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뉴스.기타/교육뉴스에 해당되는 글 3275건
- 2006.05.04 우정 사라진 '삭막한 교실'(세계2006.5.4)
- 2006.04.28 아이 키우기 좋은 나라(한겨례2006.4.28)
- 2006.04.28 '어린이 날'에라도 쉬고 싶어요!(오마이2006-4-28)
글
내신이 50%라는데…" 우정 사라진 '삭막한 교실' | ||
"수업 필기내용·시험정보 공유 안해" 내신반영률 상승따라 경쟁심리 확산 | ||
| |||||||||||
3일 오전 11시 서울 강남의 한 고교. 중간고사 시험을 마친 학생들이 교과서와 참고서, 공책을 모두 가방에 넣고 학교를 빠져나갔다. 책을 넣을 수 있도록 개인 사물함이 있지만 체육복이나 예·체능 용품만 들어 있을 뿐 교과서와 같은 책을 넣어 놓은 학생은 찾아보기 힘들다. 이 학교 2학년 김모양은 “내신 경쟁이 심해지면서 자기가 필기한 공책이나 교과서를 보여주지 않는 친구들이 많아졌다”며 “나도 수업 필기내용을 보여주기 싫어 사물함에 책을 넣지 않은 지 오래됐다”고 고교 교실의 ‘살풍경’을 말했다. 2008학년도 대입 전형에서 내신 반영비율이 높아지면서 학생들 사이에 필기 공책을 보여주지 않고 시험범위를 알려주는 것마저 꺼리는 등 교실 분위기가 삭막해진 지 오래다. [관련기사]학생부 50% 이상 반영비중 싸고 논란 가중 특히 지난 2일에는 주요 국·사립대가 학생부 성적 반영비율을 50%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을 발표한 뒤 현재 중간고사가 진행 중인 각 고교의 분위기는 냉정하다 못해 살벌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서울 W고 1학년에 다니는 최모군도 “중학교와 달리 고등학교에선 내신관리 때문에 수업을 충실히 듣는 학생들이 많아졌다”면서도 “경쟁심 때문에 친구 사이에 시험범위조차 서로 알려주지 않는 일도 있을 정도로 부작용도 일어나고 있다”고 교실 분위기를 전했다. 이에 대해 학부모들은 경쟁으로 인해 교우관계가 훼손되는 등 학생들이 피해를 보는 것은 아닌지 우려하는 모습이 역력하다. 딸이 서울 K여고 2학년에 다닌다는 이모(46·여)씨도 “교실 내에서 사물함에 있는 교과서나 공책을 훔쳐가는 일이 가끔 일어난다고 딸이 말했다”며 “내신 경쟁 때문에 교우관계가 훼손되는 것은 아닌지 걱정된다”고 말했다. 내신성적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면서 교사들의 고민도 깊어졌다. 특히 중간고사를 치르는 고교의 교사들은 1점에 목을 매는 학생들 때문에 시험 관리감독과 채점에 여간 신경이 쓰이는 것이 아니다. 서울 H고 김모(31·여) 교사는 “수 우 미 양 가로 평가되는 과목별 평어 평가가 사라지면서 교사와 학생 모두 ‘총점보다는 석차가 우선’이라는 인식이 매우 강해졌다”며 “학생들이 한 명이라도 더 제치기 위해 끊임없이 경쟁하는 것처럼 교사들은 동점자가 나오지 않도록 시험점수를 부여할 때 소수점까지 철저히 계산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 교사는 이어 “특히 석차가 중요해지면서 동점자 양산을 막기 위해 문제를 어렵게 낸다”며 “결국 절반의 학생들은 평균점수 이하를 받게 돼 좌절하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말했다. 대구 청구고 남기재 교사는 “보통 학년이 바뀐 뒤 치르는 첫 시험은 분위기가 어수선했는데, 올해는 성적 정정기간이 아닌데도 찾아오는 학생이 있는 등 시험에 임하는 학생들의 태도가 달라졌다”며 “특히 정정 문의가 많은 수행평가의 경우 1년 전에 홈페이지에 시험범위와 방법, 채점기준 등을 공지해 문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내신반영 비율 대폭 상향조정으로 고교의 면학 분위기가 좋아지는 긍정적인 측면도 적지 않다고 말한다. 서울 K고교의 한 교사는 “내신 반영률이 높아지면서 학생들 간에 교우관계가 소원해지는 등 부정적인 면이 있으나 수업시간에 졸거나 딴짓을 하는 학생들이 거의 사라지는 등 순기능적인 측면이 있는 것도 사실”이라고 전했다. 조풍연·김재홍 기자 jay24@segye.com |
2006.05.03 (수) 21:11 |
'뉴스.기타 > 교육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기 영어교육 뇌발달 지장(인터넷 신문 TV리포트2005-04-18 ) (0) | 2006.05.17 |
---|---|
‘스승의 날’ 첫 제안 주인공 (경향2006년 05월 15일) (0) | 2006.05.15 |
학원 중간에 그만둬도 수강료 되돌려 받는다(파이낸셜2006-05-15 ) (0) | 2006.05.15 |
아이 키우기 좋은 나라(한겨례2006.4.28) (0) | 2006.04.28 |
'어린이 날'에라도 쉬고 싶어요!(오마이2006-4-28) (0) | 2006.04.28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
'뉴스.기타 > 교육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기 영어교육 뇌발달 지장(인터넷 신문 TV리포트2005-04-18 ) (0) | 2006.05.17 |
---|---|
‘스승의 날’ 첫 제안 주인공 (경향2006년 05월 15일) (0) | 2006.05.15 |
학원 중간에 그만둬도 수강료 되돌려 받는다(파이낸셜2006-05-15 ) (0) | 2006.05.15 |
우정 사라진 '삭막한 교실'(세계2006.5.4) (0) | 2006.05.04 |
'어린이 날'에라도 쉬고 싶어요!(오마이2006-4-28) (0) | 2006.04.28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 ||
사는 이야기 |
초등학교 6학년인 아들은 세 달 전부터 보습학원에 다닙니다. 나는 아들의 커가는 모습을 지켜보기 위해 아들의 일기장을 볼 수 있도록 미리 아들과 약속을 해 두었습니다. 아들의 일기장 아래에는 선생님의 따스한 흔적이 적혀 있어서사제 간의 끈끈한 정을 느끼게해주므로,일기장을 넘기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그런데 최근, 아들의 일기장이 이상합니다.
학원 다니는 것이 힘들다. 내가 힘든 이유는 공부 때문이 아니다. 내가 숙제 같은 것은 잘 까먹기 때문에 숙제를 했는데도 하지 않는 것 같은 느낌이 내 가슴을 죈다. 그리고 항상 적응!! 그것이 나를 힘들게 한다. 나는 원래 10시에 자서 충분히 수면을 취하는데, 숙제가 많다보니 밤 12시쯤에 자서 이제 몸에 이상이 온다. 그래도 어쩌랴! 적응해야지. 적응만 하면 잘 될 것인데!! 파이팅!! -빨리 적응이 되어서 네가 힘들지 않았으면 좋겠어!(선생님의 댓글입니다.)- 2006. 4. 27. 목요일. 제목: 아버지! 좀 쉬게 해주세요. 나의 일과는 아침 8시부터 시작된다. 8시에 일어나지만 피곤해서 계속 누워 있다가 어머니가 고함을 지를 때쯤이 되어야 후다닥 일어나 세수하고 이 닦고 옷을 입고 밥을 먹는다. - 학교생활 중략 - 집에 발을 들여놓자 말자 어머니는 “숙제 없나?”라고 물어보신다. 그때부터 나는 학원의 밀려있는 숙제를 하나씩 해나간다. 그리고 허겁지겁 밥을 먹고 버스를 타려고 뛰어간다. 종이 울리면 5시 15분이 되었다는 것이다. 학원에서는 내가 제일 부담스러워하는 수학이 나를 꽉 조이는 것 같다. 간신히 학원에서 빠져나와 집으로 뛰어와도 나를 기다리는 것은 학교숙제와 학원숙제이다. 나는 지금의 생활에 적응을 못하고 너무 피곤해서 눈도 붓고 혀에도 염증이 생겨 음식을 먹는 것이 힘들다. 그러나 우리 반 아이들 중 3/4정도가 학원을 다닌다. 나는 '힘들지 않다'고 하는데, 내 몸이 힘들다고 반항하는지 감기와 몸살까지 겹쳤다. 성적지상주의가 초등학교 6학년인 우리들을 벼랑 끝으로 내모는 것 같다. 제발, 초등학교 마지막 어린이 날인 5월 5일에라도 쉬고 싶다.
아들은 오늘도 저녁 9시가 가까워서야 집에 들어섭니다. 아들이 저녁밥을 먹은 후, 밤 11시에 우리는자리를 마주하고 앉았습니다. 나는 조심스럽게 아이와 대화를 나눕니다. “우선 아버지가 네 힘든 사정을 몰라서 미안해요! 너희 반 친구들 중에서 학원에 다니지 않는 친구가 얼마나 되니? “저희 반 학생이 36명인데, 30명 정도가 학원에 다니는 것 같아요. 나머지도 집에서 학습지를 받아 보거나 과외수업을 받고요. 특히 종합학원에 다니면서 영어, 수학 등을 단과학원에서 듣고 태권도나 피아노 등 예체능학원에 다니는 아이도 10명 정도 되는 것 같아요. 그 애들은 학교를 마치면 바로 단과학원에 갔다가 예체능학원에 가고 다시 종합학원에서 집으로 가는데, 저보다는 그 애들이 훨씬 힘든 것 같아요. 그 애들은 공휴일에는 밖에 나가는 것보다 집에서 실컷 잠이나 자고 싶대요.” “그 친구들이 학교 수업은 제대로 하니?” “아뇨. 그 친구들은 학원숙제를 할 시간이 없어서 학교에서 학원숙제를 하는데, 같은 학원에 다니는 친구들은 서로 배끼기도 해요. 학원숙제를 해가지 않으면 결국 남아서 해야 하고, 학원 선생님에게 맞아야 되거든요. 학교 청소당번인데도 '학원에 가야한다'면서 청소도 하지 않고 그냥 가는 아이들도 있어요.” “선생님한테 혼이 나지는 않니?” “학원에서는 정해진 시간에 도착하지 않으면 바로 집으로 연락을 하니, 우리는 어쩔 수가 없이 학원이 우선이지요. 그런데 저희 담임선생님은 ‘학원은 학교교육을 보충하는데 불과하므로 학교 일이 우선’이라고 하시면서 사정을 봐 주시지 않아요. 또 진도도 빼먹지 않고 처음부터 차근차근히 가르쳐 주세요. 우리는 학원에서 미리 배웠지만 복습이 되니까 좋아요.” “힘이 들면 학원을 그만두고, 집에서 공부하는 것이 어떻겠니?” “지금까지 집에서 자유롭게 공부하다가 학원에 다니니까 적응하는 것이 힘들어서 그렇지 곧 적응을 할 겁니다. 또 친구들 중 대부분이 종합학원이나 단과학원, 과외나 학습지를 받아서 공부하는데 저만 안할 수는 없지요. 학원선생님은 ‘부모님이 돈이 많아서 너희들 학원 보내는 것이 아니다’고 했는데, 저도 내년에는 중학생이 되니 열심히 해 보겠습니다.”
|
'뉴스.기타 > 교육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기 영어교육 뇌발달 지장(인터넷 신문 TV리포트2005-04-18 ) (0) | 2006.05.17 |
---|---|
‘스승의 날’ 첫 제안 주인공 (경향2006년 05월 15일) (0) | 2006.05.15 |
학원 중간에 그만둬도 수강료 되돌려 받는다(파이낸셜2006-05-15 ) (0) | 2006.05.15 |
우정 사라진 '삭막한 교실'(세계2006.5.4) (0) | 2006.05.04 |
아이 키우기 좋은 나라(한겨례2006.4.28) (0) | 2006.04.28 |