 이미 일반화되어 있다.
 
·인터넷의 포퓰리즘
 참여를 중심으로 하는 온라인 매체인 인터넷에서도 심각한 부작용이 발견되고 있다. 즉각적인 반응과 그로 인한 여론 형성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논리적 근거 없이 감정만을 앞세우는 목소리가 난무(亂舞, 엉킨 듯이 어지럽게 추는 춤. 함부로 나서서 마구 날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하여 다수의 의견이 무비판적으로 득세하는 현상을 포퓰리즘이라 한다. 이는 다수의 의견이 반드시 옳은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무비판적으로 대중의 의견이 통용되고, 이러한 여론이 정당하지 않은 방식으로 사회적 소수에게 폭력을 행사하게 될 수도 있다. 인터넷 상에서 활동하는 대중이 특정한 내용에 대해 그 진위를 논리적으로 문제 삼지 않은 채 동시 다발적으로 감정적인 반응을 일으켜 개인의 인권 침해와 같은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것이 포퓰리즘의 예이다. 또한 특정 정보가 왜곡되거나 은폐되어 심각하게는 여론이 조작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예시답안

[문제 1]

위성 통신, 인터넷과 같은 새로운 기술의 발달로 인해 속보 기사들에 관한 사건이 터지는 즉시 우리는 최신 정보를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사건을 알아보기 위해 더 이상 저녁 뉴스나 석간신문을 기다릴 필요가 없이 24시간 동안 방송하는 케이블 TV와 인터넷 뉴스를 통해서 즉시 사건의 정황을 알아 볼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정보는 지역과 거리의 제약을 넘어 취재된 것이다. 그러므로 전 세계가 하나의 공동 뉴스권에 들어가게 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문제 2]

오늘날 우리는 매체 언어가 전달하는 정보를 일방적으로 받아들여야만 하는 의사소통의 장(場)에 놓여 있다. 그리고 어느 누구도 TV나 신문 인터넷 같은 대중매체를 거부하거나 피할 수 없다. 따라서 매체 언어에 의한 이데올로기로 인해 현실 세계에 대한 왜곡된 시각을 가지게 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올바른 판단력을 통해 이들 매체 언어의 특성을 잘 파악하고, 정보를 비판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어야만 한다.

제시문 (다)에서 지적하는 인터넷 관련 범죄들은 음란물 유통, 사이버 명예 훼손, 게임 중독 등이다. 인터넷 사용자들은 자신의 이데올로기에 맞는 것만을 골라 사이버 상에서 매체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제시문 (나)에서 볼 수 있듯이 어떤 매체 언어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독자에게 진실이 전달될 수도 있고 왜곡될 수도 있다. 즉 `소요’라는 단어를 사용함으로써 총격 사건의 배경 및 상황을 피격자의 책임으로 돌리고 있는 것이다.

제시문 (가)에서처럼 신속하게 최신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인터넷의 순기능도 있지만, 매체 언어를 잘못 사용하게 되면 제시문 (나)와 (다) 같은 위기 상황이 벌어지기도 한다. 따라서 올바른 매체 언어 사용으로 건전한 사이버 세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대안이 필요하다고 본다.

먼저 인터넷의 역기능을 방지할 수 있는 법과 제도의 정비가 이루어져야 한다. 정보 통신 윤리 위원회를 비롯한 인터넷 역기능 방지 관련 기관들의 기능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 또한 법과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한편으로 법과 제도의 잣대 이전에 스스로가 자신의 양심에 따라 행동할 수 있는 자발적 의지와 의식을 강화해 나가는 `양심 운동’을 전개하는 것이다. 인터넷은 `양날의 칼’과 같다. 잘 쓰면 음식을 조리하는 데 사용되는 칼처럼 우리의 세상과 삶을 편리하고 풍요롭게 만들어 주는 이기(利器)가 될 것이다. 하지만 잘못 쓰면 우리의 현재와 미래를 송두리째 파괴할 수 있는 무서운 흉기로 돌변할 수 있다. 디지털 세상, 유비쿼터스 환경은 이제 현실이다. 우리 삶의 일부가 된 것이다. 이제 사이버 세상에서도 이기(利器)가 흉기(凶器)가 되지 않도록 마음 속 저 깊은 곳에서 울려 나오는 양심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그에 부합하는 행동을 해 나갈 수 있도록 서로 격려하고 북돋워 주는 운동을 시작해야 한다.

박경원 부산사대부고 교사
관련교과


·사회문화(중앙교육진흥연구소)
Ⅴ. 1. (3)대중매체와 대중사회
·도덕(교육인적자원부)
Ⅰ. 2. (2). 정보 사회에서의 비도덕적 문제
·국사(교육인적자원부)
Ⅵ. 5. (3)현대문화의 성장과 발전
·세계사(지학사)
Ⅳ. 3. 2. 20세기의 문화
·사회(디딤돌)
Ⅸ. 2. 세계화와 문화적 대응
·법과 사회(교학사)
Ⅲ. 3. 소비자의 권리와 책임
·정치(대한교과서)
Ⅱ. 4. (3)대중매체의 여론 형성과 비판적 수용자로서의 시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