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미술품 경매시장 가보니 "6억7,000! 받습니까?" 곳곳에 젊은 직장인들도
지난달 중순 서울 종로구 사간동 K옥션에서 열린 새해 첫 미술품 경매. 추정가 4억8,000만원에서 시작해 1,000만원 단위로 올라간 박수근 작품의 최종 응찰자가 2명으로 압축된 채 추정가 상한선을 훌쩍 넘긴 지 10여 차례. 100명 남짓 응찰객과 정보 수집차 들른 일반 관객으로 꽉 찬 장내가 흥분과 기대감으로 뜨겁게 달아올랐다. 경매사의 목소리도 팽팽하게 날이 섰다. “다시 묻습니다. 6억7,000 받습니까?”
미술품 경매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지난 연말 서화부문 경매 최고가 경신기록이 쏟아지면서 미술품이 돈이 된다는 인식이 확산된 덕이다. 더구나 수준 높은 예술작품을 소장, 향유하는 호사도 누릴 수 있다. 수억원을 호가하는 작품이야 어차피 상류층이 움직이는 ‘그들만의 리그’이지만 경매에서 낙찰되는 작품의 60%이상은 가격이 500만원 이하(서울옥션 추산). 해외 유명 브랜드 가방 하나가 200만~300만원을 호가하는 것에 비하면 크게 부담스러운 가격이 아니다.
적게는 수십만원, 많게는 수억원의 돈이 걸린 치열한 심리전의 현장이지만 경매장 분위기는 사뭇 캐주얼했다. 지름 4㎝ 남짓한 앙증맞은 회청색 술잔이 경매에 올려지자 “너무 이쁘다” 탄성이 터지더니 곧 이어 520만원에 낙찰되자 “그래 봤자 술잔”이라며 고개를 설레설레 흔든다. 앞뒤가 납작한 조선시대 편병에는, 대뜸 “색이 안 좋네”라며 다른 응찰자의 구매욕을 떨어뜨린다. 그래서인지 유찰. 낙찰을 받자 경매가 끝나지도 않았는데 벌떡 일어나나가는 사람이나, 함께 온 ‘사부’에게 경매작 품평을 받느라 수선스러운 초보자 모두 주위의 따가운 눈초리는 아랑곳 없다. 경매사로 나섰던 K옥션 김순응 대표는 “응찰자들이 어수선하면 아무래도 분위기가 안 잡혀 진땀 깨나 흘린다”면서도 “그런 다이내믹함이 바로 경매의 매력”이라고 했다. ”미술품은 공산품과 달리 값이 딱 나오지않잖아요. 구매자의 취향과 평론가나 학자의 평가, 역사적 의의, 작가의 유명세 등 다양한 요소가 종합적으로 작용하니까요. 문제는 일반인들이 미술품을 안심하고 구매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인데, 비교적 객관적인 가격정보를 제공하는 경매가 그 길잡이로 인정받기 시작했다는 게 기쁘죠.”
|
|
'미술교과교육연구회 > 그림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EC누리공원에서 만난 조형미의 세계 (0) | 2006.09.06 |
---|---|
가보지 못한 뭉크미술관 (0) | 2006.09.06 |
2000~1999 금강자연비엔날레 (0) | 2006.09.02 |
2006금강자연비엔날레 작품감상 (0) | 2006.09.02 |
2004 금강자연비엔날레 1 (0) | 2006.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